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control effects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19초

농업용 저수지 증고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분석 (Analysis of Flood Control Effects of Heightening of Agricultural Reservoir Dam)

  • 이관재;박기욱;정영훈;정인균;정광욱;전지홍;이지민;임경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4호
    • /
    • pp.83-93
    • /
    • 2013
  •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of Korea is 1,277 mm and around 2/3 of annual precipitation and 74 %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occurred during monsoon period. In recent years, many agricultural reservoirs have been heightened to increase flood control capacity, reduce flooding damage at downstream areas, and provide sustainable environmental flow during drought period. Thus in this study, the flood control effects of heightening of reservoir banks were simulated with HEC-ResSim and HEC-RAS models. These modes were applied to Bonghak reservoir and it was found that flood control effects were 3~4.5 % with 7 -m heightening. Also, with proper operation (1 m lower of full water level) of reservoir right before the monsoon period, flooding at downstream could be prevented even with design storm of 80 -year recurrence interval. As shown in this study, heightening of agricultural reservoir provides positive effects in flood control and flood damage reduction.

HEC-HMS와 HEC-RAS모형의 연계에 의한 댐 유역의 홍수영향 분석 (Flood Effects Analysis of Reservoir Basin through the Linkage of HEC-HMS and HEC-RAS Models)

  • 이원희;김선주;김필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2호
    • /
    • pp.15-25
    • /
    • 2004
  •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irrigation reservoirs, a general and systematic policy is suggested to make balance of the conflicting purposes between water conservation and flood control. In this study, the flood effective analysis system was develop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long-term water budget analysis model, GIS-based HEC-HMS model and HEC-RAS model. The system structure consists of long-term water budget model using modified TANK theory, flood runoff and flood effects analysis model using HEC-GeoHMS, HEC-HMS and HEC-RAS models. The flood effects analysis system simulated the flood runoff from the upstream, downstream flood and long-term runoff of the watershed using the observed data collected from 1998 to 2002 of Seongju dam. The simulated results were reasonably good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The optimal management method of the reservoir during the whole season is suggested in this study, and the flood analysis system can be a useful tool to evaluate a reservoir operation quantitatively for the mitigation of flood damages of reservoir basin.

Fuzzy 집합 이론을 이용한 홍수조절효과 정량화 지표 개발 (Development of Flood Control Effect Index by Using Fuzzy Set Theory)

  • 김주욱;최창원;이재응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5B호
    • /
    • pp.415-429
    • /
    • 2011
  •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홍수기 다목적댐의 홍수조절효과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지표로는 유량조절률, 저수지 방류율, 저수지 저류율, 저수지 이용률 등이 있다. 이러한 평가지표들은 유입량, 방류량, 저류량 등의 자료를 단순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홍수조절효과 평가지표 산정식에 사용되는 자료들이 가지는 불확실성이 평가에 고려되지 못하고 있으며, 저수지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저수지 하류 지점에서의 홍수조절효과를 적절히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지표들은 수자원 시스템의 설계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부분적인 실패를 고려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므로, 홍수조절효과를 정량화 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종 변수들이 가지는 불확실성, 댐 하류지점에서의 홍수조절효과, 수자원 시스템에서 허용 가능한 부분적 실패를 고려하기 위하여 홍수조절효과 정량화 지표 개발에 fuzzy 집합이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홍수조절효과 정량화 지표를 이용하여 다목적댐의 홍수조절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 유역으로는 충주댐 유역을 선정하였고, 대상 홍수 사상으로는 2006년 7월의 홍수사상을 적용하였다. 개발한 홍수조절효과 정량화 지표를 이용하여 홍수조절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관련 인자들을 퍼지화하고 시스템의 상태로부터 허용 가능한 부분적인 실패 영역을 구분하여 홍수조절효과 정량화 지표를 산정하였다. 적용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통합 신뢰도-취약도 지수는 저수지의 홍수조절효과를 기존의 지표보다 구체적이고 객관화하여 나타낼 수 있었다.

