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risk

검색결과 419건 처리시간 0.023초

홍수위험지도를 활용한 치수안전도 방법 개선 및 평가 - 영·섬진강 유역중심으로 -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flood control safety utilizing a flood risk map - Yeong-Seomjin River Basin -)

  • 어규;이성현;임인규;이규원;김지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7권1호
    • /
    • pp.21-33
    • /
    • 2024
  • 최근 기후변화로 영향으로 재해의 양상이 다양화 및 대형화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안전한 치수계획을 세우기 위해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해 홍수피해잠재능(Potential Flood Damage, PFD)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하지만, PFD의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선행연구 대부분 PFD 인자를 수정·보완하거나 인자를 새로 추가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위험성 인자를 내포하고 있는 홍수위험지도를 사용하여 기존의 치수안전도 평가방법을 개선하고, 대상지역인 영·섬진강권역을 중심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방법은 위험성 요소 및 잠재성 요소 분석, PFD 및 홍수방어수준 분석, 치수안전도 평가로 크게 3가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된 평가방법은 각종 치수안전도 평가 및 치수계획 수립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홍수지표의 인과관계를 이용한 홍수위험지수 개발 (Development of Flood Risk Index using causal relationships of Flood Indicators)

  • 임광섭;최시중;이동률;문장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B호
    • /
    • pp.61-7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치수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세부지표를 선정하여 유역별 치수 관련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세부지표를 P-S-R(Pressure-State-Response) 구성 체계로 구성하여 각 치수특성평가 지수인 압력, 현상, 및 대책 지수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들 지수를 통합하여 유역의 치수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홍수위험지수를 개발하였다. 1980년대 이후 2000년대까지 117개 중권역에서 산정된 홍수의 발생에 대한 압력지수와 피해의 현황지수는 비례관계로 나타났으나 대책지수의 증가에도 현황지수는 감소하고 있지 않았다. 이는 상대적으로 피해의 압력요인들이 홍수대응력을 초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향후 홍수대책에서는 설계기준을 더욱 강화시킬 필요가 있음을 보여 준다. 홍수위험지수는 지속적인 치수사업의 성과에 의해 점진적으로 낮아지고 있고 한강과 낙동강 권역이 금강, 섬진강 및 영산강 권역보다 상대적으로 홍수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수사업의 성과의 평가와 함께 유역 간 홍수의 상대적인 위험도를 시 공간적으로 분석하여 치수 관련 정책 및 대책 수립에서 보다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지역 홍수재해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Urban Flood Regional Safety Assesment Model)

  • 이창희;이석민;신상영;여창건;김윤종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76-379
    • /
    • 2007
  • In recent years, the natural damage associated with flood disaster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However, there is no rational method which reflects urban characteristics to estimate the regional safety assessment for flood disas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regional safety assesment model for urban flood. Flood risk and reduction assesment were estimated by using the linear sum of the Z score of the assessment factors and the weight value of each factor from the expert survey data. And then the regional safety assessment was estimated by subtracting reduction factor value from risk factor value. GIS tool was used to estimate the factor assesment and integrated regional safety. This study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flood protection project, execute the flood insurance and establish the urban plans and the flood mitigate plan.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ensemaking Approach to Community-based Disaster Risk Governance

  • Choi, Choongik;Tatano, Hirokazu;Choi, Junh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1호
    • /
    • pp.289-301
    • /
    • 2019
  • This paper explores community-based flood disaster risk governance by applying a sensemaking approach. The conceptual sensemaking framework consists of individual experience, dialogue, and socialization components, which together comprise an interconnected system.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for applying this framework by using a concerns table and a SWOT analysis to examine the concerns of residents living in a flood plain. A series of community-based workshops on flood risk reduction was conducted with residents of the flood-prone Muraida community in Shiga Prefecture, Japan. During the workshops, residents' concerns regarding flood risk surfaced. This study used an idiographic approach to examine the proceedings of the workshops. SWOT issue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Muraida community's internal capacities, and examine the opportunities and threats in the external capacities (e.g., local government). Additionally, a SWOT strateg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strategies for knowledge sharing and development of cooperative countermeasures that can be undertaken between the Muraida community and the local govern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cerns table can not only summarize the main concerns of all workshops, but als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alternative flood risk countermeasures that can be carried out.

수해시 피해경감을 위한 정보의 정비 및 활용 (Building a Flood Database and Its Utilization to Reduce Flood Risk)

  • 강상혁;야구정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681-688
    • /
    • 2000
  • 수해에 따른 피해확대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피난행동양식의 분석 및 관련정보의 공개 등과 같은 제반 정보를 활용한 재해위기관리의 대책이 불가피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해의 대응대책 중 특히 인명보호의 차원에서 중요한 피난활동을 대상으로 실제 피난행동을 하기까지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피난행동을 규정하는 심리적인 영향요인에 대해서는 주민의 의식조사를 토대로 내.외적인 요인으로 분류하여 도출하였으며, 수량화(II) 이론을 이용하여 수해에 대한 주민의 의식 및 행동양식을 지리적.사회적 영향인자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GIS를 이용한 유역정보의 축적 및 활용을 통하여 유역주민이 재해에 대한 자주적인 판단능력을 고양함으로써 수해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지하철 역사 내 침수 흐름 분석 및 침수 위험도 평가 방법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inundation flow patterns and flood risk assessment methods within subway stations)

