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sure bur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3초

수종의 기구를 이용한 치근면 활택술후 치근면의 변화 (Evaluation of the Effect of Various Root Planing Instruments on the Root Surfaces)

  • 김태범;임성빈;정진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1호
    • /
    • pp.65-8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eriodontal curet and various rotating instruments on the root surfaces. Thirty-five extracted teeth with advanced periodontal disease were used. They was root planed with periodontal curet, periodontal Perio-Clean bur, periodontal Roto-Perio bur, resin polishing ET bur, and resin polishing diamond fissure bur. To find dentinal tubule orifices on the root surface, tetracycline HCI solution was applied to the one tooth of treated each group. Then, root surfaces were investigat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mount of loss of cementum was evaluated by loss of tooth substance index.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roups treated with periodontal curet and Perio-Clean bur showed irregular surface and concavities. Concavities seemed to be lacunae of cementocyte. Other groups treated with Roto-Perio bur, resin polishing ET bur, and resin polishing diamond fissure bur showed partially opened dentinal tubule orifice. 2. Groups treated with periodontal curet and Perio-Clean bur and tetracycline HCl showed irregular surface. No dentinal tubule orifice was seen. Other groups treated with Roto-Perio bur, resin polishing ET bur, and resin polishing diamond fissure bur and tetracycline HCl showed dentinal tubule orifice with various shape and size. 3. Loss of tooth substance indice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periodontal curet and Perio-Clean bur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between periodontal curet and Roto-Perio bur, ET bur, and diamond fissure bur groups. As a result of this study, groups treated with Roto-Perio bur, resin polishing ET bur, and resin polishing diamond fissure bur showed more cementum removed than groups treated with periodontal curet and Perio-Clean bur. Therefore, in a conventional treatment for periodontal disease, it was recommended that periodontal curet or Perio-Clean bur should be used. In a treatment for regeneration of periodontal tissue, it was recommended that Roto-Perio bur, resin polishing ET bur, or resin polishing diamond fissure bur should be used

  • PDF

교합면 우식열구에서 열구성형술 방법에 따른 유동성 레진의 침투도와 미세누출 평가 (Penetration and Microleakage Assessment of Flowable Resin Applied on Carious Fissure Following Various Fissurotomy Techniques)

  • 권세옥;이상호;이난영;지명관;윤영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0-9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교합면 우식열구에서 열구성형술이 유동성 레진의 침투와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다. 교합면 우식증이 있는 발거된 소구치 250개를 대상으로 열구 성형술을 시행하지 않는 군을 대조군(n = 50), 열구성형술을 시행한 군을 실험군으로 하였으며, 실험군은 $Fissurotomy^{(R)}$ original bur (n = 50), $Fissurotomy^{(R)}$ Miro NTF bur (n = 50), SF104R tapered diamond bur (n = 50), 1/2 round carbide bur (n = 50) 등 4가지 유형의 bur를 이용하여 열구성형술을 시행한 후 2가지 종류의 유동성 레진($UniFil^{(R)}Flow$, $Filtek^{(R)}Flow$)을 적용하고 침투도와 미세누출의 평가를 통하여 전색효과를 비교하였다. 열구성형술을 시행한 군이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침투도가 컸으며 미세누출은 적었다. 1/2 round bur를 사용하여 열구성형술을 시행한 군이 다른 bur를 사용한 군에 비해 유동성 레진의 열구내로의 침투도는 높았으나 미세누출은 차이가 없었다. 유동성 레진의 종류($Unifil^{(R)}Flow$$Filtek^{(R)}Flow$)에 따른 침투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미세누출은 차이가 없었다.

Enamel pretreatment with Er:YAG laser: effects on the microleakage of fissure sealant in fluorosed teeth

