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tbit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9초

수면 분석 기반 스마트 멀티탭 (Sleep analysis-based Smart Multi-tap)

  • 정효영;박희우;이화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75-577
    • /
    • 2018
  • '대기전력(standby power)'이란 전원을 끈 상태에서 전기제품이 소비하는 전력이다. 한국전기연구원의 2011년 전국 대기전력 실측조사에 따르면 일반 가정의 경우 보통 전체 전기 사용량의 6% 이상이 대기전력으로 버려지고 있으며, 한해 약 4천2백억 원이 낭비되는 셈이라고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Fitbit'를 이용하여 수면 패턴을 파악하고, 사용자가 잠자는 사이에 사용하지 않는 기기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수면 분석 기반 스마트 멀티탭을 제안한다.

심박수를 활용한 교통수단별 신체활동 정보 분석 연구 (A Study on Physical Activity by Transportation Mode Using Heart Rate)

  • 정은비;유소영;유승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00-115
    • /
    • 2020
  • 최근 각종 센서 및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자료수집이 용이해졌으며,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활동에 대한 기록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련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이 가능한 개별 이용자 이동정보, 신체활동 정보 분석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이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보제공을 위한 기초 분석을 수행하고, 개별 신체활동 정보를 제공하였다. 교통수단별 신체활동 분석은 자료수집, 기초 통계분석, 신체활동 정보 분석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20-30대 성인남녀 4명을 피험자로 모집하여 상용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Fitbit을 통해 교통수단 이용에 따른 신체활동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신체활동 정보 중 심박수를 이용한 예비심박률(%HRR: Percentage of Heart Rate Reserve)을 도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교통수단별로 예비심박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보를 이용하는 경우 신체활동 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추후 이용자에게 신체활동 정보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분석으로, 동일한 기종점에 대한 서로 다른 경로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한 신체활동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는 향후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 마련,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Usefulness of a Wearable Device in Daily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for the Hospitalized Patients Undergoing Lumbar Surgery

  • Kim, Dong Hwan;Nam, Kyoung Hyup;Choi, Byung Kwan;Han, In Ho;Jeon, Tae Jin;Park, Se Yo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2권5호
    • /
    • pp.561-566
    • /
    • 2019
  • Objective : Functional outcomes have traditionally been evaluated and compared using subjective surveys, such as visual analog scores (VAS),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Short Form-36 (SF-36), to assess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However, these surveys are limited by their subjective natures and inherent bias caused by differences in patient perceptions of symptoms. The Fitbit $Charge^{(R)}$ (Fitbit Inc., San Francisco, CA, USA) provides accurate and objective measures of physical activity. The use of this device in patients after laminectomy would provide objective physical measures that define ambulatory function, activity level, and degree of recover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the number of steps taken by patients per day and VAS pain scores, prognoses, and postoperative functional outcomes. Methods :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22 consecutive patients that underwent laminectomy for spinal stenosis or a herniated lumbar disc between June 2015 and April 2016 by the same surgeon. When patients were admitted for surgery and first visited after surgery,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functional scores were recorded using VAS scores, ODI scores, and SF-36. The VAS scores and physical activities were recorded daily from postoperative day (POD) 1 to POD 7.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VAS scores and daily physical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by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 number of steps taken and ODI scores after surgery was subjected to simple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Wilcoxon's signed-rank test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pre-to-postoperative differences in VAS, ODI, and SF-36 scores. Results : Pre-to-postoperative VAS (p<0.001), ODI (p<0.001), SF-36 mental composite scores (p=0.009), and SF-36 physical composite scores (p<0.001) scor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Numbers of steps taken from POD 1 to POD 7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aily VAS scores (r=-0.981, p<0.001). In addition, the mean number of steps from POD 3 to POD 7 and the decrease in ODI conducted one month after surger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29). Conclusion : Wearable devices are not only being used increasingly by consumers as lifestyle devices, but are also progressively being used in the medical area. This is the first study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a wearable device for checking patient physical activity and predicting pain and prognosis after laminectomy. Based on our experience, the wearable device used to provide measures of physical activity in the present study has the potential to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on pain severity and prognosis.

