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esh browning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3초

부유 단감 과실의 과육 갈변에 대한 에틸렌의 영향 (The Effect of Ethylene on the Fruit Flesh Browning in Fuyu Persimmon)

  • 최성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9-44
    • /
    • 1997
  • Ethylene was treated or inhibited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the physiological changes related to induction of flesh browning in Fuyu persimmon fruit. The response of fruit to ethylene was so slight, that the Fuyu fruit seemed to possess a similar characteristic to non-climacteric fruit. The flesh browning was however enhanced by ethylene treatment, although any significant increment of phenolic content or PPO activity in flesh tissue was not detected. Ethylene induced not only increasing of ion leakage from fruit tissue, but the fatty acids extracted from ethylene-treated fruit tissue were also more saturated. It was suggested that ethylene be related in the changing of membrane permeablity via saturating of fatty acid in membrane lipid. That could result in increased leakage of vacuole-stored phenolic compounds, which oxidized further by PPO to cause fruit flesh to brown.

  • PDF

The Potassium to Magnesium Ratio Enables the Prediction of Internal Browning Disorder during Cold Storage of Asian Pears

  • Seo, Ho-Jin;Chen, Po-An;Lin, Shu-Yen;Choi, Jin-Ho;Kim, Wol-Soo;Haung, Tzu-Bin;Roan, Su-Feng;Chen, Iou-Ze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4호
    • /
    • pp.535-541
    • /
    • 2015
  • 'Taichung No. 2' is a new Asian pear cultivar developed in Taiwan with low chilling requirement; however, is likely to develop internal browning disorder under low temperature storage conditions.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storage time on flesh browning disorder in pears harvested from 22 orchards in 2010 and 2011, and analyzed the levels of nutrients in different fruit parts such as the peel, flesh, and core. Calcium and potassium contents were higher in the flesh and peel, respectively, of more severely browned fruits, whereas a lower magnesium content was recorded in the peel and core of these fruits. Nitrogen and potassium contents in the peel, and calcium content in the flesh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rowning disorder severity. By contrast, the magnesium content in the co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rowning disorder severity. However, the nutrient contents in fruits varied between the two sampling years considered. Only the K/Mg ratio was an effective predictor of the browning disorder severity and showed a positive linear correlation in the two years. We recommend that the K/Mg ratio should be lower than 10 to avoid severe browning disorder in pears.

단감 과실의 과육 갈변과 세포막 투과성 및 지방산 조성 변화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Flesh Browning, Membrane Permeabi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Fuyu Persimmon Fruits)

  • 최성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5-39
    • /
    • 1998
  • The cell membrane properties in relation to flesh browning of Fuyu persimmon fruits during CA storage were studied. Compared to intact fruits, the flesh tissue of browned fruits showed higher rate of electrolyte leakage, indicating incresed membrane permeability.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increased membrane permeability results in 1eakage of phenolic compounds from vacuole and their oxidation by contacting with PPO, inducing finally the development of flesh browning. In addition, lower content of fatty acids and higher saturation rate of them were found in browned fruits. In conculu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inhibited fatty acid metabolism and fatty acid saturation during CA storage cause membrane Permeability to increase.

  • PDF

Relationship between Preharvest Factors and the Incidence of Storage Disorders in 'Fuji' Apples during CA Storage

  • Kweon, Hun-Joong;Kim, Mok-Jong;Moon, Yong-Sun;Lee, Jin-Wook;Choi, Cheol;Choi, Dong-Geun;Lee, Dong-Hoon;Kang, In-Kyu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1호
    • /
    • pp.50-55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pre-harvest factors on fruit quality and the incidence of storage disorders in 'Fuji' apple during CA storage. Incidence of storage disorders varied, depending on the growing regions, field conditions, and altitude of the orchards. Results indicated that fruit maturity may play a crucial role in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flesh browning and watercore. The incidence of these storage disorders increased with fruit maturity until 180 days after full bloom (DAFB). In addition, occurrence of watercore was correlated with the incidence of flesh browning during CA storage. The incidence of flesh brown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um of the diurnal temperature range from September through October and amount of precipitation from August to October in 1996-1999 growing year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Fuji' apple should be harvested no later than 180 DAFB because the late harvested fruits were prone to development of watercore which was correlated with the incidence of flesh browing during CA storage in Korea.