  • Memarpour, Mahtab;Kianimanesh, Nasrin;Shayeghi, Bahareh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9권3호
    • /
    • pp.180-186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leakage and penetration of fissure sealant in permanent molar teeth with fluorosis after pretreatment of the occlusal surfac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20 third molars with mild dental fluorosis were randomly divided into 6 groups (n = 20). The tooth surfaces were sealed with an unfilled resin fissure sealant (FS) material. The experimental groups included: 1) phosphoric acid etching (AE) + FS (control); 2) AE + One-Step Plus (OS, Bisco) + FS; 3) bur + AE + FS; 4) bur + AE + OS + FS; 5) Er:YAG laser + AE + FS; and 6) Er:YAG laser + AE + OS + FS. After thermocycling, the teeth were immersed in 0.5% fuchsin and sectioned. Proportions of mircoleakage (PM) and unfilled area (PUA) were measured by digital microscope. Results: Overa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groups in the PM (p = 0.00). Group 3 showed the greatest PM,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groups 2 to 6 (p < 0.05). Group 6 showed the lowest PM. Pretreatment with Er:YAG with or without adhesive led to less PM than bur pretreat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PUA. Conclusions: Conventional acid etching provided a similar degree of occlusal seal in teeth with fluorosis compared to those pretreated with a bur or Er:YAG laser. Pretreatment of pits and fissures with Er:YAG in teeth with fluorosis may be an alternative method before fissure sealant application.

삭제기구가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LEAKAGE OF A SELF-ETCHING PRIMER ADHESIVE ACCORDING TO TYPES OF CUTTING INSTRUMENTS)

  • 김용희;박재구;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4호
    • /
    • pp.327-334
    • /
    • 2007
  • 이 연구는 서로 다른 카바이드 버와 다이아몬드 버로 5급 와동을 형성 한 후 SE primer 접착 시스템인 Clearfil SE Bond를 이용한 복합레진 수복 시 버의 종류에 따른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에서의 미세누출 차이를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4종의 삭제기구를 이용하여 각각 10개의 발거된 대구치의 협면 치경부에 5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1군은 plain-cut carbide fissure bur (no. 245)를 사용한 군, 2군은 cross-cut carbide fissure bur (no. 557)를 사용한 군, 3군은 fine diamond bur (TF-21F: 입자크기 $53\;-\;63\;{\mu}m$)를 사용한 군, 4군은 standard diamond bur (EX-41: 입자크기 $106\;-\;205\;{\mu}m$)를 사용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형성된 와동에 Clearfil SE Bond의 Primer와 Bond를 적용하고 Clearfil AP-X 복합레진을 충전하여 광중합한 후, Sof-Lex disc를 이용하여 마무리와 연마를 시행하였다. 수복된 치아를 2% methylene blue 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각 군의 치아를 협설로 절단하여 광학 입체현미경 하에서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에서의 미세누출 점수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learfil SE Bond와 복합레진을 이용한 5급 와동 수복 시 거친 다이아몬드 버의 사용은 카바이드 버나 미세한 다이아몬드 버에 비해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 모두에서 높은 미세누출을 나타내었다.

치면열구전색술 - Advanced technique (Pit and fissure sealing - Advanced technique)

  • 이상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9권1호
    • /
    • pp.22-32
    • /
    • 2011
  • This paper reviewed the following subheadings and a few selected references in each section were discussed: ${\cdot}$ Sealant placed over caries; is it possible? Initial caries which is not sticky during proving is possible to be placed with sealants. ${\cdot}$ Prophylaxis of fissure; which method is most effective? Mechanical preparation with fissurotomy or resin polishing bur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clean the pit and fissure. ${\cdot}$ Glassionomer cement as a sealant; GIC, wheather it released fluoride or not, cannot be as cost-effective as resin-based sealants. ${\cdot}$ Sealant products; Color(white vs opaque), fluoride(containing vs not), filler component(filled vs non-filled) do not influenced the quality and retention of sealants. ${\cdot}$ Use of intermediate bonding agent to improve retention; Intermediate bonding may increase the retention rate of sealants ${\cdot}$ Penetration method of sealants; Several methods including waiting before light curing are recommended.

수종의 CLEAN-UP technique이 법랑질 표면거칠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CLEAN-UP techniques on enamel surface roughness)

