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tting

검색결과 3,791건 처리시간 0.028초

완전 이식형 인공중이용 적합 소프트웨어의 구현 (Implementation of Fitting Software for Fully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

  • 이장우;정의성;임형규;이정현;성기웅;김명남;조진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21-25
    • /
    • 2009
  • 일반적으로 완전 이식형 인공중이는 이식형 마이크로폰과 진동 트랜스듀서를 포함한 모든 구성 요소가 측두골 부근 피부 아래에 이식되는 보청기이다. 마이크로폰과 트랜스듀서의 경우 이식 전과 후의 동작 주파수 특성 등이 달라진다. 이러한 특성변화와 이식 대상자의 청력특성에 알맞은 보청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합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 공기전도형 보청기나 부분 이식형 보청기의 경우 적합을 위한 전선 연결부가 존재하나 완전이식형의 경우에는 몸속에 모두 이식됨으로 이러한 전선의 연결이 어려우며 이에 따라 기존 보청기의 적합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하드웨어를 이용한 적합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완전 이식형 인공중이를 위한 무선 적합 하드웨어에 적용 가능한 적합 소프트웨어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구현한 적합 소프트웨어는 마이크로폰과 트랜스듀서의 특성과 난청자의 청력도를 반영하여 적절한 청력 보상치를 산출할 수 있다.

  • PDF

연속 영상에서의 경계추출을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의 B-spline 적합 (Genetic Algorithm based B-spline Fitting for Contour Extraction from a Sequence of Images)

  • 허훈;이정헌;채옥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5호
    • /
    • pp.357-36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유사한 여러 물체들이 인접하여 나타나는 영상열로부터 물체들을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B-spline 적합(fitting)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스네이크(snake) 알고리즘들은 초기화의 어려움과 다수의 극점 존재로 인해서 이러한 영상자료에서 물체의 영역을 개별적으로 분리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극복하고 다양한 형태의 물체가 인접해 있는 유사한 물체들로부터 효과적으로 분할 할 수 있는 유전자(genetic) 알고리즘 기반 B-spline 적합방안을 제안한다. 실제 상황을 고려하여 생성된 영상자료와 실제 치아 CT 영상을 이용한 평가에서 제안된 방법은 서로 인접해 있는 유사한 형태와 자기의 물체들을 개별적으로 정확하게 분할할 수 있음을 보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결과는 이상적으로 추출된 영역과의 일치성과 false positive 오류 그리고 false negative오류가 계산되어 검증되었다.

남성 체형별 인대의 3차원 형상 데이터와 칼라 패턴 개발 (Development of 2D Tight-fitting Collar Pattern from 3D Scan Data of Various Types of Men's Dressform)

  • 정연희;김소영;홍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22-732
    • /
    • 2006
  • The pattern making of the tight-fitting collars which often used in diving suits, dance wear, or cycle wear has not been fully established. To develop tight-fitting collar pattern directly from 3D images from the representative somatotypes, dressforms developed by Jaeun Jung were used. The 3D scan data of the four male dressforms were obtained using Exyma-1200. Triangle Simplification and the Runge-Kutta method were applied to reduce the 3D scan data points and to make the segmented triangular patches in a plane from 3D data. As results, apparent differences between the tight-fitting collar patterns obtained from the 3D scan data and the ordinary 2D collar patterns were found around the center back line. The curvatures of the center back line were higher in all types of the tight-fitting collar than in the ordinary collar pattern. Relative differences in the shape of collar lines among four representative Korean men were reported. To fit the curved shape of the back neckline, 1.8 cm should be reduced from the upper neckline in average. We suggested the direct pattern making method for the 2D tight-fitting collar patterns considering the 3D shape of various types of men's dressform.

