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van 3-ol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초

산겨릅나무 목질부에서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the Stem Wood of Acer tegmentosum)

  • 권동주;김진규;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1호
    • /
    • pp.104-112
    • /
    • 2011
  • 현재까지 산겨릅나무의 식물화학적인 연구는 수피부에 국한되어 있으며, 목질부의 성분연구는 전혀 보고된 것이 없다. 본 연구는 산겨릅나무 목질부로부터 2개의 flavan 3-ol, 3개의 phenolic acid/alcohol 및 2개의 coumarin 화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연속적으로 실시하여 분리하였다. 화합물의 구조는 $^1H$-NMR, $^{13}C$-NMR, 2D-NMR 및 MS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catechin (1), (-)-epicatechin (2), $p$-hydroxybenzaldehyde (3), syringic alcohol (4), $p$-tyrosol (5), scopoletin (6) 및 cleomiscosin A (7)으로 동정하였으며, 그 중 $p$-hydroxybenzaldehyde (3), syringic alcohol (4), scopoletin (6) 및 cleomiscosin A (7)는 산겨릅나무에서는 처음 분리하였다. 화합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catechin (1)과 (-)-epicatechin (2)은 양성 대조구로 사용한 BHA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한국산 감잎로부터 Polyphenol계 생리활성물질 분리 (Isolation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Korean Persimmon (Diospyrus kaki L. Folium))

  • 안봉전;배만종;최희진;장운빈;성태수;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4호
    • /
    • pp.212-217
    • /
    • 2002
  • 옛부터 민간 약제로 사용했던 감나무 잎을 식품, 화장품 기능 생물 신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감나무잎의 주성분으로 알려진 폴리페놀 화합물을 분리하고 생리활성 기능을 조사하였다. 감나무 잎을 60%의 아세톤으로 추출한 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농도별로 조제하고 glucosyltransferase, tyrosinase 효소저해를 관찰한 결과 glucoslytransferase는 $1.8{\times}10^{-1}$ mg/ml에서 82.84% 저해를, tyrosinase는 0.8 mg/ml에서 21,65% 저해 활성이 확인되었다. Sephadex G-50으로 gel filtration한 결과 fraction 1, 2, 3, 4, 5로 분획되었고 이중 fraction 1, 2에서 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 분획물의 물질군을 확인하기 위해 proteinase K 처리와 멸균처리한 결과 효소저해에 영향은 없어 활성물질군은 단백질군이 아니며, UV spectrum에서 자외선 영역에 최대 흡광치를 보여주므로 페놀링을 갖는 화합물로 추정하게 되었다. 추정화합물을 Sephadex LH-20, MCI-gel 및 Bondapak $C_{18}$ column에서 분리한 결과 F1 fraction에서 compound $1{\sim}4$가지 4종류의 화합물, F2 fraction에서는 compounds 5, 6, F3 fraction에서 compound 7, 8, 9를 순수 정제하여 재결정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은 TLC 발색반응에서 flavan-3-ol 골격을 기본으로 하는 축합탄닌 반응을 보였고 전개정도에서 monomer가 2종류, dimer가 3종류, trimer가 1종류로 확인되었다.

Effective extraction of antioxidantive oligomeric proanthocyanidins from mountain grape seeds

  • Huh, Yun-Suk;Hong, Won-Hi;Hong, Tae-Hee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I)
    • /
    • pp.527-531
    • /
    • 2003
  • The interest of oligomeric proanthocyanidins(OPCs) as therapeutic agents against diseases involving radical damage is growing. Proanthocyanidins are a class of polyphenolic compounds in several plant species and are oligomers of flavan-3-ol monomer units. Polyphenols in green and black tea, grape seeds, grapes and wine have raised much attention but mountain grape seed has not been investigated intensively up to now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otal OPCs contents and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mountain grape seeds. Total antioxidant activity using DPPH method was employed and OPCs contents were determined by means of the UV-VIS spectrophotometer. The total OPCs yield of mountain grape seeds was about 1.45 %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y was 15.8 ${\mu}g/m{\ell}$.

  • PDF

열처리 보리수 과즙과 식초의 이화학적 특성, phytochemicals 및 생리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phytochemical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heat-treated Elaeagnus multiflora juice and vinegar)