  • 조상완;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91-800
    • /
    • 1997
  •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발거한 소구치 60개를 4군으로 나누고 치과용 저속 절삭기에서 $18,500{\pm}300rpm$으로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하여 4가지 회전 마무리 기구(G1; No. 169L carbide fissure bur, G2; No.2 round bur, G3; No.4 round bur, G4; No.8 round bur)로 잔여 레진을 제거하고 러버컵과 pumice로 법랑질을 5초간 마무리하였을 때 법랑질 손상에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브라켓 부착전 러버컵과 pumice로 전처치한 후(P1), 각 군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잔여 레진을 제거한 후(P2), 러버컵과 pumice로 마지막 마무리 후(P3)의 법랑질 표면거칠기를 표면거칠기 측정기에서 각각 측정하고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2에서 법랑질의 표면거칠기는 G1군의 경우 $2.60{\pm}0.55{\mu}m$으로 가장 매끄럽게 나타났고 G2군의 경우 $3.24{\pm}0.80{\mu}m$, G3군의 경우 $3.44{\pm}0.94{\mu}m$으로 나타났고 G4군의 경우 $3.89{\pm}0.54{\mu}m$으로 가장 거칠게 나타났으며 G2군과 G3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2. P3에서 법랑질의 표면거칠기는 G1군의 경우 $2.29{\pm}0.47{\mu}m$으로 가장 매끄럽게 나타났고 G2군의 경우 $2.44{\pm}0.56{\mu}m$, G3군의 경우 $2.44{\pm}0.58{\mu}m$으로 나타났고 G4군의 경우 $2.92{\pm}0.43{\mu}m$으로 가장 거칠게 나타났으며 G1군은 G2군, G3군과, G2군은 G3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3. 모든 군에서 P2, P3는 P1보다. P2는 P3보다 표면거칠기가 거칠게 나타났다(p<0.01). 4. 아무 처치도 하지 않은 정상 법랑질에 러버컵과 pumice로 5초간 전처치한 경우 주사전자현미경관찰에서 미세한 긁힘을 발견할 수 있었고 네군 모두에서 러버컵과 pumice로 연마 후에도 제거할 수 없는 흠을 남기며 러버컵과 pumice로 마무리 후 육안관찰시 잔여 레진을 발견할 수 없었으나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는 레진 잔사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교합면 열구 법랑질의 미세구조 및 산부식 형태 (ULTRA-STRUCTURE AND ACID ETCHING CHARACTERISTICS OF OCCLUSAL FISSURE ENAMEL)

  • 조태식;윤정훈;김수관;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21-331
    • /
    • 2005
  • 치면열구전색제의 접착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합면 열구 법랑질의 미세구조 및 산부식 형태, 그리고 산부식 형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prismless enamel의 존재 여부 및 법랑질의 화학적 조성을 규명하고자 소구치를 대상으로 협설면과 근원심으로 각각 절단하여 열구내의 법랑질 표면과 산부식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EDX를 사용하여 법랑질의 화학적 조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열구내 법랑질은 대부분이 prismless enamel이 존재하였다. 2. 미성숙 영구치와 성숙된 영구치간의 열구내 법랑질 표면 구조 및 산부식 형태는 차이가 없었다. 3. 열구 법랑질은 부위에 관계없이 60초 산부식이 15초, 30초, 45초에 비해 산부식 효과가 가장 컸으며 15초, 30초, 45초의 산부식 시간에서는 적절한 유지력을 얻을 수 있는 산부식 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4. 열구 법랑질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제거한 경우는 30초의 산부식 시간에서도 60초 산부식 시간에 못지않은 전형적인 산부식 상이 관찰되었다. 5. 산부식 형태는 주로 rod 주위가 소실된 제 2형의 산부식 상이 관찰되었다. 6. 열구 내 법랑질의 부위별 화학적 조성의 차이는 없었으나 미성숙 영구치와 성숙된 영구치 사이의 칼슘/인 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교합면 열구 내 법랑질은 대부분 산에 저항성이 큰 prismless enamel로 덮여 있어 기존에 제안된 15-30초의 산부식 시간으로는 적절한 유지력을 얻을 수 있는 산부식 상을 형성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제안된 산부식 시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며 이와 함께 적절한 산부식 상을 얻기 위한 방안으로 산부식 전 bur를 사용하여 열구내 법랑질 표면을 제거해 주는 보조적인 술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Percutaneous self-injury to the femoral region caused by bur breakage during surgical extraction of a patient's impacted third molar

  • Yu, Tae Hoon;Lee, Jun;Kim, Bong Chu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1권5호
    • /
    • pp.281-283
    • /
    • 2015
  • Extraction of an impacted third molar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techniques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Surgeons can suffer numerous external injuries while extracting a tooth, with percutaneous injuries to the hand being the most commonly reported. In this article, we present a case involving a percutaneous injury of the surgeon's femoral region caused by breakage of the fissure bur connected to the handpiece during extraction of the third molar. We also propose precautions to prevent such injuries and steps to be undertaken when they occur.