열박음 로터에서 간섭량의 강성 효과 (Stiffness effect of fitting interference for a shrunk rotor)

  • 김영춘;박희주;박철현;김경웅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19-324
    • /
    • 2003
  • In general industrial rotating machinery is operated under 3,600 rpm as rotating speed and designed to have critical speed that is above operating speed. So, there was no problem to operate rotating machine under critical speed. But nowadays, they should be operated more than the frist critical speed as usual with the trend of high speed, large scale and hish precision in industries. In case of the large rotor assembly as the trend of large scale, using fitting method of disk or cylinder on shaft is rising for the convenience of assembly and cutting down of manufacturing cost. The shrink fitting is used to assemble lamination part on shaft for manufacturing of rotor of motor or generator in many cases and also is widely used for other machinery. In rotating system, which is compose of rotor and bearing, the critical speed is determined from inertia and stiffness for the rotor and bearings. In case of fitting assembly, analysis and design of the rotor is not easy because the rotor stiffness is determined depend on a lot of factors such as shaft material/dimension, disk material/dimension and assembled interference etc. Therefore designer who makes a plan for hish-speed rotating machine should design that the critical speed is located out of operating range, as dangerous factors exist in it. In order to appropriate design, an accurate estimation of stiffness and damping is very important. The stiffness variation depend on fitting interference is a factor that changes critical speed and if it's possible to estimate it, that Is very useful to design rotor-bearing system. In this paper, the natural frequency variation of the rotor depends on fitting interference between basic shaft and cylinder is examined by experimentation. From the result, their correlation is evaluated quantitatively using numerical analysis that is introduced equivalent diameter end the calculation criteria is presented for designer who design fitting assembly to apply with ease for determination of appropriate interference.

  • PDF

폴리머 애자의 End-fitting 설계 및 성능 평가기술 (End-fitting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Polymer Insulator)

  • 조한구;이운용;한세원;한동희;지원영;여학규;강두원;천종욱;이형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방전 플라즈마 유기절연재료 초전도 자성체연구회
    • /
    • pp.25-29
    • /
    • 2004
  • Corona on polymer materials causes deterioration by the combined action of the discharge striking the surface and the action of certain chemical compounds that are formed by the discharges. In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polymer insulators must be sufficiently large to avoid corona discharges, otherwise a shielding or corona ring (grading ring) needs to be installed on the insulator. To conduct this purpose, many researchers have investigated end-fitting of polymer insulator by voltage distribution simulation and electrical test. Grading rings are u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insulator in multiple ways. They can reduce corona and associated audible noise and radio influence and television interference. The factors determining the uses of a grading ring are line voltage, geometry and dimensions of end fittings, geometry and dimensions of line hardwar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is paper, electrical property of polymer insulator with end-fitting design have been investigated by electrical field analysis, various end-fitting design, tracking wheel test, corona inception voltage and extinction voltage. Electrical field analysis is conducted by FEM program and various end-fitting is designed through this result. Designed end-fittings are manufactured and their performance is conducted by electrical performance test.

  • PDF

항만건설을 위한 케이슨 들고리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of Lifting Cable for Construction of Coastal Structures)

  • 곽계환;장기웅;김종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통권34호
    • /
    • pp.85-99
    • /
    • 1998
  • 본 논문은 케이슨의 인양작업중 Fitting Anchor의 취성파괴로 인한 들고리의 붕괴원인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응력해석을 통하여 들고리의 붕괴메카니즘을 분석하고 이를 실제 붕괴과정과 비교한다. 본 연구에서는 파괴된 강재에 대한 파면해석 뿐만아니라 화학성분시험, 인장시험 및 샤르피 V-노치 충격시험을 실시한다. 그리고 이의 시험 결과를 정상적인 강재에 대한 시험결과와 비교한다. 본 연구의 거시적, 미시적인 방법으로 결함을 관찰한 결과, Fitting Anchor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나타난 표면결함은 케이슨의 진수시 발생하는 들고리의 인장응력이 작용하기 전에 발생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균열선단의 응력집중이 발생하여 작용응력보다 큰 응력이 결함에 발생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잠재한 결함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하여 본 연구대상 강재의 응력확대계수가 증가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서 균열선단의 응력확대계수가 본 강재의 파괴인성보다 크게 되어 케이슨의 인양작업중에 취성파괴를 일으킨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케이슨 들고리의 붕괴는 Fitting Anchor의 취성파괴로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지수감소곡선의 중첩을 이용한 착색렌즈 시감투과율의 실험적 맞춤곡선 (Empirical Fitting Curve for Luminous Transmittance in Tinted Lenses Using Superposition of Exponential Decay Curves)

