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xed-effect model

검색결과 765건 처리시간 0.025초

임의효과를 고려한 도심지 교차로 교통사고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Crash Prediction Model for Urban Intersections Considering Random Effects)

  • 이상혁;박민호;우용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85-93
    • /
    • 2015
  • 기존의 교통사고모형은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추정된 모수가 고정되어있다고 가정하여 교통량이나 기하구조의 길이와 폭 등은 설치형태와 관계없이 동일한 값을 적용하는 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하지만 고정효과를 이용한 모형은 모형을 통해 추정된 계수의 표준오차 값이 과소 추정되거나 각 계수의 t-값이 과도하게 산정되어 모형의 설명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교통량, 기하구조, 그리고 관측되지 않은 다른 요인 등에 대한 이질성을 고려한 임의효과모형을 활용하여 모형을 개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효과모형의 효용성을 파악하고자 대전광역시 주요 89개 교차로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임의효과와 고정효과를 이용한 음이항 회귀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모형개발 결과 년평균일교통량, 제한속도, 차로수, 우회전 전용차로 설치유무, 전방신호등 설치유무 등이 유효한 설명변수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을 비교해보면 로그-우도함수값이 임의효과에서 -1537.802로 고정효과의 로그-우도함수값 -1691.327보다 모형 설명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도비의 경우 임의효과에서 0.279로 고정효과의 0.207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 임의효과를 이용한 모형이 고정효과를 이용한 모형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서 개혁·개방이후 FDI유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The Determinants of FDI Inflow after Reform-Opening of China)

  • 최원익;한종수
    • 무역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77-198
    • /
    • 2016
  • 중국은 1979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장경제체제를 도입함으로써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루었는데, 본고는 저임금과 중국정부의 적극적인 외자유치정책을 활용하기 위해 밀려들어온 외국인투자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1979년부터 2013년까지의 패널데이터를 이용해서 각 성·시의 고유한 특성까지 활용하는 실증분석을 시도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본고는 확률효과모형, 고정효과모형, Pooled OLS, 그리고 확률계수모형을 사용하는데, Pooled OLS와 확률계수모형의 결과는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비교를 위해서 제시된다. Hausman' test 결과 Random Effect Model보다는 Fixed Effect Model이 더 효율적인 분석결과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근거로 중국정부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분석결과는 FDI유입에 각 성·시의 지역소득수준, 자본량, 통신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고속도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 PDF

고정 자산이 기업 실적에 미치는 영향 - 중국에서 성장 제조업 회사들의 증거 (The Influences of Fixed Assets on Corporate Performance - Evidence from Manufacturing-listed Companies in China)

  • 여엽청;정지양;왕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48-561
    • /
    • 2021
  • 제조업은 국가 경제 성장의 핵심 산업이다. 제조 기업의 내부 문제를 분석하면 제조 기업이 직면 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제조 기업의 전반적인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이 연구는 고정 자산 측면에서 부동산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탐구하려고 시도한다. 샘플 데이터는 2009 년부터 2015년까지 심천 및 상하이 주식 시장에 상장된 1,546개의 제조업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고정 자산의 규모는 기업 성과와 유의미한 부정적 관계가 있으며, 고정 자산의 품질은 기업 성과와의 약한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결과는 안정적이지 않으며, 고정 자산의 성장률은 기업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효과는 긍정적이다.

변량계수모형의 식이요법 실험자료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random coefficient model for diet experimental data)

  • 조진남;백재욱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0권5호
    • /
    • pp.787-796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반복측정치에 대한 분석모형 중, 혼합모형의 일종인 변량계수모형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혼합모형의 설정, 모수 추정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고찰하고 변량계수모형에 대한 가능한 모형을 열거하며, 그에 따르는 추정과 검정을 논의한다. 사례연구로 식이요법자료를 대상으로 가능한 변량계수모형을 적용하여 추정 및 검정을 실시한 결과, 고정인자인 사전값, 처리, 키 및 시간들의 인자는 체중감소에 대단히 유의함을 보여주었지만, 나이와 혈압은 유의하지 않았다. 처리효과에 있어서는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했을 때의 처리가 식이요법만 실시했을 때의 처리보다 체중이 더 감소했음을 알 수 있으며, 시간에 따른 체중감소의 효과는 삼차함수의 관계가 성립된다. 변량인자로는 개체효과는 유의하며 개체별 시간에 대한 교호작용의 효과는 차수가 높아질수록 급속도로 감소하여 3차 함수 관계가 적절한 모형으로 최종 선택되었다.

