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meat product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초

적색육 어류를 원료로 한 연제품의 제조 (2) 고등어 어묵의 제조 (Processing of Fish Meat Paste Products with Dark-Fleshed Fishes (2) Processing of Meat Paste Product with Mackerel)

  • 박영호;김동수;천석조;강진훈;박진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2-362
    • /
    • 1985
  • 고등어를 원료로 하여 어묵을 제조할 때의 최적가공조건을 밝히기 위하여, 원료어의 저장조건 및 선도, 원료육의 수세조건, 알칼리 세척처리, 원료육의 혈합육비율, 고기풀의 setting조건, 가열온도 및 시간, 냉동고기풀의 저장 기간 등이 어묵형성능 및 그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검토하였다. 1. 원료어를 $25^{\circ}C$에 저장한 것은 선도 및 어묵형성능의 저하가 급격하여 어묵의 겔강도의 경우 5시간 저장한 것은 대조구의 약 l/2, 15시간 저장한것은 약 1/5로 떨어지고, 절곡시험, 관능검사 및 terture에 있어서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원료어를 빙장한 것은 저장 1일째 까지는 비교적 어묵형성능이 유지되었으나, 저장 2일을 넘어서면 크게 감소하였다. $-3^{\circ}C$에서 partial freezing을 한 것과 특히 $-20^{\circ}C$에서 동결저장한 것은 어묵형성능의 저하가 비교적 완만하여 겔강도의 1일 평균저하율은 전자는 약$6.5\%$, 후자는 약 $4.5\%$를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저장 기간에 따른 어묵형성능의 저하는 고등어가 정어리에 비하여 비교적 완만하였다. 2. 원료육을 3회 수선한 것은 지방은 약 $55\%$, 수용성단백질은 약 $60\%$가 제거되었으며, 어묵의 물성도 3회 수세한 것이 가장 양호하였고 5회 이상의 수세를 한 것은 물성이 약간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원료육의 알칼리 세척에 있어서 $0.5{\sim}0.7\%$ 탄산수소나트륨용액으로 세척하는 경우가 어묵형성능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이 때의 원료육의 pH는 $6.9{\sim}7.0$이었다. 4. 원료육의 혈합육비율이 $5\%$만 되어도 어묵의 물성은 크게 저하하였으며, 혈합육혼화에 따른 어묵물성의 저하는 정어리의 경우에 비하여 훨씬 크게 나타났다. 5. 고기풀의 setting조건은 $5^{\circ}C$에서는 15시간, $30^{\circ}C$에서는 2시간 처리하는 경우가 어묵형성능이 가장 좋았다. 6. setting한 원료육의 가열조건은 $90^{\circ}C$에서 40분간 가열하는 경우가 어묵형성능이 가장 좋았다. 7, 고등어 냉동 고기풀은 $-30^{\circ}C$에서 30일간 동결저장하여도 어묵형성능에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50일간 저장한 것의 겔강도는 대조구의 약 $87\%$를 나타내었다.

  • PDF

패널자료를 이용한 중국 수산물소비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Empirical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sumption of Aquatic Products in China Using Panel Data)

  • 임설매;김기수
    • 수산경영론집
    • /
    • 제44권2호
    • /
    • pp.19-33
    • /
    • 2013
  • China is the world's largest producer of aquatic products and its fishery sector is comprised primarily of aquaculture facilities, both fresh and seawater, and a much smaller wild catch component. The expansion of the aquaculture sector continues to boost China's aquatic output. The increase is attributable to several factors. Among them rapidly growing domestic demand is no doubt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Rapid economic growth and rising disposable income are influencing domestic consumption and the economic recovery of major import markets is further stimulating consumption of China's aquatic products.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status, trend and reasons of consumption of aquatic products in China.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consumption of aquatic products and its change, this paper utilizes panel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the affecting factors of aquatic products consumption in China. By using panel data between 1997 and 2010, the results indicate that income, urbanization, aging and dummy variable have positive effects and fish price index has negative effect on China's aquatic products consumption as predicted. However, effects of meat consumption and education on fishery consumption are totally opposite with our predictions. In other words, it turns out that meat consumption has positive effect on fish consumption while education turns out to have negative effect. Finally the member of household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consumption of aquatic products in China.

