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lood disaster

Search Result 61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alysis on the Changes of Teachers' Consciousness and Ambivalent Attitude throug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raining (환경교육 직무연수를 통한 교사들의 의식변화와 양면가치태도 변화 분석)

  • Lee, Jin-Heon;Sung, Jung-Jin;Choi, Jin-Ha
    • Hwankyungkyoyuk
    • /
    • v.18 no.1 s.26
    • /
    • pp.120-133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consciousness and ambivalent attitudes about the important environmental issues among the teachers who enrolle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raining.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composed with 47 and 30 person, respectively. Environmental issues were constructions of sea-wall, nuclear power plant and dam. Cronbach alpha of the self-developed questionnaire was $0.6909{\sim}0.8992$. Score were made with 5 Likert scales for consciousness, and with semantic differential half scale for ambivalent attitudes. Almost teachers(94.0% and 97.1%) have above 10 years teaching career. Strangers in environmental program were 53.2%. After environmental training, teachers' consciousness was significantly changed to negative about the construction of sea-wall for the farm field and industry complex area(p=0.019), and about the construction of dam for disaster like flood(p=0.026), and for adverse effects of citizen by fog(p=0.042). They were also significantly changed to negative about the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 for economical energy(p=0.004)', no-emission of greenhouse gases(p=0.033)', 'alternative energy(p=0.000)', 'destruction of ecology(p=0.052)' and 'social fear(p=0.009)'. The consciousness of teachers who have the experience of environmental training, were significantly changed to negative about the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 Scores of teachers' ambivalent attitudes were made lower in experimental than control group about the construction of sea-wall and nuclear power plant. After education training, they were made lower so much as -10.0% in control, but higher much as +4.4% in experimental, and severely higher much as 86.5% in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environmental training about construction of sea-wall. Their scores were made lower so much as -3.3% in control, but much as -6.4% in control.

  • PDF

Estimation of Soil Erosion and Sediment Outflow in the Mountainous River Catchment (산지하천 유역의 토양침식량과 유사유출량 평가)

  • Kim, DongPhil;Kim, JooH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2
    • /
    • pp.221-233
    • /
    • 2014
  • Soil erosion, transportation, and sedimentation by water flow often occur in a stream. This excessive occurrence threatens the safety of hydraulic structures, and aggravates natural disasters like flood. To prevent soil disaster according to the soil erosion, it is necessary to predict accurate sediment outflow primarily. Besides, it is very important to choose appropriate models by basin characteristics, to estimate accurate quantity of related factors, and to acquire available hydrological dat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soil erosion amount and sediment amount according to rainfall-runoff by using rainfall, discharge, and sediment in the Seo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And, it proposed sediment delivery ratio of the Seolmacheon catchment by result of studying sediment delivery ratio. Hereafter, this study will estimate sediment delivery ratio by basin characteristics, and formulate the method of estimating soil erosion and sediment outflow in various conditions by applying the results in other catchments.

Significance and Future Direction for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Landslide-Prone Zones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관리 제도의 의의와 향후 과제)

  • Kim, Suk Woo;Chun, Kun Woo;Kim, Kyoung Nam;Kim, Min Sik;Kim, Min Seok;Lee, Sang Ho;Seo, Jung I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v.29 no.3
    • /
    • pp.237-248
    • /
    • 2013
  • The legal basis for the systematic prevention and response to landslide hazards, and the rehabilitation of landslide-hit areas, was established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Forest Protection Act in August 2012. The most noticeable amendment to the Act is the inclusion of clauses associated with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landslide-prone zones (including debris flow-prone zones). In this paper, we (1) introduce the clauses related to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landslide-prone zones that were included in the amended Forest Protection Act, (2) examine their significance by reviewing the present status of related domestic laws and structural countermeasures such as sediment check dams for sediment-related disaster prevention, and (3)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procedure for the designation and cancellation of such zones, and their maintenance and institutional aspects.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al device for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landslide-prone zones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aspect of (1)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management and prevention system for potential landslide-prone zones in forested areas where the hazard risk has been poorly recognized as compared with the flood risks in lowlands, and (2)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s for overcoming the limits of structural countermeasures according to limited budgets. To develop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landslide-prone zones, not only must present problems be addressed, but a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administration and local residents must also be established.