  • PDF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inequality of income to the inequality of health: Using Panel Analysis of the OECD Health data from 1980 to 2013

  • Lee, Hun-Hee;Lee, Jung-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145-150
    • /
    • 2017
  • This study aims to analyze panel data using OECD Health data of 34 years to examine how significant the inequality of income is to the inequality of health. The data was from OECD's pooled Health data of 32 countries from 1980 to 2013. The process of determining analysis model was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descriptive statistics, we examined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 of variables. Second, Lagrange multiplier test has done. Third, through the F-test, we compared Least squares method and Fixed effect model. Lastly, by Hausman test, we determined proper model and examined effective factor using the model. As a result, rather than Pooled OLS Model, Fixed Effect Model was shown as effective in order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in the pan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relative poverty rate(${\beta}=-19.264$, p<.01) grows, people's life expectancy decreases. Second, as the rate of smoking(${\beta}=-.125$, p<.05) and the rate of unemployment (${\beta}=-.081$, p<.01) grows, people's life expectancy decreases. Third, as health expenditure(${\beta}=.414$, p<.01) shares more amount of GDP and as the number of hospital beds(${\beta}=-.190$, p<.05) grows, people's life expectancy increases.

EFFECT OF NUMBER OF IMPLANTS AND CANTILEVER DESIGN ON STRESS DISTRIBUTION IN THREE-UNIT FIXED PARTIAL DENTURE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 Park, Ji-Hyun;Kim, Sung-Hun;Han, Jung-Suk;Lee, Jai-Bong;Yang, Jae-Ho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90-297
    • /
    • 2008
  • STATEMENT OF PROBLEM: Implant-supported fixed cantilever prostheses are influenced by various biomechanical factors. The information that shows the effect of implant number and position of cantilever on stress in the supporting bone is limite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mplant number variation and the effect of 2 different cantilever types on stress distribution in the supporting bone, using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ATERIAL AND METHODS: A 3-D FE model of a mandibular section of bone with a missing second premolar,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was developed. $4.1{\times}10$ mm screw-type dental implant was selected. 4.0 mm height solid abutments were fixed over all implant fixtures. Type III gold alloy was selected for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For mesial cantilever test, model 1-1 which has three $4.1{\times}10$ mm implants and fixed prosthesis with no pontic, model 1-2 which has two $4.1{\times}10$ mm implants and fixed prosthesis with a central pontic and model 1-3 which has two $4.1{\times}10$ mm implants and fixed prosthesis with mesial cantilever were simulated. And then, 155N oblique force was applied to the buccal cusp of second premolar. For distal cantilever test, model 2-1 which has three $4.1{\times}10$ mm implants and fixed prosthesis with no pontic, model 2-2 which has two $4.1{\times}10$ mm implants and fixed prosthesis with a central pontic and model 2-3 which has two $4.1{\times}10$ mm implants and fixed prosthesis with distal cantilever were simulated. And then, 206N oblique force was applied to the buccal cusp of second premolar. The implant and superstructure were simulated in finite element software(Pro/Engineer wildfire 2.0). The stress values were observed with the maximum von Mises stresses. RESULTS: Among the models without a cantilever, model 1-1 and 2-1 which had three implants, showed lower stress than model 1-2 and 2-2 which had two implants. Although model 2-1 was applied with 206N, it showed lower stress than model 1-2 which was applied with 155N. In models that implant positions of models were same, the amount of applied occlusal load largely influenced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Model 1-1, 1-2 and 1-3, which were loaded with 155N, showed less stress than corresponding model 2-1, 2-2 and 2- 3 which were loaded with 206N. For the same number of implants, the existence of a cantilever induced the obvious increase of maximum stress. Model 1-3 and 2-3 which had a cantilever, showed much higher stress than the others which had no cantilever. In all models, the von Mises stresses were concentrated at the cortical bone around the cervical region of the implants. Meanwhile, in model 1-1, 1-2 and 1-3, which were loaded on second premolar position, the first premolar participated in stress distribution. First premolars of model 2-1, 2-2 and 2-3 did not participate in stress distribution. CONCLUSION: 1. The more implants supported, the less stress was induced, regardless of applied occlusal loads. 2.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in the bone of the implant-supported three unit fixed dental prosthesis with a mesial cantilever was 1.38 times that with a central pontic.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in the bone of the implant-supported three-unit fixed dental prosthesis with a distal cantilever was 1.59 times that with a central pontic. 3. A distal cantilever induced larger stress in the bone than a mesial cantilever. 4. A adjacent tooth which contacts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participated in the stress distribution.