  • 조계만;황정은;김수철;주옥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2-6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보리수 과즙에 열처리 후 식초를 제조하고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열처리 보리수 과즙과 식초는 보리수 열매 색깔과 거의 유사하였으며, 적색도인 b 값은 각각 39.48(과즙)과 37.56(식초)이었다. 보리수 과즙을 발효하였을 때 10일 경과 시 초산균수는 4.59-4.62 log CFU/mL, pH는 3.14-3.45, 산도는 0.2-2.12%, 환원당은 0.69-35.24 mg/mL 및 알코올은 0.2%이었다. 비열처리 과즙보다 열처리 과즙이 라디칼 소거활성과 소화효소 저해활성이 높았고, 이에 상응하여 수용성 phenolics, 수용성 flavonoids, flavan-3-ols 유도체 및 phenolic acids 유도체 함량이 높았다. 한편 열처리 식초의 주요 유기산은 acetic acid(21.82 mg/mL)이었고 주요 flavan-3-ols와 phenolic acids 화합물은 catechin($72.24{\mu}g/mL$), catechin gallate($273.36{\mu}g/mL$), epigallocatechin gallate($68.35{\mu}g/mL$), protocatechuic acid ($12.84{\mu}g/mL$) 및 salicylic acid($42.29{\mu}g/mL$)가 검출되었다. $25{\mu}L/mL$ 처리 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alpha}$-glucosidase와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은 각각 79.66%, 93.99%, 90.12% 및 64.85% 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보리수 과즙의 열처리 방법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식초 혹은 음료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Nitric oxide and $ProstaglandinE_2$ Synthesis Inhibitory Activities of Flavonoids from the Barks of Ulmus macrocarpa

  • Kim, Hyun-Jung;Yeom, Seung-Hwan;Kim, Min-Kee;Shim, Jae-Geul;Lim, Hyun-Woo;Lee, Min-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0권6호
    • /
    • pp.344-346
    • /
    • 2004
  • Eight phenolic compounds (1-8) which were isolated from the barks of Ulmus macrocarpa were evaluat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ies on nitric oxide (NO) and prostagrandin $E_2$ (COX-2) production in $interferon-{\gamma}\;(INF-{\gamma})$ and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RAW 264.7 cells in vitro. NO and COX-2 levels were moderately reduced by the addition of compounds (1-8). Among them 3,4,5,6,7 and 8 inhibited NO produc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with an $IC_{50}$ of 92.2, 97.3, 36.1, 43.5, 32.8, 39.4 and 37.1 ${\mu}g/ml$, respectively (positive control, L-NMMA; 36.4 ${\mu}g/ml$), and 3,4,5,6,7 and 8 reduced the COX-2 level in a dose dependent manner with an $IC_{50}$ of 43.2, 24.8, 24.8, 33.4, 44.8 and 22.7 ${\mu}g/ml$, respectively (positive control, indomethacin; 23.4 ${\mu}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henolic compounds may be developed as potential anti-inflammatory and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고로쇠나무의 항산화물질 분리와 활성비교 (Activity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the Stem of Acer mono Max)

  • 권용수;김명조;최용화;곽상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02-306
    • /
    • 1997
  • 예로구터 그 수액이 건강보조식품으로 사용되어온 고로쇠나무의 줄기를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성분을 찾기위하여 실험에 착수하였으며, 그 MeOH추출물의 ETOAc분획을 대상으로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scopoletin, isoscopoletin, (-) -epicatechin등 3종의 화합물을 분리하고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중 scopoletin과 isoscopoletin은 BHA나 ${\alpha}-tocopherol$보다 활성이 약하였으나 $(RC_{50}\;:\;120,\;110\;{mu}g)$, (-)-epicatechin의 항산화활성 $(RC_{50}\;:\;7.5\;{mu}g)$은 BHA나 ${\alpha}-tocopherol$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 PDF

Selective Allele Stacking of a Novel Quantitative Trait Locus Facilitates the Enhancement of Seed Epicatechin Contents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

  • Sewon Park;Hakyung Kwon;Jae Ah Choi;Moon Young Kim;Suk-Ha L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27
    • /
    • 2022
  • (-)-Epicatechin (EC), a primary form of flavan-3ol and a building block of proanthocyanidins, has health benefits as it is a potent antioxidant. So far, no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associated with EC have yet been identified in soybean. In this study, QTLs for EC and hilum color were identified in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derived from the varieties Jinpung and IT109098 using high-resolutio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linkage mapping. This revealed two major QTLs for EC content, qEC06 and qEC08. qEC06 spanned the T Locus encoding flavonoid 3'-hydroxylase. qEC08, located near the I locus on Chr08, was also a major QTL for hilum color; however, allelic stacking of qEC08 and I revealed no relationship between I and EC content. RILs with IT 109098 alleles at both qEC06 and qEC08 had higher EC content than other lines. These results will enable the production of soybean varieties with high EC content via marker-assisted selection.