  • 최은정;이신의;이은진;윤문주;정지현;김창진;양계탁;정주현;김현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83-291
    • /
    • 2011
  • 목적: 지수감소곡선을 이용하여 착색렌즈에서의 착색시간과 시감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대표할 수 있는 실험적 맞춤곡선(empirical fitting curve)을 도출한다. 방법: CR-39 렌즈와 6가지 색상의 염료를 이용하여 총 90개의 착색렌즈를 제조하였고, 실험적 맞춤곡선을 구하기 위한 시험곡선(trial curve)으로서 단일(single), 2중(double) 및 3중(triple) 지수감소곡선(exponential decay curve)을 이용한다. 결과: 최적의 실험적 맞춤곡선은 3중 지수감속곡선인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 착색시간에 따른 시감투과율의 변화를 대표하는 적절한 실험적 맞춤곡선으로서 3중 지수감소곡선을 제안한다.

RGP 콘택트렌즈의 진단적 피팅법에 의한 플랫한 피팅과 얼라인먼트 피팅 착용 전·후 각막 굴절력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Corneal Refractive Power before and after Wearing RGP Contact Lenses by Flat Fitting and Alingment Fitting with Diagnostic Method)

  • 이대원;김인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3-169
    • /
    • 2014
  • 목적: 진단적 피팅법으로 우안에는 얼라인먼트 상태보다 1 D 플랫한 피팅의 RGP 콘택트렌즈를, 좌안에는 얼라인먼트 피팅의 RGP 콘택트렌즈를 착용시켜 2개월 후 착용 전 후의 각막 굴절력을 비교하고 선호도를 조사 하였다. 방법: 각막형상의 변화가 없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기위해 콘택트렌즈를 처음 착용하면서 안질환이나 안과적 수술경험이 없으며 눈물양이 정상인 서울시내 중.고등학생 20명, 40안을 대상으로 RGP 콘택트렌즈 착용전의 각막 굴절력을 검사하고 10일 후 적응여부 검사와 각막 상태 검사를 통해 지속적인 착용여부를 확인한 뒤 하루 평균 8시간 이상을 착용시키고 2개월 후 각막 굴절력을 검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얼라인먼트 상태보다 1 D 플랫한 피팅 렌즈를 착용한 우안의 2개월 후 각막중심 굴절력은 $43.84{\pm}1.33D$, 플랫 K 도수는 $43.05{\pm}1.29D$, 스티프 K 도수는 $44.61{\pm}1.42D$로 착용 전의 각막중심 굴절력보다 감소하여 변화량이 컸다(p<0.001, 0.001, 0.047). 양주경선의 편심률(e-value) 또한 변화량이 많았다(p = 0.037, 0.015). 얼라인먼트 피팅 렌즈를 착용한 좌안의 착용 2개월 후 각막 중심 굴절력은 $44.40{\pm}1.26D$, 플랫 K 도수는 $43.57{\pm}1.23D$, 플랫 K e-value는 $0.58{\pm}0.05$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769, 0.614, 0.181). 그러나 스티프 K 굴절력은 $45.25{\pm}1.36$, 스티프 K e-value는 $0.45{\pm}0.18$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8, 0.027). 결론: 렌즈 편안한 착용감, 선명한 시력, 눈의 건조감의 항목을 종합하여 선호 피팅법을 조사하였을 때 우안 얼라인먼트 상태보다 1 D 플랫한 피팅 렌즈를 선택한 사람이 6명(30%), 좌안 얼라인먼트 피팅 렌즈를 선택한 사람이 14명(70%)으로 좌안 얼라인먼트 피팅 렌즈를 선택한 착용자가 많았다. RGP 렌즈의 피팅은 정확한 검사를 요구하며 환자의 각막에 적합한 얼라인먼트 피팅을 처방하여야 한다.