신품종 배 '감천'과 '추황'의 수확시기에 따른 저장반응 (Storage Response of 'Kamchun' and 'Chuhwang' Pears by Harvest Dates)

  • 황용수;천종필;이재창;서정학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1호
    • /
    • pp.48-53
    • /
    • 2001
  • 본 연구는 신품종 '감천'과 '추황' 배 과실에 있어 수확시기에 따른 저장성을 조사하여 이들 품종의 수확 후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감천'은 대과로서 당도는 13.2% 이상으로 수확시기에 관계없이 높았고 산도는 0.082% 이하로 낮아 전반적인 품질이 우수하였고 저장 중 과피 흑변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지만 과심 갈변이 10월 중순 이후 수확한 과실에서 40% 정도로 높게 발생하였다. '추황'은 경도가 높고 산함량이 높으며 저장 중 과피 흑변이 수확시기에 관계없이 80% 이상 높게 발생하였고 과육갈변도 조기 수확한 과실에서 심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수확 후 생리적 장해를 회피할 수 있는 적절한 수확시기와 이들 장해를 방지할 수 있는 수확 후 관리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지연 Controlled Atmosphere(CA)저장이 저장 중 '후지'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layed CA Treatment on Fruit Quality of 'Fuji' Apples During Storage)

  • 권헌중;최동근;이진욱;정희영;정명근;강인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2-208
    • /
    • 2013
  • 본 연구애서는 '후지' 사과의 CA 저장을 실용화하기 위하여 수확시기와 일정기간 저온저장한 후 CA 환경을 설정하는 지연 CA 처리가 저장 중 내부갈변장해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차 년도에 '후지' 사과를 10월 22일에 수확하였을 때 밀병 발생율이 40%였고, CA 환경 조성($O_2\;2.5{\pm}0.5%+CO_2\;2.5{\pm}0.5%$)을 20일 지연 CA 저장하였을 때는 내부갈변이 발생하였으나, 30일 지연 CA 저장에서는 내부갈변이 발생하지 않았다. 2차 년도에는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밀병 발생율이 높았고, 이러한 과실은 10~30일 지연 CA 처리구에서 내부갈변장해가 발생하였으나, 40일 지연 CA 처리구에서는 내부갈변장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호흡량은 저온저장 과실에서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지연 CA 저장에서는 호흡량이 낮게 유지되었고, 급속 CA 저장에 비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에틸렌 발생량은 지연 CA 저장한 과실들이 저온저장에 비해서 낮았으나, 급속 CA 저장에 비해서는 다소 높은 발생량을 보였다. 산 함량은 지연 CA 저장이 급속 CA 저장에 비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경도는 저장 8개월 후에도 급속 CA 처리구와 지연 CA 처리구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minoethoxyvinylglycine 및 열처리가 '후지' 사과의 CA 저장 동안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minoethoxyvinylglycine Application and Heat Treatment on Fruit Quality of 'Fuji' Apples during CA Storage)

  • 권헌중;김목종;이진욱;최철;윤태명;강인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5호
    • /
    • pp.527-533
    • /
    • 2012
  • '후지'(/M.9, 8년생) 나무를 대상으로 '후지' 사과의 수확 전 AVG처리와 수확 후 열처리에 따른 과실의 저장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후지' 사과에 AVG $75mg{\cdot}L^{-1}$을 만개 후 150일과 175일에 처리한 후 과실을 만개 후 185일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수확하여 저장하였을 때, 호흡량과 에틸렌 발생량은 AVG처리 과실이 무처리 과실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그리고 산 함량과 경도는 더 높게 나타났다. 내부 갈변은 무처리 과실에서는 모두 발생하였지만, AVG 처리 과실은 마지막 수확 일을 제외하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후지' 사과를 $38^{\circ}C$에서 3일, $46^{\circ}C$에서 6시간 동안 열처리 후 CA 저장하였을 때 호흡량과 에틸렌 발생량은 무처리 과실에 비해 현저히 억제되었다. 내부 갈변 발생률은 $46^{\circ}C$ 열처리(5%)와 $38^{\circ}C$ 열처리(14%)가 무처리(38%)에 비해 적었다. 그러나 산 함량은 열처리한 과실이 무처리 과실에 비해 낮았다.

