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t test

검색결과 1,590건 처리시간 0.032초

음성에 대한 퍼지-리아프노프 차원의 제안 (The Proposal of the Fuzzed Lyapunov Dimension at Speech Signal)

  • 인준환;유병욱;유석한;정명진;김창석
    • 전자공학회논문지T
    • /
    • 제36T권4호
    • /
    • pp.30-37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퍼지 Lyapunov차원을 제안하였다. 퍼지 Lyapunov차원이란 어트렉터의 양적 변화를 평가하는 것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것에 의해 화자 인식이 평가되었다. 제안된 퍼지 Lyapunov차원은 표준 패턴 어트렉터사이의 변별 특성이 우수하고, 어트렉터에 대해서는 패턴변동을 흡수시키는 화자 인식 파라미터임을 확인하였다. 퍼지 Lyapunov차원을 평가하기 위해 화자와 표준 패턴별로 식별 오차에 따른 오인식을 추정함으로써 화자인식 파라미터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화자인식 실험을 수행한 결과 인식율 97.0[%]을 얻었으며 퍼지 Lyapuov차원이 화자인식 파라미터로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 PDF

신체건강행동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Physical Health Behavior Scale)

  • 양옥경;김학령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3호
    • /
    • pp.151-180
    • /
    • 2015
  •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보편적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일반 클라이언트의 일상생활에서의 신체건강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문헌검토와 사회복지사 대상 FGI 및 관련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설문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일반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증진행동척도'와 '저해행동척도'의 하위척도로 나뉘는 '신체건강행동척도'를 완성하였다. 증진행동척도는 7요인(신체건강관리, 구강관리, 신체활동, 위생관리, 건강음식섭취, 수면관리, 식습관)으로, 저해행동척도는 5요인(흡연, 저해식품섭취, 음주, IT기기사용, 저해식습관)으로 구성되었다. 두 척도 모두 모형적합도가 우수하였고, 내적일관성 신뢰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동시타당도 등의 검증에서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보임에 따라 타당성 있는 척도임이 확인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척도는 사회복지실천의 현장에서 클라이언트에게는 신체건강행동에 대한 자기점검의 도구로, 사회복지사에게는 신체건강행동의 사정(Assessment)을 통한 근거기반의 실천을 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유역(流域) 및 하도(河道) 홍수추적(洪水追跡) 방법(方法)을 결합(結合)시킨 도시하천(都市河川)의 유출해석모형(流出解析模型) (Urban Runoff Model Based on the Watershed and Channel Flood Routing Methods)

  • 원석연;윤용남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147-155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유역(流域) 홍수추적모형(洪水追跡模型) 하도(河道) 홍수추적모형(洪水追跡模型)을 결합한 도시(都市) 유출해석모형(流出解析模型)을 수립(樹立)하였다. 즉, 도시(都市) 배수유역(排水流域)으로부터의 홍수유출량(洪水流出量) 산정을 위해서는 ILLUDAS모형(模型)을, 도시하천(都市河川)을 통한 하도(河道) 홍수추적(洪水追跡)을 위해서는 4점(點) 가중(加重) 음형(陰形) 유한차분기법(有限差分技法)을 사용하여 완전한 Saint Venant방정식(方程式)의 해(解)를 구하는 dynamic wave모형(模型)을 채택하였다. 성북천(城北川)의 성북(城北) 제(第) 3고(稿) 유역(流域)을 표본유역(標本流域)으로 선정(選定)하여 표본유역(標本流域)의 강우(降雨)-유출(流出) 자료(資料)를 직접(直接) 측정(測定) 혹은 수집(蒐集)하여 모형(模型)의 적용(適用) 및 검정(檢定)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시(都市) 유출해석모형(流出解析模型)을 표본유역(標本流域)에 적용하여 실측(實測) 유출량(流出量)과 비교한 결과 매우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으므로, 본(本) 모형(模型)은 도시(都市) 소유역(小流域)으로부터의 홍수유출량(洪水流出量)의 계산은 물론 하천(河川)을 포함하고 있는 도시유역(都市流域)의 홍수관리(洪水管理)를 위해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모형이라 할 수 있다.