  • 신재현;김민정;조인환;박인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0호
    • /
    • pp.667-67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형상의 지하역사를 대상으로 준3차원 침수 흐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우수유입지점 수와 우수 유입량 변화에 따른 침수 흐름 특성 및 침수 위험도를 분석했다. 침수 해석 결과로부터 보행 안정성 평가를 위한 한계유속을 계산하여 미끄러짐 및 전도 사고 발생 가능 영역을 분석했다. 그 결과, 미끄러짐 사고는 침수계단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전도 사고는 침수계단과 지하2층 계단 주변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침수 위험도에 대한 세부적 판단을 위해 4단계로 침수 위험도를 평가하는 Flood Hazard Degree (FD)와 3단계로 평가하는 Flood Intensity Factor (FIF)를 적용했다. 그 결과, FD가 FIF에 비해 더 넓은 영역에서 침수 흐름에 의한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한계비력, 미끄러짐 및 전도 사고 발생 한계유속, FD, FIF 방법으로 평가한 침수 위험 발생 영역을 비교했을 때 한계비력은 다른 평가 방법에 비해 침수 위험 영역을 과대 산정했고, FIF는 과소산정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모든 평가 방법을 고려했을 때 우수 유입량이 우수유입지점 수보다 침수 위험도 평가 결과에 지배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침수 흐름을 일으키는 우수 유입 조건 보다 서로 충돌하는 침수 흐름을 일으키는 조건에서 침수 위험도가 증가했다.

홍수위험도를 고려한 보험요율 차등화 방안 (A Study on Way to Classify Premium Rate Considering Flood Risk)

  • 심규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933-2939
    • /
    • 2015
  • 보험요율은 기본적으로 보험목적물이 자연재해위험에 노출된 정도에 따라 합리적으로 차등되어 적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행 보험요율은 예상되는 자연재해로 인한 위험정도에 따른 구분이 없이 시 군 구별로 동일한 기본요율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하도버퍼링을 이용한 홍수위험도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홍수위험에 노출된 정도를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여 보험요율을 차등화 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위험도가 반영된 풍수해보험 기본요율 산정과 홍수범람 모의 여건이 부족한 지방하천의 홍수위험도 평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분위사상법을 적용한 RCP 시나리오 기반 시군별 홍수 위험도 평가 (Flood Risk Assessment Based on Bias-Corrected RCP Scenarios with Quantile Mapping at a Si-Gun Level)

  • 박지훈;강문성;송인홍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4호
    • /
    • pp.73-82
    • /
    • 2013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scenarios-based flood risk at a Si-Gun level. A bias correction using a quantile mapping method with the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distribution was performed to correct future precipitation data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 series of proxy variables including CN80 (Number of days over 80 mm) and CX3h (Maximum precipitation during 3-hr) etc. were used to carry out flood risk assessment. Indicators were normalized by a Z-score method and weighted by factors estimat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Flood risk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the four different time periods, i.e. 1990s, 2025s, 2055s, and 2085s, which correspond to 1976~2005, 2011~2040, 2041~2070, and 2071~2100. The average flood risk indices based on RCP4.5 scenario were 0.08, 0.16, 0.22, and 0.13 for the corresponding periods in the order of time, which increased steadily up to 2055s period and decreased. The average indices based on RCP8.5 scenario were 0.08, 0.23, 0.11, and 0.21, which decreased in the 2055s period and then increased again. Considering the average index during entire period of the future, RCP8.5 scenario resulted in greater risk than RCP4.5 scenario.

홍수피해예상지역을 고려한 홍수위험도 산정기법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Flood Risk Assessment by Flood Damage Area)

  • 홍승진;주홍준;김경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59-46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자원 관련 최상위계획인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활용했던 홍수위험도 산정 기법인 홍수피해잠재능(PFD)와 홍수위험도지표에 대한 개선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방법론 모두 치수위험성을 평가하는 항목이지만 자료 활용에 대한 문제점과 특정지역에 발생한 피해를 평균개념으로 적용하였기 때문에 신뢰성에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항목별 분석을 위한 분석자료 및 방법의 개선, 2) 홍수범람예상지역을 홍수피해범위로 제한하여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기법의 개선 및 최근 제공되는 GIS 자료를 홍수피해예상지역에 적용함으로써 기존 방법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기존 분석기법과 개선된 방법을 CASE별로 시범유역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lood Damage Caused by landslide and Its Minimization Using GIS-The Case Study in the Samwhadong, Donghae city, Kangwondo, Korea

  • Kang, Sang-Hyu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493-499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the disaster control due to flooding through the case study of Samwhadong, Donghae city, Kangwondo, broken out at 31, August 2002. In order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flood damage one must consider social and geological conditions, the factors of flood risk were derived based on GIS. For reduction of flood damage, flood hazard map was prepared for local residents. These information will support refuge activities, it would aid the reduction of flood dam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