Research on radar-based risk prediction of sudden downpour in urban area: case study of the metropolitan area (레이더 기반 도시지역 돌발성 호우의 위험성 사전 예측 : 수도권지역 사례 연구)

  • Yoon, Seongsim;Nakakita, Eiichi;Nishiwaki, Ryuta;Sato, Hirot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9 no.9
    • /
    • pp.749-759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pply and to evaluate the radar-based risk prediction algorithm for damage reduction by sudden localized heavy rain in urban areas. The algorithm is combined with three processes such as "detection of cumulonimbus convective cells that can cause a sudden downpour", "automatic tracking of the detected convective cells", and "risk prediction by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sudden downpour". This algorithm was applied to rain events that people were marooned in small urban stream. As the results, the convective cells were detected through this algorithm in advance and it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phenomenon of developing into local heavy rain. When use this risk predicted results for flood prevention operation, it is able to secure the evacuation time in small streams and be able to reduce the casualties.

Future drought assessment in the Nakdong basin in Korea under climate change impacts

  • Kim, Gwang-Seob;Quan, Ngo V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58-458
    • /
    • 2012
  • Climate extreme variability is a major cause of disaster such as flood and drought types occurred in Korea and its effects is also more severe damage in last decades which can be danger mature events in the future. The main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s of climate change on drought for an agriculture as Nakdong basin in Korea using climate change data in the future from data of General Circulation Models (GCM) of ECHO-G, with the developing countries like Korea, the developed climate scenario of medium-high greenhouse gas emission was proposed of the SRES A2.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was applied for drought evaluation. The drought index (SPI) applied for sites in catchment and it is evaluated accordingly by current and future precipitation data, specific as determined for data from nine precipitation stations with data covering the period 1980-2009 for current and three periods 2010-2039, 2040-2069 and 2070-2099 for future; time scales of 3month were used for evaluating. The results determined drought duration, magnitude and spatial extent. The drought in catchment act intensively occurred in March, April, May and November and months of drought extreme often appeared annual in May and November; drought frequent is a non-uniform cyclic pattern in an irregular repetitive manner, but results showed drought intensity increasing in future periods. The results indicated also spatial point of view, the SPI analysis showed two of drought extents; local drought acting on one or more one of sites and entire drought as cover all of site in catchment. In addition, the meteorology drought simulation maps of spatial drought representation were carried out with GIS software to generate for some drought extreme years in study area. The method appli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ppropriately applicable to th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extreme hydrologic events, the results also provide useful for the drought warning and sustainable water resources management strategies and policy in agriculture basins.

  • PDF

Development of infiltration facility by utilizing tree box for urban storm water runoff reduction (도시지역 우수유출 저감을 위한 식재박스형 침투시설의 개발)

  • Joo, Jin-Gul;Cho, Hye-Jin;Lee, Yu-Hwa;Kim, Lee-Hy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11
    • /
    • pp.5330-5336
    • /
    • 2011
  • It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to develop various infiltration facilities for healthy water cycle and reduction of urban storm water runoff. In this study, a infiltration facility by utilizing tree box was developed. The developed facility is capable of reducing storm water road runoff, improving urban water cycle, and performing other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 functions. Because the facility can be manufactured to a smaller size than an existing runoff reduction facility, it can be installed at various road types of not only existing urban areas, but new developed areas. If the facility is applied to four-lane roadways, it is expected to reduce 65% of rainfall runoff discharge. Urban flood control improvement can be accomplished by a wid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technique.