A Bayesian inference for fixed effect panel probit model

  • Lee, Seung-Chu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3권2호
    • /
    • pp.179-187
    • /
    • 2016
  • The fixed effects panel probit model faces "incidental parameters problem" because it has a property that the number of parameters to be estimated will increase with sample size.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ails to give a consistent estimator of slope parameter. Unlike the panel regression model, it is not feasible to find an orthogonal reparameterization of fixed effects to get a consistent estimator. In this note, a hierarchical Bayesian model is proposed. The model is essentially equivalent to the frequentist's random effects model, but the individual specific effects are estimable with the help of Gibbs sampling. The Bayesian estimator is shown to reduce reduced the small sample bias.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in the random effects model is also efficient, which contradicts Green (2004)'s conclusion.

모형의 적합성 검증에 따른 소유구조대비 대리인 비용의 실증분석 (Empirical Analysis on Agent Costs against Ownership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Verification of Suitability of the Model)

  • 김대룡;임기수;성상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417-3426
    • /
    • 2012
  •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소유구조(내부 외국인 지분율)가 대리인 비용(자산효율성 비중 영업외비용 비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실증연구이다. 그러나 소유구조와 대리인 비용의 상관성에 대한 기존연구들이 단순히 Pooled OLS Model을 사용하고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단순 Pooled OLS Model이 방대한 양의 패널형 자료의 검증에는 통계적 신뢰성이 부족하다는 전제하에, Pooled-OLS Model의 적합성 검증 결과를 토대로, 자료형성의 시점 및 기업의 효과를 반영하는 Fixed Effect Model과 Random Effect Model을 추가적인 연구모형으로 형성하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실증분석 결과의 신뢰성 및 통계적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IMF 경제 위기 이후인 1998~2007년까지 10년간이며 금융업을 제외한 331개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모델의 적합성 검증결과 대리인 비용 항목 중 자산효율성 비중은 Random Effect Model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였으나 이에 반하여 영업외비용 비중은 Fixed Effect Model의 사용이 적합하였다. 이에 따른 실증분석결과는 Pooled OLS Model에서 채택되었던 가설이 대부분 기각되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실증분석에 있어서 사용하는 모형에 따라 다른 분석결과의 도출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어 연구 자료에 따른 적합한 연구모형의 형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실증결과의 도출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충진층 흡착관 내에서 입상활성탄에 의한 페놀 제거 : 매개변수 감응도 해석 (Removal of Phenol by Granular Activated Carbon from Aqueous Solution in Fixed-Bed Adsorption Column : Parameter Sensitivity Analysis)

  • 윤영삼;황종연;권성헌;김인실;박판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773-782
    • /
    • 1998
  • The adsorption experiment of phenol(Ph) from aqueous solution on granular activated carbon was studied in order to design the fixed-bed adsorption column. The experimental data were analyzed by unsteady-state, one-dimensional heterogeneous model. Finite element method(FEM) was applied to analyze the sensitivity of parameter and to predict the fixed-bed adsorption column performance on operation variable changes. The prediction model showed similar effect to mass transfer and intraparticle diffusion coefficient changes suggesting that both parameter present mass transfer rate limits for GAC-phenol system. The Freundlich constants had a greater effect than kinetic parameters for the performance of fixed-bed adsorption column. FEM solution facilitated prediction of concentration history in solution and within adsorbent particle.

  • PDF

항만 SOC가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 일본 항만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f Port SOC Impact on Trade Volume : Focusing on Japanese Ports)

  • 안영균;이주원
    • 무역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73-389
    • /
    • 2016
  • 본 연구는 총 무역액 중 95% 이상이 해상 수송되는 현실을 바탕으로, 해상 수송의 근간이 되는 항만의 자본스톡과 무역 규모 간의 회귀분석을 수행하는 논문이다. 패널 데이터 분석 및 고정 효과 모형 분석을 통해 항만 SOC가 무역 규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항만 SOC를 6개 부문별로 분류하고, 장래 부문별 투자가 이루어졌을 때 무역 규모는 각각 얼마만큼의 영향을 받는 지를 추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LR(Likelihood ratio) 검정을 실시하여 고정효과 모형(Fixed Effects Model)을 통해 회귀분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