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vor profile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6초

Comparative Quality Traits, Flavor Compounds, and Metabolite Profile of Korean Native Black Goat Meat

  • Shine Htet Aung;Edirisinghe Dewage Nalaka Sandun Abeyrathne;Md. Altaf Hossain;Doo Yeon Jung;Hyun Cheol Kim;Cheorun Jo;Ki-Chang Nam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39-658
    • /
    • 2023
  • Although goat meat has several health benefits than other red meats but comsumers reluctant it due to its unpleasant flavo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odorant of goat meat as well as compare the quality traits of meat regarding sex status. The loin meats [non-castrated male (NCM), castrated male (CM), and female (FM)] were collected and stored at 4℃ in a laboratory refrigerator and analyzed on the 1st, 5th, and 8th consecutive days. The moisture content was the lowest and the protein content was highest in FM (p<0.05). Fat and ash content in NCM and FM were similar while lowest in CM. The CIE 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CM,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CIE a* and CIE b* within groups at initial day. The color intensity increased on the 5th storage day and decreased again after the 8th storage day, except in NCM. NCM displayed the highest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 (p<0.05), whereas CM displayed a higher pH value than other groups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Indole levels were the highest in NCM (0.031 mg/kg); however, skatole level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ll treatments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between NCM and CM (p>0.05), wherea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FM (p<0.05). Most of the water-soluble metabolit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xes. Overall, sex status effects on quality properties of meat and castration can improve the overall sensory acceptance by reducing goaty flavor of Korean native black goat meat.

녹차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조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oking Properties of the Noodle Made of Composite Flour with Green Tea Powder)

  • 현영희;황윤경;이윤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95-304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oking properties of noodles made from composite flour blended with green tea powder. As the ratio of green tea powder increased, development time was long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stability of dough showed higher value than the control except 2% addition group. The highest viscosity was at the 4% addition group. but 2% addition group showed the lowest viscosity. As the additional ratio of green tea powder was increased. the volume expansion ratio was increased, but water soluble solid matters contents in all addition groups had a lower level than that of the control. Also, the yellowness level of noodle was increased, but the brightness, redness and color and flavor acceptability was decreased, as the additional ratio was increased. However. 2~4% addition group of green tea powder had a similar acceptability profile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 PDF

대두 Cheese의 제조와 그의 일반 성분 및 수응도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various soy cheese and thei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 양경순;윤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5-80
    • /
    • 1987
  • For the manufacture of soybean cheese, curds were made from soy milk using either lactic starter or CaCl$_2$and ripened for 3 weeks. When papain was added during ripening, the amout of soluble protein increased. The yields of 3 soybean cheese were 76~88%, indicating that considerable loss of soy protein did not occur during the processing. During the period of ripening the change of moisture content was about 1 n. Total acidity of 3 soy cheese increased, demonstrating the production of lactic acid through lactic fermentation. Texture determined by Instron showed that 3 soy cheese had their own characteristic texture profile curve and that the cheese without papain treatment received the highest textural parameters. 3 manufactured soy cheese received 3-4 (good-very good) sensory scores in appearance, flavor and texture. General acceptibility of 3 cheese were evaluated as desirable or very desirable.

  • PDF

Effect of Fatty Acid Profiles on Sensory Properties of Beef Evaluated by Korean and Australian Consumer Group

  • Cho, S.H.;Park, B.Y.;Kim, J.H.;Hwang, I.H.;Kim, D.H.;Kim, Y.K.;Lee, J.M.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제34차 추계 국제 학술대회
    • /
    • pp.301-304
    • /
    • 2004
  • Total contents of fatty acid compositions such as SFA, MUFA, and PUFA affected the beef preference more for Korean consumers than for Australian consumers while most of fatty acids had no relationship with the beef preference for Australian consumers. Although variations in the absolute concentration and in the relative proportions of different fatty acids would affect the flavor profile, the effect of fatty acids on the preference for clustering depended more on consumer groups than on beef origin.

