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ed area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9초

3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해안 매립지역 침수예상도 제작 (Production of Flood Expectation Map in the Reclaimed Land Using 3-D Spatial Information)

  • 이재원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97-102
    • /
    • 2007
  • 최근 들어 해일, 해수범람 등의 자연재해로 인하여 연안 해안에 대한 피해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에서도 해안 매립지역의 경우 자연재해에 취약한 지역이 많이 있으며, 대규모 재난이 일어날 가능성 또한 큰 지역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안 매립지역에 대한3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침수 예상도를 제작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으로는 대규모 해안 매립지역이 조성되어져 있는 부산시 강서구 명지지구 일대를 실험지역으로 지정하였으며, 조석자료와 현지 측량자료를 사용하여 해안 기준면 측정과 육상 높이 관측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지형모델을 생성하였으며, 3D MAX 프로그램으로 건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제작하였다. 이를 최종 중첩하여3차원 입체지도를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지형도에 가상 침수위를 적용하여 침수면적을 계산해 본 결과 약 4.5m이상의 해일 발생시 실험지역의 50%이상이 침수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침수피해지역의 응급이송서비스 취약성 분석 (Analysis of Vulnerability of Emergency Transport Service for Flooded Area)

  • 이윤하;홍원화;이지수;최준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122-130
    • /
    • 2018
  • 최근 도시화 및 인구의 밀집화는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의 영향과 더불어 재난의 대형화 및 복합화를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재난발생에 대하여 예방, 구조, 복구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재난 시 생명유지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재난의료는 외면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침수피해가 빈번하며, 지하주택이 밀집되어 피해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되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침수이력지역의 지하주택을 응급환자 발생지로 가정하고 이송거리 및 이송시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응급의료시설과 재난발생지로의 접근성과, 구급대로부터 재난발생지로의 접근성을 함께 고려하여 응급의료서비스 개선의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2차원 모형을 이용한 삼척오십천 소하천 합류 지점 침수해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undation at the Merging Area of Osipcheon and Local Stream Using a Two-Dimensional Model)

  • 김도진;전계원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61-6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2020년 9월 태풍 마이삭·하이선으로 인한 침수가 일어난 삼척중학교 주변을 분석하였다. 삼척 오십천과 소하천인 등 봉천 합류 지점의 침수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2차원 수리 모형인 Iber를 적용하였다. 연구에서는 2020년 9월 3일과 9월 7일의 최대유량 및 80년, 100년 빈도 홍수량을 기반으로 침수 깊이와 침수 범위를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9월 7일에는 80, 100년 빈도 홍수량에서 미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9월 3일에서 9월 7일에 최대 유량 차이가 401 m3/s로 나타나 침수 깊이에서는 0.8 m, 침수 범위에서는 7.1 m2의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DEM을 이용한 등고선만을 고려한 분석에서는 삼척중학교 운동장뿐만 아니라 건물까지 침수가 예측되어 고정밀 지형자료인 DSM의 적용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한강 범람원인 암사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식물생활형 특성 연구 (An Investigation of Vascular Plant Life Forms in the Amsa-dong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 A Floodplain along the Han River in Seoul, South Korea -)

  • 윤다움;오충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19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growth forms within the Amsa-dong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a floodplain along the Han River, based on 20 years of flora monitoring data.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106 taxa identified in 2003, 158 taxa in 2006, 107 taxa in 2013, and 202 taxa in 2020. Compared to 2003 and 2013, the number of taxa increased significantly by approximately 50 taxa in 2006 and around 100 taxa in 2020. It is presumed that this is due to the influx of seeds caused by the flooding of the Han River due to record-breaking heavy rains during the rainy seasons of 2006 and 2020, leading to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taxa. This was also confirmed in aquatic plants(HH)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life style analysis by year.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19 aquatic plant(HH) in 2003, 32 aquatic plant(HH) in 2006, 9 aquatic plant(HH) in 2013, and 30 aquatic plant(HH) in 2020. The number of aquatic plants(HH) increased slightly in 2006 and 2020 compared to 2003 and 2013, and the influx of rare aquatic plants in urban rivers was confirmed.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vascular flora analysis above, these plants are believed to have been introduced from the upper reaches of the Han River when the Han River flooded due to heavy rains during the record-breaking rainy season in 2006 and 2020.