보행보조차 손잡이 높이에 따른 노인들의 건강생활의 변화 : 상태불안과 심박수, 낙상효능감을 중심으로 (Changes in the Health Life of the Elderly Through the Handle Height of Walking Assistant Vehicle Article : Emphasizing on State Anxiety, Heart Rate and Fall Efficacy)

  • 손성민;곽성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19-52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보조차 손잡이 높이에 따른 노인들의 상태불안과 심박수, 낙상효능감의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정상노인 32명이다. 보행보조차는 유모차 형태로 손잡이 높이를 대상자들의 신장의 48%를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손잡이 높이를 5%씩 감소시켜, 48, 43, 38 %로 구성하였다. 상태불안 평가는 한국판 상태불안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심박수 평가는 Fitbit Charge 2 손목형 심박수 측정기를 활용하였다. 낙삭효능감 평가는 한국판 낙상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보행보조차 손잡이 높이에 따라 상태불안과 심박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낙상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에서도 상태불안과 낙상효능감의 분석결과 각각의 보행보조차 손잡이 높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심박수의 분석결과 48, 43%의 손잡이 높이와 38%의 손잡이 높이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들의 보행보조차 사용시 상태불안과 심박수를 감소시키고 낙상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보행손잡이 높이를 적절하게 위치하여야 할 것이며, 보행보조차 사용자 전체 신장의 48%의 위치로 조정하여야 할 것이다.

Health Metrics and Information Behavior: How Users Estimate and Use Self-Quantifying Activity and Health Information

  • Ilhan, Ayli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8권3호
    • /
    • pp.47-63
    • /
    • 2020
  • This study focuses on users of activity tracking technologies and their related information behavior. How useful is the provided information by the trackers? Do users understand all information and explanations? We conducted a web-based survey. All in all, 631 users of a tracking device filled out the survey.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science, this investigation aims to analyze information needs considering different types of the provided information by activity tracking technologies. Are users satisfied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ir steps, heart rates, and sleep duration? How do users assess readability about heart rate zones and sleep stages?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if users understand how to reflect on and adapt their health behavior based on the received explan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users mainly agree that the received information (raw data as well as - to a lesser extent - aggregated data in the form of corresponding diagrams) is useful, that the explanations are easy to understand, and that they know how to use this obtained information. This investigation enables an in-depth insight into how users are applying the self-quantifying activity and health information and which information needs are satisfied.

요양시설 입소 노인에서 인지, 수면양상, 타액 멜라토닌 농도 및 수면장애행동의 관련성 (Relationship among Cognition, Sleep Patterns, Salivary Melatonin Level and Sleep Disorder Inventory of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 심하은;송경애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3권2호
    • /
    • pp.151-158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leep quality in older adults in nursing home with objective data collection.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74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in Korea aged 65 years or abov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wearable device (Fitbit), salivary melatonin level and Sleep Disorder Inventory (SDI).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any correlation between sleep-related variables such as Total Sleep Time (TST), Rapid Eye Movement (REM) sleep, shallow sleep, deep sleep, salivary melatonin level and SDI. Results: There were distortion of sleep structure, as TST comprised short REM sleep (15.93±5.47%), long shallow sleep (74.18±8.08%) and short deep sleep (9.89±5.03%). Also, salivary melatonin levels were low (15.06±7.77 pg/mL). Moreover, we found than melatoni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ST (r = .251, p= .044), REM sleep (r= .294, p= .020) and deep sleep (r= .391, p= .002).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DI and other sleeprelated variables. Conclus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at insufficient sleep structure is associated with the salivary melatonin level among older adults in nursing home. We suggest developing programs to promote sleep quality of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스마트 밴드에 대한 사용자경험 분석 (User Experience Analysis of Smart bands)