'부유' 단감 과실에서 저장 후 생리적 장해 발생과 호흡 및 에틸렌 생성의 상호 관계 (The Association of Post-Storage Physiological Disorder Incidence with Respiration and Ethylene Production in 'Fuyu' Persimmon Fruits)

  • 안광환;송원두;최성진;이동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83-287
    • /
    • 2004
  • 단감 과실은 저온 저장 후 유통 과정에서 상온에 노출될 경우 과육의 연화, 과피 흑변, 과육 갈변 등의 생리적 장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과실의 호흡과 에틸렌 생성의 관점에서 이러한 장해 발생의 원인을 고찰하였다. 저온 장해 증상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는 과육의 젤리화를 동반하는 연화 현상은 저온 저장한 과실을 MA 포장하지 않은 채 상온에 노출하였을 때 3일 이내에 심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30^{\circ}C$ 조건에서는 $20^{\circ}C$에서 보다 장해 발생이 감소하였으며 온도에 따른 장해 발생 차이의 양상은 에틸렌 생성의 차이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에틸렌의 작용이 억제되는 것으로 알려진 MA 포장 과실에서도 이러한 연화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과육의 젤리화 현상이 에틸렌의 생성 또는 작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인다. 한편, 과피 흑변 현상은 저온 저장한 과실을 대기에 직접 노출하였을 때 심하게 발생하나 PE-film으로 포장한 과실에서는 발생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발생 양상은 에틸렌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과육의 젤리화 현상의 발생 양상과도 유사하지만, 에틸렌 생성이 그다지 높지 않은 $10^{\circ}C$ 조건에서 오히려 과피 흑변 발생이 증가한 점에 비추어 볼 때 과피 흑변 발생의 일차적인 원인은 높은 산소 농도와 관련이 있고, 과육의 갈변은 무기 호흡이 유발되는 조건, 즉 두꺼운 PE-film으로 MA 포장하여 고온에 노출시킨 조건에서만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조건에서 유효 산소 농도의 갑작스런 저하가 과육의 갈변 장해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생각된다.

단감의 품종별 과정부 갈변률과 과육조직의 해부학적 관찰 (Calyx-End Browning in Various Persimmon (Diospyros kaki) Cultivars and Anatomical Observations in Flesh Tissues)

  • 나양기;김월수;박희승;최현석;최경주;이연;이유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9-120
    • /
    • 2011
  • 단감(Diospyros kaki) 저장시 문제되는 과정부 갈변은 품종마다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감품종의 일반적인 과실의 물성특성을 파악하고, 저장 100일 후에 각 품종의 과육갈변이 세포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단감 품종은 '부유'(Fuyu), '차랑'(Jiro), '상서조생'(Uenishiwase), '대안단감'(Daiandangam), '로-19'(Ro-19)이며 2003년 10월말에 수확해서 저장 100일 후에 조사하였다. 과실의 각 물성의 특성은 품종마다 다양하였고, '차랑'과 '로-19'는 갈변과가 관찰되지 않았고, '대안단감'의 경우 80%에 가까운 과육 갈변과가 나타났다. 과육 갈변과 발생이 많은 품종인 '부유', '상서조생', '대안단감'과, 과육 갈변과가 발생하지 않는 '차랑' 및 '로-19'와의 과피구조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차랑'은 과피층이 외표피층을 포함하여 1~2층으로 형성되어서 갈변이 유도될 만한 세포층 자체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이며, '부유'는 과피층이 2~3층으로 갈변이 유도될 만한 세포층을 제공한 것으로 판단된다. 정상과와 갈변과의 전체적인 조직의 구조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못하였으나, 갈변과의 경우 과육 내 소포 소기관이 구별이 되지 못했고, 세포벽의 분해가 진행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감자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The Nirite Scab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otato Extracts)

  • 강윤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78-483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unctional properties of 70% acetone extract in different parts of two potato varieties. 'Superior' and 'Atlantic' potato were processed by following method. Potatoes are washed, peeled, sliced and steamed before hot air drying for flesh and peel powder. Hunter's L and b values of flesh powder from blanched 'Superior' potato were higher than flesh powder from fresh 'Superior' potato. Discoloration of 'Superior' potato was inhibited by steam blanching.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chlorogenic acid in the 70% acetone extract of 'Superior' potato were higher than those of 'Atlantic' potato paticularly in the blanched flesh and peel. But flavonoid was not detected in flesh extract. The phenolic concentration was not decreased by the heat treatment. The nitrite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greatest at the tuber peel including the skin and cortex tissue 1mm beneath the skin. From the above results browning reaction and polyphenol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potato slices were dependent on cutivars. Peels contained more polyphenols than those from the flesh. The results indicate that potato peel extract of steam blanched plus hot air dried potato tuber showed the effectiveness as a natural nitrite scavenger and antioxida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