조위의 영향을 고려한 도심지 배수유역에서의 범람모의 (Inundation simulation in a urban drainage basin considering tidal stage effect)

  • 김대근;최경순;고영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11-717
    • /
    • 2009
  • In this study, SWMM model is used to reproduce the main storm sewer system located in the Nae-Hang drainage basin of the Mokpo city and keep track of flood discharge. Given the outlet of the reaches border the coastline, this paper has taken the dual-drainage approach to perform inundation simulation, considering both the overflows and inflows at the manholes of the sewer system, and at the same time, taking the impacts of tidal stage into consider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reached in this study: First, when planning lowland sewer system alongside the coastline or the riverside, the tidal stage or flood stage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planning and design processes. Second, an analysis that fails to consider overflow and inundation at the manholes may overestimate inundation depth of the flooded area. In other words, in order to estimate flood discharge and flood stage in a lowland storm sewer system, it is desirable to analyze the conveyance capacity of storm sewer system and simulate overflow and inundation at the manholes at the same time.

불연속 지형을 지나는 천수 흐름의 해석을 위한 수심적분 모형에 대한 새로운 기법 (A Novel Scheme to Depth-averaged Model for Analyzing Shallow-water Flows over Discontinuous Topography)

  • 황승용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6호
    • /
    • pp.1237-1246
    • /
    • 2015
  • 불연속 지형을 지나는 천수 흐름의 해석에서 흐름률을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하여 계단에 의한 흐름 저항이 지배적인 계단 전면과 그 영향이 비교적 덜한 계단의 윗부분을 구분하여 접근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기법에 의한 모의 결과는 정확해, 가상의 문제에 대한 3차원 모의 결과, 그리고 실험 결과와 대체로 잘 일치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기법으로 불연속 하천구조물을 넘나드는 천수 흐름에 대한 직접 해석이 가능해졌다. 보나 옹벽(강변 도로)의 월류 양상 그리고 불연속 지형으로 이루어진 도심에서 범람에 따른 침수 구역의 정확한 산정에 개발된 기법의 적용이 기대된다.

상습침수지역의 침수/배수 Simulation기법 (Inundation/Drainage Simulation Technique on Frequently Flooded Area)

  • 최은혁;안선복;고진석;지홍기;이순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34-839
    • /
    • 2006
  • 본 연구는 하천연안에 위치한 소지류 하구부의 제방파괴로 인하여 외수위의 영향을 받는 제내지가 본류하도의 배수(back water)영향과 내수유입으로 침수역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에 홍수범람역의 범위와 배수시간을 분석.검토하여 침수피해를 저감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소하천유역의 침수상태해석을 위해 제내지측 침수역을 지류하도로 취급하여 두 개의 하천이 합류하는 조건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HEC-RAS를 이용하여 침수구역의 부정류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제내지의 침수 및 배수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류하도의 홍수규모 즉, 홍수량(위)에 따른 제내지 침수역의 배수영향범위를 추정하였고 파제부의 내수배제 시간을 해석하여 침수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파제부의 구조적인 개선방안을 분석.검토하였다. 그 결과 파제로 인하여 제내지가 본류하도의 외수위에 영향을 받으면서 제내지에 침수가 발생하는 소하천유역에서는 파제부의 범위에 따라 내수배제 능력과 배수영향을 동시에 분석하여 제내지에서 효과적인 내수배제능력을 가지면서 배수영향을 최소화하는 최적의 조건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제내지에서의 범람홍수파 해석을 위한 수치모형의 개발 (Floodwave Modeling in Inundated Area Resulting from Levee-Break)

