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lickering artifact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Noise removal or video sequences with ,3-D anisotropic diffusion equation (3차원 이방성확산 방정식을 이용한 동영상의 영상잡음제거)

  • Lee, Seok-Ho;Choe, Eun-Cheol;Gang, Mun-Gi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39 no.2
    • /
    • pp.79-86
    • /
    • 2002
  • Nowadays there is a trend to apply the diffusion equation to image Processing. The anisotropic diffusion equation is highly favoured as a noise removal algorithm because it can remove noise while enhancing edges. However if the two dimensional anisotropic diffusion equation is applied to the noise removal of video sequences, flickering artifact due to the luminance difference between frames and ghost artifact due to the interfiltering between frames occur. In this paper the two dimensional anisotropic diffusion equation is extended to the sequence axis. The Proposed three dimensional anisotropic diffusion equation removes noise more efficiently than the two dimensional equation, and furthermore removes the flickering and ghost artifact as well.

An Efficient Video Dehazing to Without Flickering Artifacts (비디오에서 플리커 현상이 없는 효율적인 안개제거)

  • Kim, Young Min;Park, Ki Tae;Lee, Dong Seok;Choi, Wonju;Moon, Young Shi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8
    • /
    • pp.51-57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to effectively eliminate flickering artifacts caused by dehazing in video sequences. When applying a dehazing technique directly to each image in a video sequence, flicker artifacts may occur because atmospheric values are calculated without considering the relation of adjacent frames. Although some existing methods reduce flickering artifacts by calculating highly correlated transmission values between adjacent frames, flickering artifacts may still occur.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flickering artifacts, we propose a novel approach considering temporal averages of atmospheric light values calculated from adjacent frames. Experimental results have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better performance of video dehazing with less flickering artifact than existing methods.

Measurement of Flickering Artifact for H.264 with Periodic I-Frame Structure (주기적 I-프레임 구조의 H.264 부호화 동영상을 위한 플리커링 측정 알고리즘)

  • Lim, Jong-Min;Kang, Dong-Wook;Jung, Kyeong-Hoo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5 no.3
    • /
    • pp.321-331
    • /
    • 2010
  • Most of multimedia video coding algorithms are lossy schemes and several kinds of spatial and temporal artifacts are inevitable. Flickering, which is the most typical coding artifact in time domain, is mainly due to fact that the quality of coded sequence fluctuates as the quantization parameter is adjusted for rate control.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effect of quality vari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ideo sequence when the I-frames are periodically inserted. And we proposed the FR(Full Reference)-based assessment algorithm to measure the amount of flickering artifacts in the coded video. It is discovered that the flickering becomes critical when the level of quality is intermediate and is affected by the amount of detail or movement, the size of object, and camera parameters. The proposed measurement algorithm shows is well consistent with HVS(Human Visual System).

A HDR video tone mapping operator reducing the flickering artifact by using average luminance of frames (프레임 평균 밝기를 이용하여 프레임간 깜박임 현상을 줄이는 HDR 동영상 톤 매핑 방법)

  • Kim, Dae Eun;Kim, Munchur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455-456
    • /
    • 2015
  • 본 논문은 HDR(high dynamic range) 동영상을 기존의 LDR(low dynamic range) 디스플레이 단말에 표현하기 위해 톤 매핑을 수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프레임간 깜박임 현상(flickering artifact)을 줄이는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HDR 동영상의 톤 매핑 문제에 있어 HDR 정지영상을 대상으로 개발된 많은 톤 매핑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 시간 축 정보가 고려되지 않아서 깜박임 현상이 발생하여, 주관적 화질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프레임간 깜박임 현상을 줄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의 평균 밝기 정보를 이용하여 HDR 동영상 통 매핑 과정에서 프레임간의 밝기 일관성이 유지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The Analysis of Flickering Artifact of Multimedia Video in DMB Environment (DMB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동영상의 화면 떨림 현상 분석)

  • Lim, Jong-Min;Kang, Dong-Wook;Jung, Ky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11-114
    • /
    • 2009
  • 멀티미디어 동영상의 부호화 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손실 부호화(lossy coding)이기 때문에 압축된 동영상에는 불가피하게 화질의 열화가 포함된다. 압축의 정도가 심하지 않거나 압축을 하더라도 영상이 단순하고 움직임이 적은 경우에는 이러한 열화의 영향이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압축률이 너무 높거나 원본 영상에 포함된 움직임이 복잡하거나 공간적으로 세밀한 영역이 많은 경우에는 손실이 심하여 시각적으로 거슬리는 다양한 잡음이 발생한다. 화면 떨림(flickering)은 시간 영역에서의 대표적인 부호화 잡음으로서 프레임율(frame rate)이 너무 낮은 경우에 움직임이 자연스럽지 않고 불연속적으로 튀거나 부호화 비트율(bit rate)을 제어하기 위해서 양자화 파라미터를 변동하는 과정에서 연속되는 프레임들의 화질에 차이를 보이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본 논문에서는 DMB 환경에서 사용되는 주기적으로 I 프레임이 삽입되는 GOP(Group of Picture) 구조에서 화면 떨림 현상의 원인을 파악하고 멀티미디어 동영상의 시공간적 특성에 따라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화면 떨림 현상을 분석한다. 실험 영상으로서 시공간적으로 다양한 특성을 보이며 H.264/AVC방식으로 부호화된 10개의 동영상을 선택하였으며, 양자화 파라미터를 낮은 화질의 영상에서부터 높은 화질의 영상까지 변화시키면서 화면 떨림 현상의 존재 여부 및 정도를 살펴보았다. 실험의 결과로 화면 떨림 현상은 영상의 화질이 너무 좋거나 너무 나쁘지 않은 중간 영역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호화 잡음이며, 프레임 내의 세밀함의 정도, 움직임의 정도, 객체의 크기, 카메라의 움직임 등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