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ating debri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3초

입자수치모의를 통한 낙동강 하구 해안부유쓰레기 거동 (The Behavior of Floating Debri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using a Simple Numerical Particle Model)

  • 유창일;윤한삼;김규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9-14
    • /
    • 2007
  • 본 연구는 낙동장 하구역에 유입되거나 발생된 해안부유쓰레기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3년 태풍 "매미" 내습시 하구둑 최대 방류량을 조건으로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해수유동장을 재현하고 제현된 유동장에 부유쓰레기로 대표되는 입자를 방출하여 입자들의 거동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입자수치모의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낙동강 하구역내 존재하는 부유쓰레기는 홍수유량시 72시간 경과시에 낙동강 하구역내 입자 분포 및 거동이 안정상태에 도달하였다. 공간상으로는 진우도를 포함한 가덕도 동측 해안의 경우 초기 33시간까지는 40%까지 증가하나 그 외 주변해역의 경우 $20{\sim}40%$ 범위를 유지하였다.

  • PDF

입자수치모의를 통한 낙동강 하구 부유(해안)쓰레기 거동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Behavior of Floating Debri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using a Simple Numerical Particle Model)

  • 유창일;윤한삼;김규태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23-28
    • /
    • 2007
  •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에 유입되거나 발생된 부유(해안)쓰레기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3년 태풍 "매미" 내습시 하구둑 최대 방류량을 조건으로 해수유동장을 재현하고 재현된 유동장에 부유쓰레기로 대표되는 입자를 방출하여 입자들의 거동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낙동강 하구역내 존재하는 부유쓰레기는 홍수유량시 72시간 경과시에 낙동강 하구역내 입자분포 및 거동이 안정상태에 도달하였다. 공간상으로는 진우도를 포함한 가덕도 동측 해안의 경우 초기 33시간까지는 40%까지 증가하나 그 외 주변해역의 경우 $20{\sim}40$ % 범위를 유지하였다.

  • PDF

딥러닝 기반 육상기인 부유쓰레기 탐지 모델 성능 비교 및 현장 적용성 평가 (A Performance Comparison of Land-Based Floating Debris Detection Based on Deep Learning and Its Field Applications)

  • 박수호;장선웅;김흥민;김탁영;예건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93-205
    • /
    • 2023
  • 집중강우 시 육상으로부터 다량으로 유입된 부유쓰레기는 사회, 경제적 및 환경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나 부유쓰레기 집적 구간 및 발생량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는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드론 영상과 딥러닝 기반 객체탐지 모델을 활용하여 수계 내 광범위한 지역을 신속하고 효율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육상기인 부유쓰레기의 효율적인 탐지 기법을 제시하기 위해 드론 영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미지를 확보하여 You Only Look Once (YOLO)v5s와 최근에 개발된 YOLO7 및 YOLOv8s로 학습하여 모델별로 성능을 비교하였다. 각 모델의 정성적인 성능 평가 결과, 세 모델 모두 일반적인 상황에서 탐지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미지의 노출이 심하거나 수면의 태양광 반사가 심한 경우 YOLOv8s 모델에서 대상물을 누락 또는 중복 탐지하는 사례가 나타났다. 정량적인 성능 평가 결과, YOLOv7의 mean Average Precision (intersection over union, IoU 0.5)이 0.940으로 YOLOv5s (0.922)와 YOLOvs8(0.922)보다 좋은 성능을 나타냈다. 데이터 품질에 따른 모델의 성능 비교하기 위해 색상 및 고주파 성분에 왜곡을 발생시킨 결과, YOLOv8s 모델의 성능 저하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YOLOv7 모델이 가장 낮은 성능 저하 폭을 보였다. 이를 통해 수면 위에 존재하는 부유쓰레기 탐지에 있어서 YOLOv7 모델이 YOLOv5s와 YOLOv8s 모델에 비해 강인한 모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딥러닝 기반 부유쓰레기 탐지 기법은 부유쓰레기의 성상별 분포 현황을 공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향후 정화작업 계획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제주도와 중국 청도의 항로상에 부유하는 해양폐기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loating Debris on the Cruising Routes from Cheju Island to Qindao Harbor in the Yellow Sea)