학령 전 아동에서 식습관과 신체발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Growth Development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 신경옥;유유영;박현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6호
    • /
    • pp.455-464
    • /
    • 2005
  • The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ating habits and growth development in 1,574 children (3-6 years old) in Kyunggi-do and Seoul, Korea. The eating habits and nutrient intake were determined by mini dietary assessment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35.6% children had been practicing an unbalanced diets. Children with unbalanced diet consumed less amount of protein source foods (meat, fish, egg, soy products), vegetables and fruits and had irregular meal time, but more of them preferred sweet foods (ice creme, cookies) and carbonated drinks as snack compared with children in balanced diet. 24-35% children consumed energy, iron (Fe), calcium (Ca), Niacin, Zinc (Zn) less than 75% RDA. Energy intake of children with unbalanced die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with balanced diet, but they consumed less amount of niacin, Fe, Ca and Zn than those with balanced diet. By using the relative percentage of standard weight-length-index (WLI), 65.7% children was normal weight, 12.9% was underweight, 13.4% was overweight and 7.9% was obese. However, 11.9% of underweight and normal weight children was so called thin obese since their body fat content was greater than 20%. There were 16.8% underweight in children with unbalanced diet and 12.6% underweight in those with balanced diet. Compared to normal weight, the underweight children significantly consumed less amount of milk and its product, high protein foods, fried foods and fruits, but obese children consumed more high protein source foods (meat, fish, egg, etc) and sweet foods. In conclusion, the eating habits of unbalanced meal was prevalent problem in preschool children which resulting in their health risks. Therefore, it would be needed that new approach for nutrition education to improve eating habits in preschoolers.

조피볼락(Sebastes schligeli)에 있어 사료내 단백질 사료원으로서의 어분대체품 (Fish Meal Analog as a Dietary Protein Source in Kor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김강웅;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3-151
    • /
    • 1997
  • 본 연구는 조피볼락 사료에 있어서 어분대체품을 결정하고, 상품어분대체품과 유인물질의 첨가 효과를 통하여 조피볼락용 어분대체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도 사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사료는 조단백질 52%로, 가용성 에너지 16.8 KJ/g으로 설계되었고, 주단백질원으로 북양어분, 어분대체품 및 상품어분대체품을 사용하였다. 사료의 성분조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사료1, 100%FM (control) ; 사료2, 60%FM : 40% CFMA ; 사료3, 60%FM : 40% CFMA+ATT ; 사료 4, 80%FM : 20% FMA ; 사료5, 80% FM: 20%FMA+ATT : 사료 6, ; 사료6, 60%FM : 40%FMA+ATT; 사료7, 40%FM : 60% FMA+ATT. 어분대체품은 혈분(BM), 오징어간분(SLP), 육골분(MBM), 수지박(LM), 가금부산물(PBP), 우모분(FM), 필수아미노산(Met, Lys, Ile) 등을 적절히 배합하여 제작 사용하였다. 성장률, 사료효율, 일간성장률 및 단백질효율에 있어서 사료 1은 사료 4, 사료 5 및 사료 6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P>0.05), 나머지 실험구들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특히, 상품어분대체품(CFMA)인 사료 2와 사료 3은 실험사료로 제작된 동일한 수준의 사료 6과 비교하여 성장률, 사료효율, 단백질효율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0.5% 유인물질을 첨가한 사료 3과 5는 사료 2와 4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P>0.05), 간중량지수, hemoglobin 및 비만도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따라서, 조피볼락에 있어서 어분대체품(FMA)으로 어분단백질을 40%정도 대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혼합육 가공품의 열확산도 추정에 관한 연구 (Prediction of Thermal Diffusivities of Meat Products Containing Fish Meat)

