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feed

검색결과 775건 처리시간 0.026초

수온, 자어밀도 및 먹이공급량에 따른 붉은쏨뱅이, Sebastiscus tertius 자어의 성장과 생존율 (Water Temperature, Rearing Density and Feeding Rate on Growth and Survival Rate of Red Marbled Rockfish, Sebastiscus tertius Larvae)

  • 허성범;임상구;김철원;김광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3-220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tocking density and rotifer density on the mass production of larval red marbled rockfish, Sebastiscus tertius. Total length of the marbled rockfish larva grown in $23^{\circ}C$ of water temperature were 10.80mm, which was the best, while those grown in $29^{\circ}C$ of water temperature were 6.28mm, which was the lowest. The survival rates of red marbled rockfish larvae grown in $20^{\circ}C$ and $23^{\circ}C$ were 24.0% and 18.5%, respectively. However, the survival rate of red marbled rockfish larvae grown in $26^{\circ}C$ was $7^{\circ}C$ and no larvae survived in $29^{\circ}C$. The total length of red marvled rockfish larva stocked at the density of 5 and 10 larvaper liter of water were high, which were 11.52 mm and 11.22 mm, respectively, but those stocked at the density of 30 larva per liter of water were 7.55mm, which was the lowest. The survival rate of red marbled rockfish larva stocked at the density of 2.5 larva per liter of water was 52.0%, which was the best, but the lowest, 18.0% for the red marbled rockfish larva stocked at the density of 30 larva per liter. There was a trend toward decrease in survival rate of red marbled rockfish larva as their stocking density increased. The survival rates of red marbled rockfish larva fed rotifers at the density of 10 and 5 individuals per ml were high, 48.5% and 48.0%, and their total lengths were 11.92 and 11.89mm, respectively, which grew relatively fast. The survival rate and the total length of red marbled rockfish larva fed rotifers at the density of 30 individuals per ml were the lowest, which were 8.40mm and 21.5%, respectively. Also, red marbled rockfish larva fed rotifers at the density of more than 20 individuals per ml achieved poor survival and growth.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er conditions for the mass production of larval red marbled rockfish were $23^{\circ}C$ of water temperature, fish larva stocking density of 5 to 10 larva per liter of water and rotifers density of 5 to 10 individuals per ml as live feed.

  • PDF

광합성 섬모류 Mesodinium rubrum MR-MAL01의 응용성(1) 이매패류 종묘생산을 위한 먹이생물 유용성 (Applicability of a Photosynthetic Ciliate, Mesodinium rubrum MR-MAL01 -Usefulness as a Live Prey Species for the Marine Aquaculture of Bivalves-)

  • 김형섭;명금옥;조수근;이원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5-121
    • /
    • 2004
  • 최근, 곰소만에서 채집한 시료로부터 최초의 온대역산 광합성 섬모류 Mesodinium rubrum MR-MAL01 배양체를 분리ㆍ배양하였다. 이 섬모류를 이용하여 이매패류의 섭식실험을 수행한 결과, 비단가리비와 바지락과 같은 이매패류가 섬모류를 직접 섭식 하였음을 확인하였는데, 개체 당 최대 섭식률은 비단가리비 9,590 cells $min^{-1}$, 바지락 23,200 cells $min^{-1}$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단가리비의 소화관에서 완전한 M. rubrum세포를 확인하지 못했으나, 파괴된 세포로 생각되는 작은 입자들을 관찰하였다. 바지락 치패에 섬모류인 M. rubrum과 미소조류인 Isochrysis galbana (KMCC H-2)를 공급하면서 28일 동안 사육한 결과, 작은 치패 그룹(각장 0.46 mm)에서는 I. galbana를 공급한 실험구가 좋은 성장을 보였던 반면, 큰 치패 그룹(각장 0.84 mm)에서는 M. rubrum을 공급한 실험구가 I. galbana를 공급한 실험구에 비해 성장이 좋았다. 따라서 이 광합성 섬모류는 이매패류의 치패 및 모패와 입이 작은 자어의 먹이생물, rotifer의 영양강화제 및 어류의 천연 착색제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어 해양 생물공학적 활용을 위한 생물재료로서 개발 가능성을 제안한다.

윤충의 연속반복 수확을 위한 적정윤충접종밀도와 적정 Chlorella 농도에 대하여 (Optimal Density of Initial Inoculation of Rotifer and, Optimal Density of Chlorella for Sustainable Dai]y Harvest of Rotifer)