  • PDF

감나무잎 폴리페놀의 기능성 소재로서 산업적 활용 (An Industrial Application for functional Materials and Polyphenols Isolated from the Korean Persimmon Leaves)

  • 안봉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2년도 춘계총회 및 제20차 학술발표회
    • /
    • pp.29-40
    • /
    • 2002
  • 감잎으로부터 통풍치료, 미백효과, 고혈압 억제효과의 개발목적으로 9종의 flavan-3-ol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기기분석에 의해 화학구조를 자혔다. 각 화합물은 (+)-catechin (+)-gallocatechin procyanidinB-l, pyrocyanidin C-1, prodelphinidin B-3, gallocatechin-(4$\alpha$$\longrightarrow$8)-catechin과 감나무 잎에서 새로운물질인pocyanidin B-7-3-0-gallate, procyanidin C-1-3'-3" -3.'S _0-trigallate, (-)-epigallocatechin-(4 $\beta$ -18)-epigallocatechin-(4$\beta$-'8)-catechin 3종류를 발견하였다. 감잎으로부터 순수 분리한 polyphenol류의ACE 저해활성측정을 실험한 결과 pocyanidin B-7-3-0-gallate는 100rM농도에서 94%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epigallocatechin-(4$\beta$$\longrightarrow$8)-epigallo-catechin-(4$\beta$$\longrightarrow$8)-catechia procyanidin C-1-3'-3" -3f'.-0-trigallate는 각각 90.69, 80.90% 저해를 하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측정을 조사한 결과pocyanidin B-7-3-0-galtate와 pocyanidin C-1-3'-3" -3/'S _0-trigallate 즉, gallate가 붙은 호합물에서100rM의 농도에서 66%와 63%의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는pocyanidin C-1-3'-3" -3.'S _0-trigallate는 100rM에서 70%의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epigallocatechin-(4$\beta$$\longrightarrow$8)-epigallo-catechin-(4$\beta$$\longrightarrow$8)-catechin는 51%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산업적응용을 위해 분획한 폴리페놀군은 미백효과 검증실험인 tyrosinase 저해율 측정평가에서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은 Fraction 111의 경우 Sooppm에서 74.2%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항산화력 실험에서는500pw1이상에서 강한 활성능을 보인 SOD 유사활성능을 제외한 나머지 DPPH와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에서는 Fraction II와III 모두가50ppm이상에서 80% 이상의 높은 유리라디칼 소거능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각 Fraction별 항균력 측정 결과 Fraction 르와 111이 우수하게 나타났고 항균활성은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磎꼭\ulcorner경우 그람양성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 Seed Ethanol Extract)

  • 정하열;박동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9-114
    • /
    • 2003
  •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각 검정 균주에 대한 생육 억제효과를 페이퍼디스크법 및 액체배양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B. subtilis ATCC 6538 혹은 S. aureus. ATCC 6538에 대하여는 농도 의존적인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P. aeruginosa IFO 3080 및 Sal. enteritidis. IFO3313에 대해서는 제한적인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기도 하였으나 E. coli ATCC 25922 에 대해서는 뚜렷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또한 포도종실 에탄을 추출물의 순차 용매 분획물 중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부탄올 분획물만이 각각 35.7 mg/g과 20.2 mg/g의 카테킨을 함유하고 있었는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비하여 부탄을 분획물이 각 검정 균주에 대해 뚜렷한 항균활성 을 나타내었다. 부탄올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비하여 카테킨의 절대 함량은 적었지만 Cl8 카트리지로 소분획하였을 때 고분자체 중심의 폴리페놀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 의 항균 활성은 카테킨과 같은 플라반-3-올 화합물의 절대 함량과 더불어 플라반-3-올 화합물의 중합도가 관계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Flavonoids:Mouse Ear Edema Inhibition

  • Kim, Hee-Kee;Namgoong, Soon-Young;Kim, Hyun-Py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18-24
    • /
    • 1993
  • In this inverstigation, the various flavonoid aglycones were evaluat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croton-oil or arachidonic acid induced mouse ear edema by oral or topical administration. The compounds tested were thirteen derivatives of flavan-3-ol(catechin and epicatechin), flavanone (flavanone and naringenin), flavone (flavone, chrysin and apigenin), flavonol(favonol, galangin, quercetin and morin) and isoflavone (biochanin A and 2-carbethoxy-5,7-dihydroxy-4'-methoxyisoflavone), along with hydrocortisone, indomethacin, 4-bormophenacyl bromide, nordihydroguaiaretic acid and phenidone as positive controls. A(isoflavone) were found to show broad inhibitoty activities (14-52%) against croton-oil or arachidonic acid induced ear edema by oral or topical application at the dose of 2 mg/mouse, although they showed less activity than hydrocortisone (26-88%) or indomethacin (36-80%). Flavonoid agtlycones tested showed higher activity when aplied topically than by the oral administra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y inhibited arachidonic acid induced edema more profoundly than croton-oil induced edema by topical application. In arachidonic acid induced edema when applied topically, flavone derivatives such as flavone, chrysin and apigenin were revealed to be the good inhibitory agents in addition to flavonols and isoflavones. When quercetin and biochanin. A were selected for evaluating in carrageenan induced rat pleurisy and biochanin both flavonoids showed antiinflammatory activity at the dose of 70 mg/kg by the oral adminis-tration. All of these results revealed that flavonoid aglycones, especially 5,7-dihydroxy-flavonols having hydroxyl group(s) in B-ring and biochanin A (isoflavone) possessed in vivo antiinflammatory activ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