  • 이건영;박상민;안희우;조현덕;한봉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6-30
    • /
    • 1993
  • 축육${\cdot}$어육 혼합 가공품의 실제 열처리 온도범위에서 적용가능한 열확산도 추정식을 제시하고자, 식염 $1.5\%$, 중합인산염 $0.2\%$, lard 및 대두단백질을 임의의 농도로 혼합한 돼지고기와 말쥐치육의 혼합육을 사용하여 열전달실험을 행하고 열확산도 추정식을 구하였다. 수분함량 $49.01{\sim}77.55\%$, 가열온도 $80.76{\sim}121.03^{\circ}C$의 범위에서 열확산도는 동일 온도에서는 수분함량의 증가에 따라, 동일 수분함량에서는 가열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커졌으며, 각 온도에서의 실측 열확산도는 다음의 식들로 나타낼 수 있었다. $${\alpha}_{p,(80.76{\pm}0.3^{\circ}C)}=0.0870{\cdot}10^{-6}{\cdot}X_w+0.0689{\cdot}10^{-6},(m^2{\cdot}s^{-1})$$ $${\alpha}_{p,(98.57{\pm}0.3^{\circ}C)}=0.0862{\cdot}10^{-6}{\cdot}X_w+0.0845{\cdot}10^{-6},(m^2{\cdot}s^{-1})$$ $${\alpha}_{p,(121.03{\pm}0.5^{\circ}C)}=0.0932{\cdot}10^{-6}{\cdot}X_w+0.0939{\cdot}10^{-6},(m^2{\cdot}s^{-1})$$ 이들 식들을 정리하여 구한 임의의 열처리 온도에서의 열확산도 추정식은 다음과 같았으며, 실측치를 기준으로 한 추정치의 최대 오차는 ${\pm}0.8\%$였다. $${\alpha}_p=(3.045+0.59{\cdot}X_w){\cdot}{\alpha}_w+0.0098{\cdot}10^{-6}{\cdot}X_w-0.4287{\cdot}10^{-6},(m^2{\cdot}s^{-1})$$

  • PDF

훈제 처리가 가열소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oking on the quality boiled sausage)

  • 정청송;유상훈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2권2호
    • /
    • pp.1-41
    • /
    • 2001
  • The effect of smoking on the quality sausage Sausages were prepared from beef, port, chickens, games, fish and shellfish with polyphosphate salt and spices. Sausage history goes back to 3,000 years of age. The procedure of sausage 1) Meat Curing 2) Meat Control 3) Add Spices 4) Permissible Ingredients 5) Grinding 6) Mixing Emulsion 7) Stuffing 8) Showing 9) Smoking 10) Cooking 11) Drying 12) Packaging Sausage Product to get information on the effect of smoking onto the quality of meat produces. Sausage was smoked under a given conditions. Smoking was conducted as 35f$^{\circ}C$to 6$0^{\circ}C$ the related humidity of smokehouse was still at 60 to 70 percent.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enetrated smoke in sausage was prolonged < p.<0.02 when sausage was smoked 2hours at 60~$65^{\circ}C$ the penetrated amount of free acetone in sausage was 0.5mg%. 2. Peroxide value of sausage as heating treatment both at 3$0^{\circ}C$ and at 5$0^{\circ}C$ was prolonged. 3. When sausage was heated at 3$0^{\circ}C$, bacteria of sausage increased In number while at 60~$65^{\circ}C$ bacteria of sausage increased In number fourteen hours. 4. When sausage was treated with smoking the distribution of free amino acids in sausage was changed markedly. 5. The longer smoking time of the products was the higher the content. 6. In case of oak wood smoke flavoring all of test samples. 7. Rapid decrease of does-response mutagenic curve of the smoke flavoring of oak wood and apple wood by in the peak of curve and phenol in the smoke flavoring. Continuous efforts are required to make sausages easily in the butcher shops and in the restaurants. 8. Sausage texture evaluation has 13 rules. It is Elasticity, Surface Moisture, Surface Smoothness, Center Hardness, Skin Toughness, Cohesiveness, Denseness, Moisture Release, Cohesiveness of Mass, Lumpiness, Graininess (of Contents), Skin separation, Oiliness and sensory 11 rules evaluation is color, texture, mold, flavor, sweet test, salty, sourness, bitter, and savory taste. 9. Smoked, component, peroxide value, bacteria, color, free amino acid, tenderness, flavor, shrinkage are important values.

  • PDF

무지개송어 사료에 있어 산화크롬의 첨가효과와 축산 가공 부산혼합물의 어분대체 가능성 (Effects of dietary Chromic Oxide and Possible Use of the Animal By-product Mixture as a Dietary Fish meal Replacer)