  • PDF

노지 및 시설에서 재배된 한라봉의 기기분석 및 관능평가에 의한 향기특성 (Volatile Flavor Properties of Hallabong Grown in Open Field and Green House by GC/GC-MS and Sensory Evaluation)

  • 송희순;박연희;문두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239-1245
    • /
    • 2005
  • 노지 및 시설에서 재배된 한라봉의 과피에서 냉압착법에 의해 추출한 정유의 향기성분을 동정하였다. 노지에서 재배된 한라봉 정유에서 44개의 향기성분(99.7$\%$)이, 시설 한라봉 정유에서 45개의 성분(99.4$\%$)이 동정되었으며, (E)-lim-onene-1,2-epoxide와 neral은 노지 한라봉 정유에서만 동정되었고, $\beta$-cubebene, $\beta$-elemene, decyl acetate의 세 성분은 시설 한라봉 정유에서만 동정되었다. 노지 및 시설 한라봉 정유에서 동정된 향기성분 중 limonene이 86$\%$이상의 가장 높은 비율로 함유된 성분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myrcene과 sabinene이 2$\%$이상으로 높게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지 및 시설 한라봉 정유의 향기성분 특성을 나타내는 가장 큰 차이는 linalool의 함유량으로 노지 한라봉 정유의 함유량(1.2$\%$)이 시설정유의 함유량(0.5$\%$)의 2배 이상으로 높았다. 향기 성분의 기기분석과 함께 신선한 한라봉 과육 및 과피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신선한 한라봉의 향기특성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는 한라봉 과육 및 과피 모두에서 노지에서 재배된 한라봉이 시설에서 재배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향기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노지 한라봉 과육은 단맛이, 시설 한라봉 과육은 신맛이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향과 맛을 고려한 전체적 선호도에서도 노지에서 재배된 한라봉이 높게 평가되었다. (p<0.01).이러한 결과는 노지 한라봉 정유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linalool의 함유율 및 재배방법의 영향을 받은 향기성분의 구성비율이 관능평가에 의한 과피 및 과육의 향기특성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Fatty Acid Profiles and Sensory Properties of Longissimus dorsi, Triceps brachii, and Semimembranosus Muscles from Korean Hanwoo and Australian Angus Beef

  • Cho, Soohyun;Park, B.Y.;Kim, J.H.;Hwang, I.H.;Kim, J.H.;Lee, J.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2호
    • /
    • pp.1786-1793
    • /
    • 2005
  • The study compared the fatty acid profiles of 3 muscles (Longissimus dorsi, LD, Triceps brachii, TB and Semimembranosus, SM) obtained from Korean Hanwoo (18 steers, 24 months old) and Australian Angus beef (18 steers, 24 months old) and assessed their role in sensory perception. The samples of each carcas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nd cooked both as traditional grilled steaks and Korean BBQ style. A total of 720 Korean sensory panelists evaluated the beef samples for tenderness, juiciness, flavor, and overall liking. Oleic acid (18:1)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B than that in LD and SM. The essential linoleic acid (C18:2)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B and SM than that in LD. For LD muscle, the propor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st, while that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as lowest among the three muscles. Australian Angus beef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n-3 PUFA than that of the Korean Hanwoo for the three muscles, while the latter contained significantly (p<0.05) higher n-6 PUFA than that of the former. The clustering analysis showed that there a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fatty acids such as C16:0, C16:1n7, C18:0, C18:2n6, C18:3n3, C20:3n6, C20:4n6, C22:4n6, and C22:5n3 for sensory perception (tenderness, juiciness, flavor and overall likeness) of the beef from two origins (p<0.05) among three clusters. Especially, C14:0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nsory perception only for Korean Hanwoo beef; while C20:5n3 had a significant (p<0.05) effect only for Australian Angus beef based on clustering with the sensory variables.

미역귀를 이용한 잼의 제조 (Preparation of Jam Using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 김선재;문지숙;김정목;강성국;정순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98-602
    • /
    • 2004
  • 미역귀의 알긴산 함량은 알칼리가용성 알긴산 추출법에 의한 미역귀 알긴산 수율이 33.8%,비교구로서 미역줄기의 알긴산 수율이 22.3%를 나타내어 알긴산 수율은 미역귀가 높게 나타났다. 미역귀 잼의 주원료인 미역귀 페이스트는 미역귀를 자숙, 염장하여 건조한 것을 물에 침지하여 탈염하고 물기를 뺀 후, 2.5배의 물을 가하여 초퍼와 균질기를 차례로 써서 균질화한 다음, 50 mesh 체로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미역귀 잼은 미역귀 페이스트에 설탕, HM pectin 및 유기산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을 순차적으로 첨가하면서 일정 농도까지 가열, 농축한 다음 잼 제품으로서 품질을 유지하고 미역취를 차폐할 목적으로 계피가루와 합성 딸기향을 일정량 가하여 제조하였다. 잼 제조시 설탕, 펙틴, 유기산 및 유기염이 제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계적 및 관능적으로 살펴본 결과, 미역 페이스트에 설탕 60%(w/w), HM pectin 0.75%(w/w), citric acid 0.3%(w/w)를 첨가하여 62$^{\circ}$Brix로 한 제품이 물성면에서 양호하였고, 미역 특유의 바람직하지 못한 해조취를 차폐하기 위해 합성 딸기향 0.08%(w/w)을 첨가한 미역귀 잼이 관능적으로 우수하였다.