재해저류지 위치결정과 용량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 (Study of a Process for Flood Detention Location and Storage Capacity)

  • 오건흥;박기범;장인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601-609
    • /
    • 2008
  • In this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rea due to the increasing of industry, population and spreading of urbanization is rapidly increasing but about seventy percent of our nation's areas consists of the mountainous districts. In such case, when those areas have the heavy rains break, they are washed away by a fast-flowing stream of a valley and overflowed. Thus it could result on human life and property damage and also the widespread of flood damage in the downstream area. To decrease those damage, the construction of flood control reservoir is necessary. This research was aim to construct the flood runoff models of a mountainous small district and to determine the probability rainfall by analyzing precipitation. The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location and size of flood control reservoir on flood reduc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struction of detention basin was an effective way to ensure the safety of flood control and multiple detention basin had superior result for reducing amount of runoff in the down stream area than the single detention basin.

홍수예측에 의한 예비방유 방안 (Preliminary Release Scheme by Flood Forecasting)

  • 심명필;이재형;권오익
    • 물과 미래
    • /
    • 제29권1호
    • /
    • pp.235-248
    • /
    • 1996
  • 홍수기중의 홍수조절과 이수의 서로 상반된 목적을 다루기 위해 예비방류 방안을 제안하였다. 예비방류 방안은 홍수조절목적의 가변제한수위와 이수목적의 최소확보 저수위를 고려하는 경우에, 홍수예측과 하류 조절점에서의 유량으로부터 저수지의 최적방류량을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본 모형은 대청과 충주다목적 댐을 대상으로 모의운영하였다. 예비방류의 시기와 크기를 결정하는 절차를 설명하고, 또한 과거의 홍수사상을 토대로 그 효과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모의운영한 결과에 의하면 예비방류 방식의 조절방안은 단일 다목적 저수지의 홍수기중 최적 운영계획을 수립하는데 효율적이며, 아울러 실제의 홍수시에는 실시간 운영과 병행하여 이용할 수 있다.

  • PDF

충주댐 방류에 따른 댐 상하류 홍수위 영향 분석 (Effect of Chungju Dam Operation for Flood Control in the Upper Han River)

  • 김상호;김지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537-54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06년 홍수시 충주댐 운영에 따른 댐 상 하류의 홍수위 상승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팔당댐 상류의 한강 본류에 위치한 충주댐을 기준으로 상류구간과 하류구간으로 구분하고, 1995년부터 2008년까지의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모형을 검보정함으로써 수리학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을 이용하여 충주댐의 유무를 가정하여 충주댐의 홍수조절효과를 검토하고, 방류량의 변화에 따른 상 하류 주요지점의 수위 상승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6년 홍수시 충주댐의 운영이 비교적 적절하게 수행되었음을 확인하였으나, 충주댐의 홍수조절효과는 댐 하류구간에 집중되어 있어 댐 상류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댐 배수구간 상류 하천의 기점수위 결정방법의 한계를 검토하였으며, 댐 배수구간과 상류 하천의 계획홍수량 불연속을 반영할 수 있는 기점수위 결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댐 상류하천의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설계 및 홍수피해 발생시 피해원인 분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과 홍수저감효과에 대한 댐 영향 분석 II (Dam Effects on Spatial Extension of Flood Discharge Data and Flood Reduction Scale II)