  • 장혜경;옥임호;배승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70-475
    • /
    • 1999
  • 본 연구는 무지개송어 사료의 어분 대체사료원으로서 육골분(MBM), 우모분(FM), 오징어내장분 (SLP), 가금부산물 (PBP) 및 혈분 (BM)을 특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어분대체품(ABPM)을 제작하여 사료내 어분의 대체가능성을 조사하고 사료내 소화율 측정에 이용하는 지표물질인 $Cr_2O_3$ 첨가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사료의 주단백질원으로는 동물성단백 질원으로 북양어분 (White fish meal, WFM)과 축산가공부 산혼합물 (ABPM)을 식물성으로 대두박과 콘글루텐밀을 사용하였다. 사료 1과 사료 2의 사료는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1993)자료에 근거하여 조단백질 함량은 $46.5\%$, 가용성 에너지는 16.7 KJ/g (protein, carbohydrate and lipid: 16.7, 16.7 and 37.7 KJ/g)으로 동일하게 맞추어 주었다. 실험사료는 사료 1 (WFM 100), 사료2(ABPM 40), 사료3(상업사료(-Cr)), 사료 4(상업사료+$0.5\%$ $Cr_2O_3$(+Cr))로 4가지를 사용하였다. 일주일간의 예비사육 후 평균무게 2.1g$\pm$0.2인 치어를 30마리씩 3반복으로 무작위 배치하여 4주간 사육한후, 성장속도가 비슷한 평균무게 6.8$\pm$0.3g의 어류를 동일한 사료군내에서 선택하여 20마리씩 2 반복 재배치하여 4주간 사육하였다. 8 주간 사료 공급후 사료 2는 다른 모든 사료구에 비해 증체율 (WG, $\%$)과 사료효율 (FE, $\%$)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어체의 혈액분석결과 헤마토크리트t는 전사료구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P>0.05). 전어체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및 조단백질 함량은 모든 사료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P>0.05), 사료 1의 조지방 함량은 다른 사료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어체의 비만도는 사료 2가 다른 사료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혈액, 뼈 및 전어체의 인 함량 및 뼈의 회분 함량은 모든 사료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0.05). 상업사료내 산화크롬을 첨가하거나 혹은 첨가하지 않고 8주간 사육한 결과 산화크롬 $0.5\%$의 8주간 첨가는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을 뿐 아니라 전어체의 일반성분, 혈장 및 뼈 조직 중의 인과 회분 함량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무지개 송어 사료내 어분단백질 대체원으로 본축산가공부산혼합물의 이용은 $40\%$ 수준 이하에서 가능하다고 판단되고 산화크롬은 성장 및 전어체의 일반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므로 사료내 영양소의 소화율 측정에 $0.5\%$ 의 산화크롬 첨가는 별다른 문제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 PDF

대형오징어와 명태혼합 어묵의 가열겔화시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최적 혼합비 (Optimum Rheological Mixed ratio of Jumbo Squid and Alaska Pollock Surimi for Gel Product Process)

  • 이남걸;유승균;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18-72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어묵의 원료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명태연육을 이용하여 수분함량이 어육연제품의 겔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남미산 대형오징어와 명태연육을 이용한 겔강도의 변화형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 수분첨가량에 따른 어묵의 겔강도를 punch test,보수력과 겔강도와의 관계를 비교하며, 색차계를 통한 L값 (명도), a값 (적색도), b값 (황색도), L-3b값 (백색도)을 평가하고 원료에 대한 최적 수분첨가량을 조사하여 현재의 수분첨가방식에서의 개선점 및 활용방안을 제시함으로서 고품질의 탄력 있는 어묵의 가공 및 원료육의 절감효과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혼합연육 원료에 각종 기능성 첨가물의 첨가하여 겔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남미산 대형오징어와 명태연육혼합육을 혼합비에 따른 배합육의 겔강도를 punch test 등을 통하져 물성변화를 검토하고, 보수력과 겔강도와의 관계를 비교하며, SDS-PAGE를 통한 cross-linking의 측정 및 색차계를 통한 L값 (명도), a값 (적색도), b값 (황색도)을 평가함으로써 전체적인 품질을 판단하여 원료의 대체효과에 대하여 그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에 사용된 시료육의 최적 고기갈이시간을 조사하기 위하여 식염농도 $2.5\%$농도에서 오징어육의 경우 20분 고기갈이시에 미량이나마 그 값이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명태육의 경우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50\%$씩 혼합한 혼합육은 고기갈이 시간에 관계없이 jelly강도 값이 거의 균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기갈이 시간을 오징어육 고기갈이 최적시간인 20분으로 설정하였다. 2. 식염농도 $2.5\%$와 고기갈이시간 20분을 기준으로 하여 혼합육의 혼합비에 따른 젤리강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오징어육의 비율을 $20\%$까지 했을 때까지는 일정한 젤리강도의 값을 나타내다가 혼합비를 $30\%$로 늘렸을때 거의 $50\%$정도의 젤리강도 저하를 나타내었다. 3. 오징어육의 혼합비를 증가시킬수록 breaking stress는 그 값이 초기부터 감소함을 보였으며, breaking strain의 경우는 명태육과 오징어의 혼합비를 7:3으로 할 때까지는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4. 혼합어육의 수분거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의 혼합비에서 수분함량을 조사한 결과 오징어의 혼합비를 늘려 갈수록 수분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오징어육의 경우 어육과 단백질간의 가교는 크게 형성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런 단백질간의 가교형성을 유도시킴이 본 연구의 앞으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5. 혼합어육의 혼합비에 따른 수분최적비 ($76\%$)의 실험에서 오징어육의 함량비를 증가시킬수록 breaking stress (g)와 breaking strain (cm)는 급격하게 감소하다가 서서히 완만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증보산림경제"의 장류(醬類) 조리 가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ufacturing of Korean Sauce Described in "Jeungbosallimgyeongje")