  • PDF

간호사의 동기부여, 조직공정성, 직무만족, 재직의도와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Fairness, Motivation, Job Satisfaction, Intention to stay of Nurses)

  • 이윤신;박성희;김종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96-609
    • /
    • 2014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재직의도의 결정요인을 규명하는 연구로 동기요인, 위생요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직무만족 변수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 경기, 충남지역의 4개 종합병원 217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요인들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단계별 회귀분석 결과 특히 간호사 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 중 총 경력, 직무만족, 분배공정성이 45%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러 선행 연구들과 이론적 내용들이 검증되었다. 재직의도에 대한 경로분석 결과 수정모형에서 직무만족에 직접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위생요인 25%, 동기요인 52%로 나타났으며 재직의도에 직접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직무만족 50%, 분배공정성 26%로 나타나 동기요인, 위생요인, 분배공정성, 직무만족 변수가 간호사 재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검증이 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사들의 만족과 재직의도를 높일 수 있는 중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 할 수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Psychosocial Wellbeing Index의 신뢰도 및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WI(Psychosocial Wellbeing Index))

  • 이채용;이종영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2호
    • /
    • pp.255-264
    • /
    • 1996
  • 정상적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수준을 가늠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조정기전을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개발된 사회 심리적 건강 측정 도구(PWI)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의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4주간격으로 두 차례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내적 일치도를 나타내는 Crohnbach's $\alpha$계수가 0.93의 값을 보였다. 4주의 간격을 둔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1차조사의 성적과 2차조사의 성적 사이 Pearson상관계 수가 0.72의 값을 보였다. 탐색적 인자 분석을 통해 고유값 1이상의 인자는 13개였다. 인자의 수를 4개로 지정하여 주축인자법과 직교 회전법으로 분석하여 인자 구조를 비교한 결과 첫번째 인자는 거의 일치하였으나, 3번째와 4번째 인자는 거의 일치하지 않았다. 확증적 인자분석을 통해 선행 연구의 4인자 모형과 이 연구의 탐색적 분석 결과에 나타난 4인자 모형의 적합도를 구한 결과 RMR값이 0.1미만인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적합도 지수가 부적합하게 나왔다 각 인자를 측정 변수로 간주하고 그 하부에 이론 변수로서 단일 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구성한 일차원적 단일 인자 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비록 이 모형이 오차 항의 상관성을 지닌 것이긴 하나 적합한 지수를 많이 보여, PWI가 2차원적 측정 구조를 가졌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The Colorectal Cancer Mortality-to-Incidence Ratio as a Potential Cancer Surveillance Measure in Asia

  • Sunkara, Vasu;Hebert, James 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9호
    • /
    • pp.4323-4326
    • /
    • 2016
  • Background: The cancer mortality-to-incidence ratio (MIR) has been established as an important measure of health disparities in local and global circumstances. Past work has corroborated a linkage between the colorectal cancer MIR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ealth System ranking. The literature further documents many Asian countries having incomplete cancer registries and a lack of comprehensive colorectal cancer screening guidelines. Materials and Methods: The colorectal cancer MIR values for 23 Asian countries were calculated from data obtained from the 2012 GLOBOCAN database. The 2000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ealth System rankings were used as a proxy for health system infrastructure and responsiveness. A regression equation was calculated with the MIR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WHO Health System ranking as the independent variable. Predicted MIR values were next calculated based on the regression results. Actual MIR values that exceeded 0.20 from the predicted MIR were removed as 'divergent' points. The regression equation was then re-plotted. Goodness-of-fit for both regressions was assessed by the R-squared test. Results: Asian countries have a relatively wide colorectal cancer MIR range, from a minimum of 0.24 to a maximum of 0.86. For the full dataset, the adjusted R-squared value for this regression was 0.53. The equation was then used to calculate a predicted MIR, whereby two data points were identified as 'divergent' and removed. The adjusted R-squared for the edited dataset increased to 0.66. Conclusions: Asian countries have a marked range in their colorectal cancer MIR values and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with the WHO Health System ranking. These results corroborate the contribution of the MIR as a potentially robust tool in monitoring changes in colorectal cancer care for Asian nations.

3D Sample Module을 활용한 스커트 원형 연구 -Plus-size 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asic Skirt using a 3D Sample Module - For Plus-sized Women -)

  • 성옥진;하희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14권2호
    • /
    • pp.271-28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basic skirt pattern for 4 lower body types of Plus-sized women. To reduce a time and economic loss about putting it on, This study applied a 3D sample module in the course to develop a basic skirt pattern which is fit, functional and beautiful. A data analysis used the SPSS 11.0 statistics program. To verify the difference, This study used the variance analysis and Duncan's test for the postmortem verification. The result was as follows. To reflect a feature according to an abdomen projection and hip projection, we added the maximum hip circumference to the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for necessary for a skirt draft item. The front hip circumference sets to the H/4+1cm(ease)+D/4. The back hip circumference set to the H/4+0.5cm(ease)+D/4. The D is the hip circumference in the maximum hip circumference to subtract. The front waist circumference sets to the W/4+0.5cm(ease)+0.5cm(A front and back's difference)+D/4. The back waist circumference sets to the W/4+0.5cm(ease)-0.5cm(A front and back's difference)-D/4. Compare with 4 lower body types of Plus-sized Women, A type 2 and type 4 abdomen projections are bigger. We raised a front waistline of skirt pattern to a 0.3cm upside, and take about 1.3cm down the skirt length from a developed skirt pattern. Consequently, the appearance of a front skirt length was improved with a side skirt length.