  • 정용;김남원;이정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3호
    • /
    • pp.221-231
    • /
    • 2015
  • 본 연구는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에 대한 중간 시설물 (e.g. 댐)의 영향 연구의 연장으로, 공간확장된 시간당 홍수 유출자료를 활용해 댐의 홍수조절 특성과 댐의 홍수저감률 변화를 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횡성댐과 충주댐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남한강 본류를 연구중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댐의 홍수저감률에 대한 댐 자체 분석에 의하면 홍수사상 크기가 커질수록 댐의 홍수저감률이 작아지는 것을 횡성댐과 충주댐 모두 보였다. 두 댐의 영향을 받는 여주 수위관측소에서 유역면적의 비와 홍수저감률과의 관계는 댐이 포함하는 유역이 커질수록 홍수저감률이 커지는 특성이 있으며 선정된 수위관측소에서의 평균 홍수저감률은 유역면적비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일예로, 첨두홍수량(peak discharge)을 기준으로, 횡성댐과 충주댐의 유역면적비가 0.02와 0.6인데 평균 홍수저감률이 0.01와 0.51로 나타났다. 댐에서 떨어진 거리의 수위관측소에서도 홍수의 크기에 따른 홍수저감률은 댐 자체의 홍수저감 특성과 동일하게 작용하였다. 댐의 홍수저감률에 대한 공간적 영향범위를 세 곳의 수위관측소(강천, 여주, 양평)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댐을 포함하는 유역면적의 7배에 해당하는 유역면적에서는 홍수저감률이 약 0.1이하로 떨어졌고, 최저 0.02까지 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효과분석 : (1) 홍수조절 및 생태적인 효과 (Effectiveness Analysis of Constructed Washland : (1) Flood Control and Ecological Effect)

  • 곽재원;김재근;김형수;유병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B호
    • /
    • pp.13-21
    • /
    • 2010
  • 최근에 들어서 홍수조절과 생태적 기능을 모두 만족시키는 방안으로서 천변저류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창녕군의 토평천 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우포늪의 상류 및 중하류에 분포하는 천변저류지를 조성하였을 경우 천변저류지로 인한 홍수조절 효과와 생태적인 효과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천변저류지로 인하여 홍수 조절 및 생물다양성 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러 천변저류지의 형식이나 조합에 따라서 효과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천변저류지를 설치할 경우 단순 홍수조절 효과만을 고려하여 평가하기 보다는 다양한 효과 분석을 통해 천변저류지를 조성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분석 (Effects of Agricultural Reservoir Rehabilitation on their Flood Control Capacities)

  • 전상민;강문성;송인홍;황순호;김계웅;박지훈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6호
    • /
    • pp.57-68
    • /
    • 2013
  • About 74 % of reservoirs in Korea are older than 40 years and their storage capacities have been decreased substantially. As part of reservoir reinforcement, the dam heightening project has been ongoing for about 110 reservoirs. The main purpose of the dam heightening project is to secure additional environmental water, while improving flood control capacity by gaining additional storage volu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servoir flood control capacity changes of dam heightening reservoir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additional storage volume. In this study, 13 reservoirs were selected for reservoir simulation of 200 year return period floods. Rainfall data of 1981-2100 were collected and divided into 4 periods (1981-2010; 1995s, 2011-2040; 2025s, 2041-2070; 2055s, 2071-2100; 2085s). Probability rainfalls and 200yr design floods of each period were calculated using FARD2006 and HEC-HMS. Design floods were used as inputs of each reservoir simulation using HEC-5. Overall, future probability rainfalls and design floods tend to increase above the past 1995s. Control ratios were calculated to evaluate flood control capacities of reservoirs. As a result, average flood control ratios were increased from 32.6 % to 44.2 % after dam heightening. Control ratios were increased by 12.7 % (1995s), 12.4 % (2025s), 10.3 % (2055s) and 10.9 % (2085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reservoir management structure in the future.

Panel Data 분석을 통한 홍수피해와 복구비 관계분석 (Panel Data Analysis between Flood Damage and Recovery Cost)

  • 박두호;김선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1호
    • /
    • pp.1-8
    • /
    • 2011
  • 본 연구는 패널자료(15개 시도의 20년간 자료)를 이용하여 홍수피해 비용과 복구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패널 분석은 자료의 성격에 따라 고정효과모형 또는 확률효과모형을 사용하지만 본 분석은 두 모형을 함께 추정하였다. 예상대로 모든 변수들은 복구비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사망자수와 이재민 수는 유의하지 않거나 오히려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공공시설의 피해가 가장 중요한 인자였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의 경우 복구비가 피해액이나 투자액에 비해 항상 높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와는 반대로 일본의 경우 복구비가 가장 낮고 투자비가 가장 높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결국 적절한 투자가 향후 홍수피해는 물론 복구비도 낮출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