  • 김성미;이춘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5-186
    • /
    • 2004
  • The “Jeungbosallimgyeongje” was literature reviewed about the manufacture of Korean sauces. Furthermo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made by time period, other literatures, “Eumsigdimibang(1670s)”, “Sallimgyeongje(1715)”, “Gyuhapchongseo(1815)” and “Choson­mussangyorijebeop(1930)”, were compared. The ingredients mentioned included soy beans, flour, barley, elm trees, red beans and blue beans, etc. In addition, the shapes and sizes of dried soybean paste brick were varied. “Manchojang”, which designated the kind of hot pepper paste, appeared in this book for the first time. During its manufacturing process, it was characteristic to add dried bean paste, sea kelp and fish to produce a novel and higher quality product. From the above mentioned books, we found out that Koreans used only the soybeans and Chinese a mixture of buckwheat, flour and barley in addition to soybeans to make their traditional sauces. According to the“ Gyuhapchongseo” ,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ingredients to add for the manufacture of fish sauce, but the manufacturing methods and the one year period needed for maturing the ingredients were the same.. However, in the “Chosonmussangsinsikyrijebop”, fish sauce and meat sauce were classified separately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were different as well. In conclusion, the ingredients of used for the sauces recorded in “Jeungbosallimgyeongje” were various and at first hot pepper sauce made from “Manchojang” appeared and additionally red peppers were added to five kinds of Korean paste and red pepper powder were added to two kinds of Korean past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uces changed according to time period, for example, only soybean has been used in Korean traditional sauces and other ingredients used as for Chinese ones eventually disappeared.

  • PDF

어장유의 품질과 저장안정성 (Qualify and Stability of Fish Sauce during Storage)

  • 김병삼;박상민;최수일;김장양;한봉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0-26
    • /
    • 1986
  • Very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in the literature on storage of fish sauce. Therefore,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chracteristics during storage and quality of fish sauce were investigated and discussed to present data about the optimum storage condition. The chopped sardine meat was mixed with equal amount of water and $9\%$(w/w) of $75\%$ vital wheat gluten and then hydrolyzed by addition of commercial proteolytic enzymes such as bromelain, papaya protease, ficin and a enzyme mixture (Pacific Chem. Co.) for 4 hours at $52.5^{\circ}C$. The reaction mixture was heated for 30 min at $100^{\circ}C$ for enzyme inactivation, pasteurization and color development and then centrifuged for 20 min at 4,000 rpm. Table salt and benzoic acid were added for bacteriostatic effect and stored for 80 days at $15{\pm}1^{\circ}C$ and $30{\pm}1^{\circ}C$.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mount of amino-nitrogen and pH of fish sauce were almost unchanged during storage. 2. Mininum concentration of salt for bacteriostatic activity was $9\%$(w/w) regardless of addition of benzoic acid. 3. the yields of amino-nitrogen were $63.1\%$ for the hydrolysate prepared without enzyme, $79.7\%$ for that with bromelain, $69.9\%$ with ficin, $74.3\%$ with papaya pretense, and $78.1\%$ with enzyme mixture, respectively. 4. The contents of amino-nitrogen were $4510.0mg\%$ on the dry basis for the product prepared by autolysis, $5483.2mg\%$ for that prepared with bromelain, $5305.7mg\%$ with ficin, $4994.1mg\%$ with papaya protease and $5582.3mg\%$ with the enzyme mixture, respectively. 5.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were $51.35\%$ on the dry basis for the product prepared by autolysis and 55 to $59\%$ for prepared with commercial enzymes. 6. The hydrolysate prepared with the enzyme mixture revealed a little stronger meaty taste than any other products. 7. The level of crude protein in residues was still high ($69.5{\sim}77.2\%$ on the dry basis) and might be originated from the added vital wheat glut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