Identifying High-Priority Management Areas for Developing the Urban Disaster Risk Management System for Flood (도시 재해저감 업무지원 시스템 구현을 위한 도시침수 중점관리 대상지 선정)

  • Kim, Mi-Eun;Kim, Seul-Ye;Lee, Sa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28-128
    • /
    • 2016
  • 전 세계적으로 물과 관련된 자연재해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세계재난데이터베이스(EM-DAT)에서 집계한 물과 관련된 중요한 자연재해의 피해액은 지난 50년 동안 많은 투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피해액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의 경우, 전 국토의 70% 이상이 산악지형으로 구성된 지형적 요인, 인구 및 사회기반시설이 집중되는 도시지역의 확대 현상, 빈번히 발생되는 이상강우와 강우강도의 증가 등으로 전국 곳곳에서 큰 침수피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침수의 저감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부처에서 도시계획적 및 방재차원에서 관련 정책을 제시하고 있지만 실무적 측면에서 실효성이 낮은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 담당자의 업무부담을 줄여주면서 기술지원이 가능한 도시침수 위험도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재해에 대해 평상시 위험도 정보를 기초로 시설투자, 개발계획 조정 등 사전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도시침수의 위험정도에 따른 지역 분석과 중점관리 대상지 선정 기준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해통계자료를 토대로 전국 226개 지자체에 대해, 최근 8년(2008~2014년) 간 발생된 호우 발생빈도와 피해액의 관계분석을 통하여 도시침수의 위험지역을 분류하였다. 국가재난정보센터의 재난통계기록의 호우발생횟수와 도시침수에 대한 피해정도를 고려하기 위해 건물과 공공시설에 대한 피해액을 분석항목으로 적용하였다. 이에 대한 도시지역의 침수발생에 대한 중점관리대상지 선정을 위하여 각 행정구역의 면적계수를 적용한 뒤 분위분석을 실시하였다. 호우 발생빈도와 피해액에 따라 위험도가 75% 이상으로 도시의 침수피해가 가장 높은 지역, 50% 이상이며 75% 미만인 지역, 25% 이상이며 50% 미만인 지역, 25% 미만으로 위험도가 가장 낮은 지역으로 도시침수 위험지역을 상세 분류하고 도시침수에 의한 중점관리가 필요한 대상지 35개 지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의 도시계획 및 방재 측면에서 도시침수와 관련된 저감대책을 고려 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고, 지자체별 지원 규모 설정 시 적정 기준제시가 가능할 것이다.

  • PDF

Estimation of phased warning water level for flood warning in disaster prone area in Busan (부산광역시 재난취약지역의 홍수 예·경보 발령을 위한 단계별 기준수위 산정)

  • Yoon, Eui Hyeok;Lee, Jae Hyeok;Lee, Yeong Gon;Shin, Hyun Sh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6-266
    • /
    • 2016
  • 2014년 8월 25일 시간당 130mm 이상의 폭우로 인하여 부산시 중구를 제외한 부산 전역에 걸쳐 인명 및 막대한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는 부산광역시의 지형특성상 고지대에 주택 등이 조밀하게 개발되어 불투수층의 증가 및 배수처리의 한계로 침수지역이 다량 발생하였고, 절개지 및 옹벽 등이 많은 지역, 소하천 및 산업단지 조성 후 지반이 약화된 지역 등에서 주로 피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부산지역에서 도시홍수로 인한 막대한 피해를 입은 기장군과 부산광역시 일부 유역에 대하여 홍수 예보 시설을 설치 운영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재해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재난취약지역으로 선정된 기장군 일대와 부산광역시 일대의 총 10개 지점(14개소)에 대하여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수위관측시스템 설치를 위한 적절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지점에 대하여 수리모형(HEC-RAS)을 구축하였다. 수리모형에서 산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 하천의 현실에 맞는 홍수 예 경보 발령을 위한 각 각의 4단계 기준수위(둔치위험 수위, 주의보 수위, 경보 수위, 하천범람 위험 수위)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각 지점별로 산정된 단계별 기준 수위를 이용하여 재난취약지역으로 선정된 기장군 6개 지점과 부산광역시 4개 지점에 대하여 "홍수 예 경보 발령을 위한 기준 수위 산정 결과"를 도출하였고, 위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광역시에 홍수 예 경보 발령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도심 재난 예방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위 지점에 대하여 지속적인 하천 정비 등의 사후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부산광역시의 다른 재난취약지역에 대하여 보다 개선된 홍수 예 경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현재 국가하천에 대하여 시행되고 있는 홍수 예보와 같은 재난 예방 시설의 구축과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체계적인 대응 방안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PDF