정상안과 건성안에서 피팅상태에 따른 각막에서의 소프트렌즈 움직임 비교 (The Comparison of Lens Movement by the Fitting States of Soft Contact Lenses in Normal and Dry Eyes)

  • 정다이;임신규;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30
    • /
    • 2011
  • 목적: 소프트렌즈를 얼라인먼트(alignment) 피팅 또는 스팁(steep) 피팅하였을 때 각막에서의 렌즈의 회전 움직임, 순목에 의한 이동거리 및 중심위치가 정상안과 건성안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30대 남녀 40안을 정상안군과 건성안군으로 분류한 후 polymacon 재질의 소프트렌즈를 얼라인먼트 피팅 혹은 스팁피팅상태로 착용시키고 렌즈 착용 직후 및 눈물층이 안정화 되었을 때의 회전 움직임, 순목에 의한 이동거리, 중심위치를 비교하였다. 결과: 렌즈의 회전 움직임은 스팁하게 피팅하였을 경우 정상안 군은 얼라인먼트 피팅시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건성안 군에서는 눈물층이 안정화되는 시점에서의 평균 회전 움직임이 정상안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컸다. 정상안 군에서는 피팅에 따른 렌즈 이동거리의 차이가 없었으나 건성안 군에서는 스팁하게 피팅된 경우 렌즈의 이동 거리가 증가하였다. 각막에서의 렌즈 중심 위치는 얼라인먼트 피팅된 렌즈를 착용한 정상안 군의 경우 수직 방향으로의 분포가 더 컸으나 건성안의 경우는 수평 방향으로의 분포가 더 컸다. 또한 건성안에 렌즈를 스팁하게 피팅하였을 때에는 렌즈를 착용한 직후 렌즈의 중심 위치가 수직방향으로도 다소 넓게 분포하였으며 눈물층이 안정화된 후에는 오히려 수평 방향의 분포가 좁아져 눈물층의 안정화에 따라 렌즈의 중심 위치가 변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건성안에서의 소프트렌즈의 움직임과 중심 위치가 정상안의 경우와 상이하며 특히 스팁 피팅시에는 그 차이가 더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건성안에 소프트렌즈를 피팅할 시에는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던 정상안과의 차이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구면 및 비구면 디자인 RGP 콘택트렌즈의 선호도와 경험적 피팅 성공률 비교 (Comparison of preference and Empirical Fit Success Rates for Spheric and Aspheric RGP Lenses)

  • 김재민;김수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16
    • /
    • 2008
  • 목적: 본 연구는 구면과 비구면 디자인 RGP렌즈를 착용하여 선호도와 경험적 피팅의 효용성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건강한 대학생 37명을 대상으로 우안에는 직경 9.3 mm의 구면 디자인, 좌안에는 직경 9.6 mm의 비구면 디자인렌즈로 피팅하였다. 경험적 피팅(on-K 피팅, 평균 K값-0.5D(또는 -1.0D) 피팅, 제조회사 가이드라인)의 베이스커브를 진단 피팅의 베이스커브와 비교하였다. 두 디자인 렌즈의 선호도와 피팅 형태(안검부착 피팅과 안검 사이 피팅)를 피팅 후 2주일에 조사하였다. 결과: 33명의 성공적인 RGP렌즈 착용자 중 구면 디자인 선호자는 76% 인 반면, 비구면 디자인 선호자는 24%로 나타났다. 안검 부착 피팅이 구면 디자인에서 67%이었고 비구면 디자인 에서는 64% 이었다. 진단 피팅과 비교하여 ${\pm}$0.50D이내 베이스커브의 수용할 수 있는 피팅 성공률은 구면 디자인 의 경우 on-K 피팅은 97%이고, 평균 K값-0.5D 피팅은 100%, 제조회사 가이드라인 피팅도 100%를 보였으나 비구면 디자인은 ${\pm}$0.50D 이내 베이스커브에 피팅이 되는 경우가 On-K 피팅은 91%, 평균 K값-1.0D 피팅은 79%, 제조 회사 가이드라인 피팅도 94%로 나타났다. 결론: 비구면 디자인의 시장 규모가 클지라도 여전히 검사 대상자들은 구면을 더 선호하였다. 경험적 피팅 중에서도 평균 K값-0.5D 피팅과 제조회사 가이드라인 피팅은 구면디자인에서 가장 적합한 피팅 방법일 수 있지만 비구면 디자인은 경험적 피팅 방법이 수용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