  • 김건아;김석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99-105
    • /
    • 2017
  •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의 발전으로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초연결사회로 진입하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이 2020년까지 급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지만 아직 대중적인 호응은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사용자경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은 스마트밴드로하여 상품리뷰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경험은 유용성, 사용성, 심미성, 가치성, 신뢰성으로 추출할 수 있었고 이렇게 추출된 자료에서 극성을 분석하여 시각화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가격이 고가이고, 기능 개발에 집중되어 있어 축적된 정보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패션아이템이나 악세서리로 인식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은 제품의 지속적인 사용과 동기부여, 제품의 시장 확산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2차로 스마트워치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밴드와 워치에 대한 비교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인체 부착용 방사패턴 재구성 안테나의 SNR 및 BER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SNR and BER for radiation pattern reconfigurable antenna)

  • 이창민;정창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125-4130
    • /
    • 2015
  • 본 논문은 생체신호 (체온, 혈압, 맥박 등)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Wearable) 디바이스에 장착된 인체 부착용 방사패턴 재구성 안테나의 통신성능 비교에 관한 논문이다. 제안된 안테나의 동작주파수는 블루투스 (Bluetooth) 통신 대역의 2.4 - 2.5 GHz 이며, 안테나의 최대이득은 1.96 dBi 이다. 제안된 안테나는 두 개의 RF 스위치 (PIN diode)를 이용하여 서로 반대방향의 빔을 생성하여 전자기파 신호를 효율적으로 송수신 한다. 또한 제안된 안테나는 탑 로딩(Top Loading)을 이용 세 가지의 각도 변경 ($30^{\circ}$, $90^{\circ}$, $150^{\circ}$)을 통해 각 방사패턴의 지향성 변화를 조사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방사패턴 재구성 안테나를 통해 전파 간섭이 없는 전자파 차페실의 이상적인 전파환경과 실제 전파간섭이 존재 (Universal Software Radio Peripheral, USRP)하는 스마트 하우스 내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안테나의 신호대 집음비 (Signal-to-Noise Ratio, SNR) 및 비트 에러율 (Bit Error Rate, BER) 성능 측정을 진행하였다. 두 경우의 측정 비교 시 SNR은 평균적으로 5 dB의 성능저하를 보이며, BER은 최대 10배 증가하여 수신 에러율 (Error rate of receiving signal)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논문에서 측정한 SNR과 BER의 측정 결과로 전자파기기의 방해전파로 인한 성능저하를 수치상으로 예측 하였다.

Relationship Between Amyloid Positivity and Sleep Characteristics in the Elderly With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 Kyung Joon Jo;SeongHee Ho;Yun Jeong Hong;Jee Hyang Jeong;SangYun Kim;Min Jeong Wang;Seong Hye Choi;SeungHyun Han;Dong Won Yang;Kee Hyung Park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2-29
    • /
    • 2024
  • Background and Purpose: Alzheimer's disease (AD) is a neurodegenerative disease characterized by a progressive decline in cognition and performance of daily activities. Recent studies have attempt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AD and sleep. It is believed that patients with AD pathology show altered sleep characteristics years before clinical symptoms appear. This study evaluated the differences in sleep characteristics between cognitively asymptomatic patients with and without some amyloid burden. Methods: Sleep characteristics of 76 subjects aged 60 years or older who were diagnosed with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SCD) but not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or AD were measured using Fitbit® Alta HR, a wristwatch-shaped wearable device. Amyloid deposition was evaluated using brain amyloid plaque load (BAPL) and global standardized uptake value ratio (SUVR) from fluorine-18 florbetabe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Each component of measured sleep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fo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myloid-positive group and the amyloid-negative group. Results: Of the 76 subjects included in this study, 49 (64.5%) were female.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70.72±6.09 years when the study started. 15 subjects were classified as amyloid-positive based on BAPL. The average global SUVR was 1.598±0.263 in the amyloid-positive group and 1.187±0.100 in the amyloid-negative group. Time spent in slow-wave sleep (SW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myloid-positive group (39.4±13.1 minutes) than in the amyloid-negative group (49.5±13.1 minutes) (p=0.009).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SWS is different between the elderly SCD population with and without amyloid positivity. How SWS affects AD pathology requires further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