Integrated Risk Analysis for Mitigation the Urban Flood Disaster (도시홍수 피해 경감을 위한 통합 리스크 분석)

  • Lee, Jae Yeong;Keum, Ho Jun;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0-50
    • /
    • 2017
  • 도시홍수의 잠재적 위험은 홍수경감계획이 발전됨에 따라 감소하지만, 침수피해 가능성은 도시화와 도시 확장에 따라 증가한다. 침수피해 가능성에 대한 사전 파악 및 위험도 분석은 대규모 침수재해 발생 시의 위기관리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경제적 피해에 대한 예측은 재해발생 후 복구 및 복원 작업에 필요한 자원 할당에 매우 유용하며, 잠재적 홍수 피해에 대한 예측은 장기적인 홍수경감계획과 재해관리에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침수해석 모형의 결과로 산정 가능한 침수심, 유속 등의 지표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침수위험도를 산정하고, 침수 발생 위험이 있는 지역의 인문 사회 경제적 지표를 통해 피해 저감 및 복구성을 반영하기 위한 재해 취약인자를 선정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취약도를 산정하였다. 또한, 분석된 위험도와 취약도의 연산으로 통합리스크 분석을 실시하여 침수 발생 시 해당지역에 대한 피해 예상과 지역별 상대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위험도와 취약도 및 리스크 분석은 다양한 인자를 동시에 고려하기 위해 여러 개의 기준에 대한 선호도를 결정하거나 최적 대안을 선택하는 다기준의사결정(MCDM)기법을 적용하였으며, MCDM기법 중 보편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TOPSIS기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리스크 분석은 우리나라 전체, 특정 시도, 시군구, 읍면동 간의 침수피해와 관련한 상대적 비교 평가가 가능하며, 대응 및 대비의 관점에서 저감 대책 수립의 우선 지역을 도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침수피해 발생 후, 리스크가 큰 지역에 대해 우선적으로 복구 조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정된 지자체 예산 안에서 도시홍수 피해 경감 대책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of Level-Pool method for Flood and Storm Disaster Insurance Rate (풍수해보험요율 산정을 위한 Level-Pool 방법의 적용)

  • Yoo, Jae-hwan;Song, Ju-il;Jang, Moon-yup;Kim, Ha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62-262
    • /
    • 2015
  • 풍수해보험은 국민안전처가 관장하고 민영보험사가 운영하는 정책보험으로 국민이 예기치 못한 풍수해 피해에 대처할 수 있도록 보험료의 일부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보조해 주는 제도이다. 그러나 풍수해보험은 불합리한 보험요율체계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저조한 가입률을 보이고 있다. 현재 풍수해보험요율 산정시 과거의 피해이력만을 근거로 보험요율을 산정하고 있다. 또한 풍수해 보험은 태풍, 홍수, 호우, 강풍, 풍랑, 해일, 대설, 지진을 대상재해로 분류하고 있으나 동일 시군구 내에서는 재해요인별 원인별 가중치가 동일하게 적용되어 단일 보험요율을 적용하고 있다. 현재의 불합리한 보험요율체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향후 피해발생 위험을 고려하여 피해 특성에 따라 지역적으로 차등화된 보험요율을 적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풍수해보험요율 산정을 위해 풍수해보험 대상재해 중 내수침수에 대한 분석 방안을 제시하고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우선 다양한 내수침수분석방법 중 전국단위의 내수침수분석을 위해 경제성, 간편성, 정확성을 고려하여 Level-Pool 방법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기존 Level-Pool 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내수침수분석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시계획 용도지역을 고려한 수정 Level-Pool 방법을 제시하고, 풍수해저감종합계획과 비교 검토를 실시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제시한 수정 Level-Pool 방법을 울산, 대구, 경북, 강원지역에 적용하여 내수침수위험지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정 Level-Pool 방법을 통해 전국단위 내수침수 해석시 지역별로 차등화되고, 정확도가 높은 내수침수지역을 도출하여 풍수해보험요율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