  • PDF

일반국도 그룹핑과 시간 교통량 추이를 이용한 연평균 일교통량 추정 (Estimating Annual Average Daily Traffic Using Hourly Traffic Pattern and Grouping in National Highway)

  • 하정아;오세창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0-2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일반국도 수시조사 지점의 AADT 추정값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새로운 그룹핑방법을 제시하였다. 일반적으로 수시조사 자료의 AADT 추정을 위해 월보정계수, 요일보정계수, 조사된 24시간 교통량을 이용하여 AADT를 추정 하므로 상시조사 지점을 그룹핑할 때 상기 세 가지 요인(43개 변수)을 모두 적용하여 그룹핑하였다. 이 방법은 기존의 월보정계수와 요일보정계수만을 이용하여 그룹핑한것과 비교하여 시간대별 교통량을 적용한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그룹핑 결과 5개의 군집이 가장 적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5개의 군집 중 2개의 군집은 해당되는 지점이 몇 지점 없어 설명하기 어려웠고, 나머지 3개의 군집에서 각각 출퇴근로, 관광부도로, 지방부도로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그룹의 월보정계수 평균과 요일보정계수 평균, 시간대별 교통량 비율의 평균으로 각 그룹의 대표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분석대상지점의 평일 교통량을 해당 그룹의 대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AADT를 추정한 결과 평균적으로 오차가 8.7%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우수하다고 분석된 동일 대구간 내의 상시조사 보정계수를 적용한 것보다 1.5%오차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AADT 산출방법은 전체 수시조사 지점에 적용 가능하므로 실무에서의 활용도가 매우 크다고 판단된다.

Applications of the Sediment-Transport Path Model to the Tidal Flats of Garolim Bay, West Coast of Korea

  • Shin, Dong-Hyeok;Yi, Hi-Il;Han, Sang-Joon;Oh, Jae-Kyung;Won, Joong-Sun
    • International Union of Geodesy and Geophysics Korea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39-51
    • /
    • 1995
  • Bidirectional transport trend using the sediment-transport path model was identified in the two areas, sand ridge area and tidal mudflat in Garolim Bay, which is located i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r. This model exhibits the two-dimensional view of clear sediment transport trend based on data of changes in sediment statistics such as mean, sorting, and skewness, Garolim Bay was selected to test for the sediment-transport path model developed by McLaren and Bowles [1985]. Line-S, a typical tidal mudflat and representative of the Garolim Bay tidal flats, is well tested by this model, showing a clear seasonal change and coarsening-trend seaward (case C). This indicates that strong ebb currents carried relatively coarser sediments seaward with respect to high energy regime. Seasonally, this energy regime slowly decreases toward the summer in contrast with an increase of energy regime of flood tides, carrying coarser sediments landward (case C) in the summer. However, the Line-D area does not show consistent transport trend with respect to time-series. Separated and scattered events show fining trend landward (case B) in the sand ridge itself. The finining-trend (case B) either seaward and landward is not chiefly important in both the entire Line-D area and sand ridge itself. Also, the coarsening-Trend (case C) landward is not significant in the sand ridge itself. Consequently, in reality, the selection of suitable and representative locations are very important to fit with this model.

  • PDF

모수적·비모수적 입력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신뢰성 해석 (Reliability Analysis Using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Input Modeling Methods)

  • 강영진;홍지민;임오강;노유정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1호
    • /
    • pp.87-94
    • /
    • 2017
  • 신뢰성 해석 및 신뢰성기반 최적설계는 불확실성을 고려한 확률변수를 입력 값으로 요구하며, 확률변수는 모수적 비모수적 통계모델링 방법을 사용하여 확률분포함수의 형태로 정량화 된다. 신뢰성 해석과 같은 통계적 해석은 입력되는 확률분포함수의 특성이 결과값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확률분포함수는 통계모델링 방법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수적 통계모델링 방법인 순차적 통계모델링 방법과 비모수적 방법인 커널밀도추정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개수에 따른 통계모델링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치예제를 통해 두 가지 기법에 따른 신뢰성 해석의 결과를 분석하였고, 데이터의 개수에 따른 적절한 기법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