• 제목/요약/키워드: flowable resin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6초

접착제에 따른 유동성 복합 레진 수복물의 미세누출 양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ICROLEAKAGE PATTERN OF FLOWABLE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ADHESIVE MATERIALS)

  • 박지은;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56-468
    • /
    • 2008
  • 본 연구는 5급 와동에서 유동성 복합 레진 수복 시 수종의 상아질 접착제에 따른 미세 누출 양상을 비교하고, resin tag 및 혼성층의 형상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행동 조절에 어려움이 많은 소아 환자의 접착 수복에서 술식의 간편화 및 시간 단축이 장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All-in-one 상아질 접착제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법랑질 변연에서는 II군(AQ Bond Plus)이 가장 높은 미세누출을 보였고 III군($AdheSE^{(R)}$ One), I군($Adper^{TM}$ Single Bond 2)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II군은 I군, III군과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고(p<0.05), I군과 III군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2. 상아질 변연에서는 II군, I군, III군의 순으로 미세누출이 증가하였고, 각각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p<0.05). 3. I군과 III군에서는 법랑질 변연이 상아질 변연보다 유의하게 낮은 미세누출을 보였으나(p<0.05), II군에서는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주사전자현미경 소견에서 II군과 III군은 resin tag의 형성이 매우 미약하고 불규칙한 양상을 보인 반면, I군에서는 비교적 긴밀하고 균일한 resin tag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AQ Bond Plus와 $AdheSE^{(R)}$ One은 처리 과정의 단순화로 인한 시간 절약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Adper^{TM}$ Single Bond 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미세누출과 약한 결합력을 보인 본 실험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임상적용 시 술식과 case에 따른 선택적 사용이 추천되는 바이다.

  • PDF

Fatigue resistance, debonding force, and failure type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polyethylene ribbon-reinforced, and braided stainless steel wire lingual retainers in vitro

  • Foek, Dave Lie Sam;Yetkiner, Enver;Ozcan, Mutlu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86-192
    • /
    • 2013
  • Objective: To analyze the fatigue resistance, debonding force, and failure type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polyethylene ribbon-reinforced, and braided stainless steel wire lingual retainers in vitro. Methods: Roots of human mandibular central incisors were covered with silicone, mimicking the periodontal ligament, and embedded in polymethylmethacrylate. The specimens (N = 50), with two teeth each,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n = 10/group) according to the retainer materials: (1) Interlig (E-glass), (2) everStick Ortho (E-glass), (3) DentaPreg Splint (S2-glass), (4) Ribbond (polyethylene), and (5) Quad Cat wire (stainless steel). After the recommended adhesive procedures, the retainers were bonded to the teeth by using flowable composite resin (Tetric Flow). The teeth were subjected to 10,00,000 cyclic loads (8 Hz, 3 - 100 N, $45^{\circ}$ angle, under $37{\pm}3^{\circ}C$ water) at their incisoproximal contact, and debonding forces were measured with a universal testing machine (1 mm/min crosshead speed). Failure sites were examined under a stereomicroscope (${\times}40$ magnification).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All the specimens survived the cyclic loading. Their mean debonding forc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The DentaPreg Splint group (80%)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of complete adhesive debonding, followed by the Interlig group (60%). The everStick Ortho group (80%) presented predominantly partial adhesive debonding. The Quad Cat wire group (50%) presented overlying composite detachment. Conclusions: Cyclic loading did not cause debonding. The retainers presented similar debonding forces but different failure types. Braided stainless steel wire retainers presented the most repairable failure type.

Antibacterial and remineralization effects of orthodontic bonding agents containing bioactive glass

  • Kim, You-Min;Kim, Dong-Hyun;Song, Chang Weon;Yoon, Seog-Young;Kim, Se-Yeon;Na, Hee Sam;Chung, Jin;Kim, Yong-Il;Kwon, Yong Ho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63-171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echan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orthodontic bonding agents containing silver- or zinc-doped bioactive glass (BAG) and determine the antibacterial and remineralization effects of these agents. Methods: BAG was synthesized using the alkali-mediated solgel method. Orthodontic bonding agents containing BAG were prepared by mixing BAG with flowable resin. $Transbond^{TM}$ XT (TXT) and $Charmfil^{TM}$ Flow (CF) were used as controls. Ion release, cytotoxicity, antibacterial properties, the shear bond strength, and the adhesive remnant index were evaluated. To assess the remineralization properties of BAG, micro-computed tomography was performed after pH cycling. Results: The BAG-containing bonding agents showed no noticeable cytotoxicity and suppressed bacterial growth. When these bonding agents were used, demineralization after pH cycling began approximately 200 to $300{\mu}m$ away from the bracket. On the other hand, when CF and TXT were used, all surfaces that were not covered by the adhesive were demineralized after pH cycling.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orthodontic bonding agents containing silver- or zinc-doped BAG have stronger antibacterial and remineralization effects compared with conventional orthodontic adhesives; thus, they are suitable for use in orthodontic practice.