  • 김민석;김종화;김삼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203-215
    • /
    • 1999
  • Floating debris was recorded from a training ship, Kaya,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ith about 12 knots speed at July 19~21, 1999 and July 24~26. The sampled area is the Yellow Sea (YS) connected from Cheju Is. of Korea to Qindao harbor of China, divided into 88 unit segments on survey routes. Debris fabrication materials were categorized with 6 items using the following; man-made or natural wood items, paper and cardboard, nylon netting and rope, styrofoams, vinyl and plastics, floating metal and glass containers. All identified items within a $120{\pm}20m$ wide band were recorded but ignored if beyond this boundary. The results of distribution of floating debris in the area are as follows: 1. The greatest quantities of marine debris discovered during the survey were $184pieces\;per\;km^2$ near Qindao harbor. The next polluted areas, Sohuksan islands, positioned in the eastern part of YS were scattered in about $40pieces/km^2$ or so. 2. Among items, woods, paper and cardboard, vinyl and plastics were found out near Qindao Coast of China.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many styrofoams, nylon netting and rope near the area of Sohuksan islands in the eastern part of YS. 3. The distribution densities of western part of YS near Qindao are varied with largely range in items and quantities but those of the eastern part, near Sohuksan islands were nearly constant. 4. Styrofoams were composed of 63% among all debris in YS, next paper and cardboard 15%, and wood item, vinyl and plastics each 10%. Therefore, marine debris of YS is revealed tha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are very different in each area. These phenomena are concluded that they largely depend on the life styles in land and the utilities of the sea. And of items, styrofoams is dominated by the distribution pattern of YS. Furthermore, surveys are continuously being investigated, and from this it is hoped that a much wider coverage can be achieved, perhaps all sites of the YS and contributed to the finding sources, the stationary area and removal method of debris joined the flow patterns.

  • PDF

다단식(다단식) 토석류 방호책을 이용한 재해방지 시스템 (Hazard Prevention using Multi-Level Debris Flow Barriers)

  • 이성욱;최승일;최우경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15-829
    • /
    • 2008
  • Debris flows are a natural hazard which looks like a combination of flood, land and rock slide. Large rainfall in July 2006 produced several large scale debris flows and many small debris flows that resulted in loss of life and considerable property and railway damage, as was widely reported in the national media. The hazard "debris flow" is still insufficiently researched. Furthermore debris flows are very hard to predict. Flexible Ring net barriers are multi-functional mitigation devices commonly applied to rock fall or floating wood protection in floods, snow avalanches and also mud flows or granular debris flows, if properly dimensioned for the process or processes for which they are intended. Overtopping of the barriers by debris flows and sediment transport is possible, supporting the design concept that a series of barriers may be used to stop volumes of debris larger than are possible using only one barrier. The future for these barrier concepts looks promising because these barriers represent the state of art for such applications and are superior to many other available options.

  • PDF

부유성 해양 폐기물에 의한 동지나해의 해양오염(I) - 해역별 수량 분포를 중심으로 - (Marine Pollution of the East China Sea by Floating Marine Debris(I) - Temporal quantity distribution of each zone -)

  • 김종화;김용복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642-647
    • /
    • 2011
  • In orde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loating marine debris (FMD) in the East China Sea (ECS), a sighting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st to July 14th, 2009 navigating about 966 km using a training vessel "Kaya (1,737 ton)"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The sampled zones are divided into 5 transect by observation day during the survey days and again specified with 45 segments per unit hour on the survey routes. The results of distribution of FMD are as follows: 1. The quantities of FMD at the central China Sea(CE) and northern part of Taiwan(NT) were found as total mean of 90.8 ea/hr, 56.7 ea/hr, respectively, and also 36.8 ea/hr, western part of Kyushu district(WJ), 10.7 ea/hr, 8.0 ea/hr, western(OK1) and northern part(OK2) of Okinawa, respectively. 2. Temporal variation of FMD is represented by depicting the sinusoidal curve as shape as tide in CE and OK1. 3. The higher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s as likely as if Kuroshio current exists strongly, the less quantities ar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coastal zone of ECS and near of Yellow Sea are increased by lower SST.

Kuroshio 해류의 흐름장에 부유하는 해양 폐기물의 변동 특성 (Variability of Floating Marine Debris on the Kuroshio Current Area)

  • 김종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1358-1365
    • /
    • 2014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ability of floating marine debris(FMD) on the Kuroshio Current Area(KCA). A sighting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5th to July 16th, 2013 while navigating on KCA from Keelung, Taiwan to Tokyo, Japan using T/V KAYA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The sampled zones were divided into 6 transects and observed FMD during daytime in each transect. And also specified with 56 segments by defined one hour tracking distance as one segment on the survey rou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Hourly deviation of FMD's quality in each transect goes up to 10 times at NT, HS and SK. The others 3 times or so. 2. During the surveys, the largest amounts of it were found as total mean of $31.0num(ea)/km^2$ at NT transect in the northern part of Taiwan. So it is estimated because this area has gotten out of KCA. 3. And also quality of it on KCA was not directly related to Kuroshio Current's strong or weak. In conclusion, For the more detailed results on KCA are required of much more surveys.

