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 dividing erro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Flow Divider Valve의 최적설계를 위한 동특성 해석 (Dynamic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Optimal Design of Flow Divider Valve)

  • 황태영;박태조
    • 연구논문집
    • /
    • 통권29호
    • /
    • pp.123-130
    • /
    • 1999
  • Flow divider valve는 한 개의 공급라인에서 두 개 이상의 출력라인으로 유압유를 일정비율로 분배하는 유압제어밸브로서 하중압력이나 공급압력 등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비율의 유량분배가 가능해야 한다. 현재 상용제품의 유량분할 정확도는 90~95% 수준이며, 이러한 유량분할오차(Flow dividing error)는 유압시스템에 누적오차로 작용하여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어 보다 고정밀 유량제어가 가능한 Flow divider valve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외력을 고려한 스푸울의 거동을 수치적으로 정확하게 조사하여 Flow divider valve의 동특성을 규명함과 동시에 유량분할 오차를 감소시키는 최적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동특성 해석은 일정한 하중저항을 입력신호로 작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제시하였으며, 이때의 고정오리피스와 가변오리피스의 단면적 및 스푸울의 단면적 변화에 따른 동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 PDF

Flow Divider Valve의 동특성에 미치는 마찰력의 영향 (Effect of Friction Force on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Flow Divider Valve)

  • 박태조;황태영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8-203
    • /
    • 2000
  • In this paper, a nume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to show the effect of friction farce on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flow divider valve. The continuity equations and the equation of motion fur spool are numerically solved. The viscous friction force acting on the spool is considered analyzing the Reynolds equation which governs the viscous flow in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spool and sleeve. Dynamic characteristics are highly affected by the viscous friction farce whose magnitude is relatively small compare with other fluid forces. Therefore present theoretical formulation and numerical scheme can be used generally in designing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ll the hydraulic spool valve.

  • PDF

속도 계측형 호흡기류센서 설계를 위한 비균등 샘플링 기법 (Unequal Distance Sampling Technique to Design Velocity-Type Respiratory Air Flow Transducer)

  • 김경아;이태수;차은종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51-359
    • /
    • 2004
  • 속도계측형 호흡기류센서는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기류속도를 동압력으로 변환하여 호흡기류를 측정하는 센서로써 다수의 샘플링 구멍을 기류통과면 상에 설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속도 샘플 구명들을 비균등하게 배치시킴으로써 단순하게 균등 배치하는 것보다 훨씬 정확한 기류 계측이 가능함을 이론적으로 입증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기류통과면을 다수의 등면적 링으로 분한하고 각각의 링의 면적을 다시 2등분하는 위치에서 속도를 샘플링함으로써 균등 배치할 경우에 비해 계측오차가 약 1/5로 감소하였다. 또한 충 샘플개수가 4개 이상이면 상대오차 1% 이내의 매우 정확한 기류계측이 가능하였다. 기류 속도분포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비교한 결과 균등 샘플링에 비해 1/2 이하로 둔감하였다. 따라서 본 인구에서 제안하는 비균등 속도샘플링 기법은 속도 계측형 호흡기류센서의 설계시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Off-Site 패키지형 수소충전소의 FTA 분석 (A Study on FTA of Off-Site Packaged Hydrogen Station)

  • 서두현;김태훈;이광원;최영은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73-81
    • /
    • 2020
  • For the fault tree analysis (FTA) analysis of the packaged hydrogen filling station, the composition of the charging station was analyzed and the fault tree (FT) diagram was prepared. FT diagrams were created by dividing the causes of events into external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with the hydrogen event as the top event. The external factors include the effects of major disaster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and external factors as OR gates. Internal factors are divided into tube tailer, compressor & storage tank, and dispenser, which are composed of mistakes in operation process and causes of accidents caused by parts leakage. In this study, the purpose was to improve the hydrogen s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omestic packaged hydrogen stations and FTA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failure mode & effect analysis (FMEA) and hazard & operability study (HAZOP). Top event as a hydrogen leaking event and constructed the flow of events based on the previous study. Refer to "Off shore and onshore reliability data 6th edition", "European Industry Reliability Data Bank", 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tion (THERP) for reliability data.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improve the safety and activation of the hydrogen station.

외래어종 관리를 위한 소상 실험 및 평가 (Experiment and Assessment of Ascending Capability for Management of Exotic Fish Species)

  • 강준구;김종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65-27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서식하는 외래어종인 배스와 블루길을 대상으로 소상능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대상 어류의 크기에 따라 4개 그룹으로 구분한 후 각 그룹별 4단계 유속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유속에 따라 기준선을 통과하는 개체 수를 영상촬영을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어류의 유영 및 소상 가능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고유속 급류로 인해 5분 내 하류로 내려오면 기준선 통과 개체 수에서 제외하였으며 유속은 좌안, 우안, 중앙에서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어종 및 개체 크기에 상관없이 유속이 빠를수록 소상하는 외래어종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종별 비교 결과 배스의 소상능력이 블루길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개체 크기를 고려하면 차이는 크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소상 후 급류로 인해 하류로 밀려 내려오는 경우를 제외하고 실험오차를 고려하면 외래어종이 소상 가능한 한계속도는 1.11 m/s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결과는 고유속 흐름을 이용한 어류 차단과 외래어종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향후 고유속에서 기준선을 통과하는 어류가 돌발속도에 의한 것인지 순항속도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실험과 검증 및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또한 외력에 의한 반응 및 유량에 의한 압력 차이 등을 고려한 어류의 반응검토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GIS를 이용한 미시적 수준의 교통모형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 by Using GIS)

  • 김병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79-89
    • /
    • 2015
  •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미시적 수준에서 교통현상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미시적 수준의 교통모형을 설계 및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차량이 GIS 도로 중심선 자료를 차선, 이동속도 등이 반영된 도로 네트워크 자료로 인식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으며, 운전자의 주행 행태를 반영하기 위해 환경인식모형, 차두시간분포모형, 차량추종모형 및 차로변경모형으로 행태모형을 설계 및 구현했다. 모형의 정확도 평가는 종로구의 자하문길을 대상으로 관측자료와 예측 자료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시간대별 이동 속도를 매우 정확하게 예측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구현된 GIS 기반의 미시적 수준의 교통모형은 교통 탄소 배출량 분석, 교통류 평가 및 도시기반시설 입지 계획등의 다양한 분야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