비우식성 치경부 병소와 5급 와동 수복물이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n-carious cervical lesions and class V restorations on periodontal conditions)

  • 김현주;김성조;최점일;이주연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9권1호
    • /
    • pp.17-26
    • /
    • 2009
  • Purpose: The non-carious cervical lesion(NCCL) is a loss of tooth structure at the neck of affected teeth that is unrelated to tooth caries. The reported prevalence of NCCL varies from 5% to 85%. Prevalence and severity of lesions have been found to increase with age. They are becoming more significant as people live longer and becom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first, to examine the periodontal conditions associated with NCCL, and secon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ects of class V restorations of NCCL on periodontal tissues. Materials and methods: The sample size was 982 teeth of 50 subjects(25 male, mean age $52{\pm}7$) who were seen at the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t the baseline examination, clinical periodontal parameters were measured. After the initial examination, 24 patients who were absent from hypersensitivity were selected. The teeth with NCCL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test and control groups. The teeth in the test group were restored with flowable resin; the control teeth were not restored. Six months later, the clinical examinations were repea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CCL occurred on 45.8% of examined teeth. The percentage of affected teeth was higher in maxillary and premolar teeth. 2) The shallow saucer type was the most common. 3) Teeth with NCCL had more gingival recession, lower attachment level, and higher incidences of bleeding on probing(BOP) and plaque than NCCL-free teeth. 4) Six months later, gingival recession, attachment level, the percentages of BOP and plaque in the test group were lower than in the control group(p<0.05). Conclusion: NCCLs were more found in maxillary teeth, especially in premolar teeth.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estoration of NCCL could affect some periodontal parameters favorably.

디지털 방사선사진술을 이용한 치아색 수복물의 방사선불투과도 비교 (RADIOPACITY COMPARISON OF TOOTH COLORED RESTORATIVE MATERIALS WITH DIGITAL RADIOGRAPHY)

  • 김효정;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4호
    • /
    • pp.499-50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이종의 디지털 방사선사진술이 수복물의 방사선불투과성 비교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하고, 이 기법을 이용하여 수종의 compomer 및 유동성 레진의 방사선불투과도를 측정, 비교하고자 하였다. Aluminum step wedge를 방사선사진촬영 하여 기 존의 transmission densitometer와 CD-Dent (phosphor scanning system) 및 RVG$^{(R)}$ (CCD system) 등 두 종류의 디지털 방사선사진술과의 광학밀도 상관관계를 평가하였고, 두께 2mm, 지름 5mm인 원형의 금속주형을 이용하여 Dyract$^{(R)}$ AP, Compoglass$^{(R)}$ 및 Dyract flow$^{(R)}$ 등 3종의 compomer와 Ultraseal-XT$^{(R)}$ plus$^{TM}$, Revolution$^{TM}$, Aeliteflo$^{TM}$ 및 Tetric-flow$^{(R)}$ 등 4종의 유동성 레진의 시편을 각각 5개씩 제작후 방사선불투과성을 측정하고 비교,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luminum step wedge를 사용한 광학밀도 측정곡선을 비교한 바, 통상적인 방사선사진술로 얻은 필름의 상에서 transmission densitometer로 방사선불투과도를 측정 한 곡선과 CD-Dent 및 RVG$^{(R)}$ 등 디지털 방사선사진술로 얻은 상에서 CADIA로 불투과도를 측정한 곡선들 사이에서 각각 매우 높은 역상관관계가 나타났다(${\gamma}$=-0.95, ${\gamma}$=-0.98 ; p<0.05). 2. 모든 수복채 공히 상아질과 유사하거나 높은 방사선불투과도를 나타내었고 (p<0.05), compomer인 Dyract$^{(R)}$ AP와 Compoglass$^{(R)}$, 그리고 유동성 레진인 Tetric-flow$^{(R)}$는 통상적인 방사선사진술 및 2종의 디지털 방사선사진술에서 공히 유동성 레진인 Revolution$^{TM}$과 Aeliteflo$^{TM}$, 그리고 상아질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방사선불투과도를 나타내었다 (p<0.05). 3. Compomer인 Dyract$^{(R)}$ AP와 Compoglass$^{(R)}$, 그리고 유동성 레진인 Tetric-flow$^{(R)}$는 통상적인 방사선사진술 및 CD-Dent 디지털 방사선사진술에서 공히 법랑질에 비해 높은 방사선불투과도를 나타내었고(p<0.05), compomer인 Dyract flow$^{(R)}$는 통상적인 방사선사진술에서만 법랑질에 비해 높은 방사선불투과도를 나타내었다(p<0.05).