로즈마리를 첨가한 증편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with Added Rosemary Powder)

  • 강숙향;이광석;윤혜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8-163
    • /
    • 2006
  • 전통 증편에 생리적 기능의 효과와 향미가 좋은 로즈마리를 첨가하여 제조한 증편의 수분함량, pH, 색도, 텍스쳐 측정 및 관능검사 결과, 로즈마리 분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의 함량은 유의적 차이(p<0.05)를 보이면서 감소하였고, pH 값은 증가하였다. 로즈마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편의 L 값이 감소하고, b 값은 증가하여 첨가량이 많을수록 흰색의 대조군 증편에 비해 녹갈색이 진해지는 변화를 유의적으로 나타내었다. 텍스쳐 측정 결과 로즈마리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시료 증편의 경도와 부서짐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관능적 특성 검사 결과 0.5% 시료의 기공크기가 가장 작았고 균일한 것으로 평가 되었으며 단맛은 0.5% 시료가 가장 높게 평가 되었다. 술냄새는 로즈마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씁쓸한 맛은 2%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색의 선호도 2% 시료에서 높게 평가되었지만 향미의 선호도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0.5% 시료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로즈마리 증편의 맛과 질감, 향미를 고려할 때 로즈마리 0.5% 첨가 증편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온도를 달리하여 저장한 쌀의 관능적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의 변화 (The changes of sensory and instrumental characteristics for rice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

  • 김미라;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0-58
    • /
    • 1987
  • 아끼바레와 밀양 23호를 5$^{\circ}C$와 3$0^{\circ}C$로 저장하여 저장 30일, 저장 70일에 쌀밥의 관능적, 기계적 특성치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1. 관능검사의 경우, 관능적인 특성치들은 저장 기간보다는 저장 온도에 더 많이 영향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5^{\circ}C$로 저장하였을 때는 저장기간에 대하여 쌀밥의 관능적 특성치들이 5%유의수준에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30^{\circ}C$로 저장하였을 때는 저장 기간에 대하여 대부분의 특성치들이 1%수준에서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2. 분산 분석과 Duncan의 다중 범위 검정을 실시한 결과 파넬들에 의해 아끼바레와 밀양 23호가 뚜렷이 구별되고 있었다. 3. 단계별 회귀 분석에 의하여, 저장기간이 30일인 경우에는 거친 정도, 색(흰 정도), 단맛, 윤기 순으로, 저장기간이 70일인 경우에는 차진 정도, 윤기, 구수한 맛, 단 맛, 묵은 내 순으로 전체적인 선호도에 기여하고 있음이 분석되었다. 4. QDA Profile에서는 저장 기간이 30일인 경우 아끼바레와 밀양 23호가 구별되고 있었고, 저장 기간이 70일인 경우 $30^{\circ}C$로 저장한 쌀의 특성치들이 크게 변해서 5$^{\circ}C$로 저장한 쌀에 비해 거친 정도, 묵은 맛, 묵은 내의 값이 증가하고, 그 외의 특성치의 값은 감소함으로써 30일 저장 때와는 다른 모양을 나타내었다. 5. 기계적인 검사의 경우, 저장 기간이 길고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견고성, 탄력성, 집성, 씹힘성의 값은 증가하고, 부착성과 응집성의 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단호박 첨가수준에 따른 호박떡의 기호성 및 품질특성 (Sensor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rice cak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pumpkin)

  • 윤숙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586-590
    • /
    • 1999
  • 단호박의 첨가수준을 10%, 15%, 20%, 25%, 30%, 35%로 달리하여 제조한 호박떡의 기계적 측정 및 관능적 특성을 통해 품질평가를 하였다. 호박떡의 수분함량은 단호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L 값은 단호박 첨가량에 의존하여 낮아졌으나, a 값과 b 값은 첨가량에 의존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단호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carotenoids계 색소의 영향으로 황색 및 적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Two bite compression test에 의한 물성특성치를 살펴보면, hardness, gumminess, chewiness 등은 단호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cohesiveness 및 springiness는 각 시료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단호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조직의 견고도가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항목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flavor의 경우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를 제외한 모든 항목, 즉 color, moistness, consistency, overall acceptance에서 30% 첨가구를 선호하는 결과를 보였다. 기계적 물성치와 관능적 물성치를 비교해 볼 때, 떡의 조직감이 견고한 것보다는 부드러운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