낙동강 유출 부유쓰레기의 거동 특성 (Behavior Characteristics of Floating Debris Spilled from the Nakdong River)

  • 장선웅;김대현;정용현;윤홍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7-136
    • /
    • 2014
  • 낙동강은 하구의 수문 개방 시 연간 수천 톤의 쓰레기가 남해로 유입되어 인근 연안을 이동하며 사회 경제적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낙동강 유출 부유쓰레기의 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2년 장마, 태풍 내습 시를 대상으로 피해지로 추정되는 거제도 북동측 해안 1개소에 대한 조사와 부이를 활용한 이동 경로 추적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해양기상 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부유쓰레기의 이동과 관련된 흐름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장마 시기인 7월 16일 초목류를 비롯한 총 40톤 정도의 쓰레기가 흥남해수욕장으로 유입되었다. 또한 9월 14일 태풍 '산바' 내습 시기에 투하된 위치 추적 부이는 가덕도 남쪽 해상을 지나 1 ~ 2일 후 거제도 해안가로 유입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부유쓰레기와 위치 추적 부이가 거제도 북동측 해안가로 유입될 당시 거제 해역에서 북동풍계열의 풍향이 지배적이었으며 연안으로 유입되는 공통적인 해수 표층 흐름이 나타났다.

무인 컨베이어 벨트식 부유쓰레기 및 고점도유 회수장비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an Unmanned Conveyor Belt Recovery Skimmer for Floating Marine Debris and High Viscosity Oil)

  • 한상구;이원주;장세현;최재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8-215
    • /
    • 2017
  • 원유나 벙커C유와 같은 지속성 기름이 해상에 유출되면 풍화과정을 거쳐 점도가 높아지고, 부유 쓰레기와 섞이게 되면 이를 수거할 수 있는 장비는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유회수기의 외부에 위치한 부속장치들을 본체 내부로 배치하고, 컨베이어 벨트와 강제유입장치인 스위퍼 및 부력체를 탑재한 수집조로 구성하여 자항과 리모트컨트롤이 가능한 무인 컨베이어 벨트식 부유쓰레기 및 고점도유 회수장비를 개발하였다. 실해역 테스트에서 30 m의 거리를 1.2 knots의 속도로 자항하며, 전 후, 좌 우에서 안정적인 균형유지와 구동부의 정상작동을 확인하였다. 임시저장조를 이용한 유회수 성능테스트 결과, 최소 $7.8k{\ell}/h$에서 최대 $23.3k{\ell}/h$까지 유출유 회수가 가능하였다. 또한, 페트병 등 부유쓰레기와 유출된 기름이 혼합된 조파수조에서 실시한 회수량 측정 테스트 결과는 $7.7k{\ell}/h$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장비가 해상기름오염사고 시 현장에 신속하게 투입된다면 방제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현재 운용중인 Portable 유회수기의 성능개선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단식(多段式) 유연성 토석류 방지시설에 관한 적용성 검토 연구 (Hazard Prevention Using Multi-Level Debris Flow Barriers)

  • 백용;최영철;권오일;최승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8호
    • /
    • pp.15-23
    • /
    • 2010
  • 토석류는 사면 붕괴, 산사태, 홍수 등과 같은 인명 및 재산피해를 수반하는 자연재해의 일종이다. 2006년 7월 집중호우로 인하여 대규모 토석류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고속국도, 일반국도, 철도 등의 국가 기간망이 통제되어 언론에 보도되는 사태가 발생하곤 하였다. 토석류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충실히 수행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원인으로는 예측이 매우 어려웠을 뿐 아니라, 발생위치가 산지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 도심지 및 주택가에서 발생하지 않아 국민들에게 부각되지 않았던 이유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방댐 등의 대책방안이 수립되어 적용되어 오고 있으나, 단점 및 보완점을 개발하여 새로운 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계곡부의 특성 및 형상에 따라 다단계의 유연성 시설물을 설치함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대상지역을 2개소 선정하여 적용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Site A, B 지역에 토석류 방지시설이 각각 17개와 13개가 설치요구되었다. 향후 토석류에 대한 체계적인 지침 및 방안에 대하여 정립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