  • PDF

심미성 향상을 위한 간접수복용 Gum-Shade 복합레진의 굽힘 특성 평가 (Evaluation of Flexural Properties of Indirect Gum-Shade Composite Resin for Esthetic Improvement)

  • 임용운;황성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07-41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심미성 향상을 위한 3종의 GS 복합 레진의 굽힘 특성 평가를 위해 ISO 4049 규격에 따라 실험을 설계하여 3점 FS 실험을 통하여 FS와 FM, WOF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각각의 기계적 특성간의 상호 상관성 및 신뢰도를 평가하고, GS 복합레진의 기계적 거동 평가 및 재료 선택에 유용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그 결과, 3종의 GS 복합레진의 FS와 FM은 TP에서 가장 높았으며, TF의 FS는 ISO 권장 강도인 80 MPa에 미치지 못했다. 파절될 때 흡수한 에너지를 나타내는 WOF는 T에서 가장 높았으며, TP에서 가장 낮았다. GS 복합 레진의 FS, FM은 재료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WOF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GS 복합 레진의 와이블 계수는 TP에서 가장 높았으며(m=14.22) 신뢰도가 높았고, CL에서 가장 낮은 값(m=6.09)으로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복합 레진은 각각의 굽힘 특성 간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r^2>0.97$), FS와 WOF, FM과와 WOF는 높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굽힘 특성 간의 기계적 거동 평가에 중요한 요인으로 상호 상관성이 입증되었으며, 향후 재료 선택에 있어서 임상 적용 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PRG filler를 함유한 치면열구전색제의 미세누출 및 항우식효과 (Microleakage and Anticariogenic Effect of S-PRG Filler-containing Pit and Fissure Sealant)

  • 신승우;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47-252
    • /
    • 2013
  • 치면열구전색은 생물막의 축적을 물리적으로 막아주며 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되는 산물질에 화학적 장벽 역할을 한다. 1999년 S-PRG(Surface reaction-type pre-reacted glass ionomer) 필러기술이 개발되었는데 S-PRG 필러는 수분 존재 하에서 스스로 분해되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불소유리가 가능하다. 이에 저자는S-PRG 필러를 포함하는 치면열구전색제의 미세누출 및 인접 법랑질에 대한 항우식 효과를 기존의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건전한 소구치, 대구치를 실험대상으로 사용하였다. S-PRG 필러를 함유해 불소를 유리하는 치면열구전색제 Beautisealant$^{(R)}$(Shofu, Japan)를 실험군으로,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 Concise$^{(R)}$(3M ESPE, USA)를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미세누출실험을 위해 실란트 변연 1 mm를 제외한 나머지 치아에 손톱광택제를 2회 도포 후 2% 메틸렌블루 용액에 24시간 동안 보관 후 수세하였다. 항우식효과의 평가는 인공우식용액에 9일간 보관 후 수세 후 시행하였다. 수세한 시편들은 투명레진에 매립 후 현미경 관찰을 위해 절단하였다. 통계분석은 미세노출의 정도는 Chisquare test를, 측정된 우식의 깊이는 Mann-Whitney test를 이용해 두 군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S-PRG 치면열구전색제와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의 미세누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S-PRG 치면열구전색제는 유동성레진 치면열구전색제 보다 더 높은 항우식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성계수가 다른 복합레진의 혼합수복이 5급 수복물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influence of combining composite resins with different elastic modulus on the stress distribution of class V restoration: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udy)