  • 이종태;한건연
    • 물과 미래
    • /
    • 제28권5호
    • /
    • pp.163-174
    • /
    • 1995
  • 하천제방의 붕괴 및 월류에 따른 제내지에서의 범람 홍수파 해석을 위해서 DFLOW-2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DFLOW-2 모형은 1990년 9월 한강 하류부의 일산제 제방붕괴의 경우에 대해서 적용하였다. 인도교에서 전류구간에 대한 1차원 부정류 해석을 실시하였고, 제방붕괴에 따른 월류량을 1차원 해석에서 내부 경계조건으로 처리하였다. 제방붕괴 후의 제내지에서의 2차원 범람 해석을 실시하었고, 이를 후처리모형을 이용하여 주요시간대별 홍수범람 수위와 유속분포도등을 작성하였다. 계산된 결과는 당시의 현지조사 결과 및 홍수흔적치등과 비교하여 범람수위, 홍수도달시간 및 범람범위등에서 비교적 잘 일치하고 있었다.

  • PDF

제방붕괴시 제내지의 범람홍수파 특성연구 (A Study of the Flood Wave Propagation in the Flooded area due to Levee Breach)

  • 조환범;윤광석;이승오;송재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869-873
    • /
    • 2009
  • 도시지역에서 하천제방의 붕괴로 인해 제내지 범람 홍수파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적지 않은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제내지 범람 홍수파의 거동특성을 명확히 밝혀낸 후, 제방 붕괴에 의한 홍수범람에 대한 대피 체계를 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범람 홍수파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제내지에서의 범람 홍수파의 영향을 3차원 수치모형인 Flow-3D를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또한 비교 검토를 위하여 구조물이 없는 평탄지형에 대해서도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높이 0.6m의 제방이 붕괴되어 붕괴 폭 변화와 제내지의 구조물의 유무에 따른 제내지 범람 홍수파의 속도 및 수심의 변화를 분석 하였다. 모의 결과 제방 붕괴 시 붕괴 폭의 변화에 따른 홍수파 전파속도는 별 차이가 없는 걸로 나타났다. 수심의 변화는 제방붕괴지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졌고, 수심 변화폭도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또한 구조물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제방 붕괴부 주위에서의 수심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비롯한 수치모의결과를 적절하게 활용하게 되면 제방붕괴에 의한 홍수범람에 대한 대피체계(EAP)를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coping Calculations on Criticality and Shielding of the Improved KAERI Reference Disposal System for SNFs (KRS+)

  • Kim, In-Young;Cho, Dong-Keun;Lee, Jongyoul;Choi, Heui-Joo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8권spc호
    • /
    • pp.37-50
    • /
    • 2020
  • In this paper, an overview of the scoping calculation results is provided with respect to criticality and radiation shielding of two KBS-3V type PWR SNF disposal systems and one NWMO-type CANDU SNF disposal system of the improved KAERI reference disposal system for SNFs (KR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calculated effective multiplication factors (keff) of each disposal system comply with the design criteria (< 0.95). Based on a sensitivity study, the bounding conditions for criticality assumed a flooded container, actinide-only fuel composition, and a decay time of tens of thousands of years. The necessity of mixed loading for some PWR SNFs with high enrichment and low discharge burnup was identified from the evaluated preliminary possible loading area. Furthermore, the absorbed dose rate in the bentonite region was confirmed to be considerably lower than the design criterion (< 1 Gy·hr-1). Entire PWR SNFs with various enrichment and discharge burnup can be deposited in the KRS+ system without any shielding issues. The container thickness applied to the current KRS+ design was clarified as sufficient considering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container to satisfy the shielding criterion. In conclusion, the current KRS+ design is suitable in terms of nuclear criticality and radiation shiel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