표면처리에 따른 상아질과 콤포짓드 레진간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O DENTIN FOLLOWING SURFACE TREATMENTS)

  • 노은희;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6권1호
    • /
    • pp.200-208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o dentin following surface treatment. Freshly extracted forty-eight sound human molars were used in this study. They were stored at $4^{\circ}C$ physiologic saline solution before experiment. The teeth was then mounted with self curing acrylic resin in brass mold. The buccal surfaces of the teeth were grinding approximately 1.5mm by means of water-irrigated grinding wheel to expose the flattened fresh dentin surfaces. Th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6 groups according to preparation and treatment procedures on dentin surfaces; Group 1: Untreated after preparation with No.301 diamond point Group 2: Treated with primer for 60 seconds after preparation with No.301 diamond point Group 3: Untreated after preparation with No.700 fissure carbide bur Group 4: Treated with primer for 60 seconds after preparation with No.700 fissure carbide bur Group 5: Untreated after grinding with 600 grit silicon carbide paper Group 6: Treated with primer for 60 seconds after grinding with 600 grit silicon carbide paper Light cure dental adhesive was applicated to each specimen. Silux plus(3M) was inserted then into polyethylene tube of 3mm diameter and 3mm height, and polymerized to dentin surface. All of the specimens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at $35.6^{\circ}C$ for 24 hours prior to testing. The 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using an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hear bond strength to dentin was the highest in group II. 2. The shear bond strength to dentin was the lowest in group III.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hear bond strength to dentin according to preparation instrument. 4. The primer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shear bond strength than untreated group.

  • PDF

기계적 삭제방법을 이용한 치면열구전색제의 열구 침투도 및 미세누출 (THE FISSURE PENETRATION AND MICROLEAKAGE OF PIT AND FISSURE SEALANT WITH MECHANICAL PREPARATION)

  • 김지연;이제호;박기태;김성오;최병재;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4-173
    • /
    • 2005
  • 교합면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치면열구전색제 도포시 열구내 유기물, 치태, 법랑질 잔사 등을 제거하여 전색제의 유지율을 증가시키고자 기계적 삭제 방법이 소개되었다. 기계적 삭제방법을 사용할 경우 산부식 방법만을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치면열구전색제의 열구 침투도 및 미세누출정도의 차이는 임상적인 측면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계적 삭제방법(소와열구 삭제 후 산부식)과 산부식 방법을 시행한 후, 각각 unfilled sealant와 filled sealant를 처치하고 이들 치면열구전색제의 열구 침투도와 미세누출 정도를 측정하였다.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발거된 사람의 소구치 60개를 실험재료로 사용하였으며 그중 30개는 산부식 처리하고 나머지 30개는 소와열구의 기계적 삭제와 산부식 처리를 시행한 후 각각의 방법에서 15개는 unfilled sealant로 나머지 15개는 filled sealant로 수복하였다. Thermocycling($5^{\circ}C$$55^{\circ}C$ 1200회)을 시행하고 5% methylene blue 용액에 24시간 보관하였다가 각각의 치아를 근심소와와 원심소와에서 협설 방향으로 절단하여 120개의 절단면을 얻었다. 각 절단면을 Measurescope으로 관찰한 결과, 기계적 삭제 방법은 산부식만을 시행한 경우에 비하여 unfilled sealant와 filled sealant 모두 열구 침투도를 증가시켰다(P < 0.05). 기계적 삭제 방법을 사용한 경우 산부식 방법만을 사용하고 unfilled sealant로 수복한 경우에 비하여 미세누출이 적었고(P < 0.05), 산부식 방법만을 사용하고 filled sealant로 수복한 경우와는 미세누출에 차이가 없었다. Unfilled sealant와 filled sealant는 기계적 삭제 방법을 사용한 경우와 산부식 방법만을 사용한 경우 모두 열구 침투도나 미세누출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치면열구전색제 도포 시 열구 침투도가 우수하고 미세누출이 적은 기계적 삭제 방법과 물리적 성질이 우수한 filled sealant의 사용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미세누출에 있어 교합력을 고려한 실험이나 장기간의 임상실험이 필요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