  • 박정길;허복;김성교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8년도 Spring Scientific Meeting(the 129th) of Korean Academy if Conservative Dentistry
    • /
    • pp.184-197
    • /
    • 2008
  • 본 연구는 3차원 유한요소분석법적 연구를 통해 쐐기형 비우식성 치경부병소의 복합레진수복에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진 복합레진의 혼합수복이 5급 수복물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발거된 상악 제2소구치를 Micro-CT로 스캔한 후 3D-DOCTOR로 3차원 유한요소 모형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소구치 모형에 쐐기형 와동과 변형시킨 와동을 형성하고 각 와동을 탄성 계수가 서로 다른 혼합형 복합레진 또는 흐름성 복합레진으로 수복하였다. 수복 전, 후 협측교두와 설측교두에 500N의 하중을 가한 후 응력분포를 ANSY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 응력 분석법으로 평가한 결과 치아 및 수복물에 위해한 인장응력을 고려할 때 탄성계수가 높은 재료로 와동저선각을 수복하고 교합측변연과 치경부측 변연은 탄성계수가 낮은 재료로 수복하는 혼합수복법이 쐐기형 비치경부병소의 수복에 있어 가장 유리하였다.

  • PDF

pH 순환 모형을 이용하여 15% 과산화요소를 함유한 치아미백제가 심미수복재의 색, 미세경도 및 거칠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ooth bleaching agent contained 15% carbamide peroxide on the color, microhardness and surface roughness of tooth-colored restorative materials by using pH cycling model)

  • 박소영;송민지;전수영;김선영;심연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51-360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ooth bleaching agent contained 15% carbamide peroxide on the color, microhardness and surface roughness of tooth-colored restorative materials by using pH cycling model. Methods : Four types of tooth-colored restorative materials, including a composite resin(Filtek Z350 ; Z350), a flowable composite resin(Filtek P60 : P60), a compomer(Dyract$^{(R)}$ AP ; DY), and a glass-ionomer cement(KetacTM Molar Easymix ; KM). were used in the study. Eighty-eight specimens of each material were fabricated,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n=44): experimental group(15% carbamide peroxide) and control group(distilled water). These groups were then divided into four subgroups(n=11). All groups were bleached 4 hours per day for 14 days using pH cycling model. The authors measured the color, microhardness, and roughness of the specimens before and after bleaching.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NOVA and T-test. Results : Z350 and P60 showed a slight color change(${\Delta}E^*$), whereas DY and KM showed significantly color change(p<0.05). Among them, the greatest color change was observed in DY. Percentage microhardness loss(PML) of the distilled water group was 1.8 to 5.1%, and 15% peroxide peroxide group was 5.0 to 25.2%. Microhardness of DY and K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p<0.05). Roughness was increased in all groups after bleaching. Z350 and P60 does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however DY and KM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the 0.2 ${\mu}m$(p<0.05). Conclusions : The effects of bleaching on restorative materials were material depende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type of the material before starting the treatment.

수종의 복합 레진의 표면 거칠기와 색 안정성 (Surface roughness and color stability of various composite resins)

  • 이성이;김현철;허복;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6호
    • /
    • pp.542-549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네 종류의 복합레진의 연마 후의 표면 거칠기에 있어서의 차이와 염색액에 담근 후 색 안정성에 있어서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필러 크기와 함량이 다른(나노입자형, 혼합형, 미세입자형, 흐름성) 네 종류의 광중합 복합레진(색상 A2)을 사용하였다. 산화 알루미늄 마모 디스크(Super-Snap)로 연마하기 전과 후에 평균 표면 거칠기(Ra)를 표면 조도 측정기 (Surftest Formtracer)로 측정하였다. 2% 메틸렌 블루 용액으로 착색하기 전과 후 표본의 색은 SCI geometry를 이용해 spectrophotometer(CM-3700d)로 측정되었다. 표면 거칠기와 색 변화 값은 one-way ANOVA, Scheffe multiple comparison test와 Student t-test로 분석되었다. 연마 후, 표면 거칠기 값은 복합레진의 종류에 관계없이 감소하였다. 연마 후 표면 거칠기와 착색 후 색 안정성에 있어서, 나노입자형 복합레진이 흐름성 레진을 제외한 다른 복합레진들과 유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