  • 문영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6-93
    • /
    • 1981
  • 어류 및 갑각류의 유생기 먹이로서 필요한 윤충을 배양함에 있어 일정기간동안 매일 매일 필요 일정양의 윤충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양을 매일 매일 일정기간동안 공급할 수 있도록 윤충을 배양할 수 있는가하는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3가지의 윤충 접종밀도로 먹이 생물인Chlorella의 농도가 다른 5종의 보험구에서 각각 10일간씩 배양하여 그 결과를 조사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일간 증가속도가 가장 좋았던 윤충 접종밀도와 Chlorella농도에서 실험 배양하여 일간증가속도가 가장 높았을 때부터 매밀 1회 6일간 계속수확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윤충 Brachionus plicatilis의 접종밀도 10 inds./ml를 먹이 생물인 Chlorella sp. $3\times10^6\;cells/ml$에서 배양했을 때에 배양후 제7일에 일간증가량이 73.0 inds./ml/day로서 최대였다. 2. 상기 결과에 따른 1일 1회 연속수확실험 결과는 일간증가속도가 최대인 접종배양후 제7일부터 제12일까지 6일간 21 배양용기 10개에서 총 $8.52\times10^6\;inds.$를 하였으며 1일 평균 수확양은 21배양용기 1개당 $1.42\times10^5\;inds.$이었다. 3. 이러한 I일 1회 연속수확의 결과는 $2\sim3$개의 배양단위로 어류나 갑각류의 유생사육을 위한 먹이로서 윤충을 효과적으로 일정기간동안 공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4. 본 실험결과는 소형배양용기를 사용한 것으로 이 결과를 실제에 적용시키기 위하여는 보다 큰 배양용기륜 사용하여 실험해 볼 필요가 있다.

  • PDF

참돔 Pagrus major, 자어(仔魚)의 기아시(飢餓時) 형태(形態) 변화(變化) (Morphological changes during starvation of larvae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 명정구;김종만;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38-148
    • /
    • 1990
  • 1988년(年) 7월(月) 경남(慶南) 통영군(統營郡) 산양면(山陽面) 달아마을의 성지실업(주)(成志實業)(株) 배양장(培養場)의 실내수조(室內水槽)에서 자연(自然) 산란(産卵)된 참돔 수정란(受精卵)을 부화(孵化) 사육(飼育)시키면서 기아시(飢餓時) 참돔자어(仔魚)의 형태변화(形態變化)를 조사하였다. 1. 참돔 부화자어(孵化仔魚)는 부화(孵化) 2일후(日後)부터 먹이(rotifer)를 먹기 시작하였으며, 먹이를 투여하지 않았던 실험구(實驗區)에서는 부화(孵化) 5일후(日後) 100%사망(死亡)하였다. 부화(孵化) 3일후(日後)와, 4일후(日後) 먹이를 투여하기 시작하였던 실기구(實騎區)는 부화(孵化) 6일후(日後) 100%사망(死亡)하였다. 2. 참돔자어(仔魚)는 기아시(飢餓時) 전장(全長), 체장(體長), 근절(筋節) 높이와 장(腸) 높이의 부위가 감소 성장하였으며 이중 장(腸) 높이가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3. 정상(正常), 기아개체(飢餓個體) 사이의 어체(魚體) 각 부위의 비율(比率) 중 장(腸)높이(GH)/근절(筋節)높이(MH)가 가장 큰 변화(變化) 폭을 나타내어 부화(孵化) 3일후(日後)의 정상개체(正常個體)는 0.597, 기아개체(飢餓個體)는 0.636, 부화(孵化) 5일후(日後)의 정상개체(正常個體)는 0.010, 기아개체(飢餓個體)는 0.306이었다. 4. 부화(孵化) 6일후(日後)의 기아상태(飢餓狀態)의 자어(仔魚)는 턱이 뾰족해지며, 쇄골(鎖骨)의 아래 기부(基部)와 후두부(後頭部)(상쇄골(上鎖骨) 위쪽 기부(基部))가 튀어나오고, 장(腸)이 가늘게 나타났다.

  • PDF

볼락, Sebastes inermis 자.치어의 성장에 따른 소화효소 활성 변화 (Developmental Changes in Digestive Enzymes Activity of Black Rockfish Sebastes inermis)

  • 곽우석;박대원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5-132
    • /
    • 2006
  • 본 실험은 볼락 종묘를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데 필 수적인 자치어기의 성장과 소화효소인 trypsin, pepsin-like enzyme, amylase 그리고 lipase의 activity를 측정하여 소화생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산출 직후 자어의 체장은 $5.01{\pm}0.22 mm$이었던 것이 산출 후 100일에는 $36.01{\pm}1.22 mm$ 까지 성장하였고, 습중량은 산출 후 70일 전후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trysin 활성은 산출후 2일째 처음으로 확인되어 $7.00{\pm}1.48$ unit을 나타내고 산출후 66일 $1425{\pm}230$ unit으로 peak를 나타내었다. pepsin-like enzyme 활성은 산출 후 11일째 처음으로 확인되었고 산출후 66일째 $902{\pm}160$ unit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Lipase 활성은 산출후 2일째 $4.5{\pm}1.4$ unit으로 확인되었고 산출후 47일계에는 $38.3{\pm}0.4$unit로 peak를 나타내었다. Amylase 활성은 산출후 11일째 $0.18{\pm}0.11$ unit으로 처음 확인되었고 산출후 50일째 $23.48{\pm}5.11$ unit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specific activity는 trypsin이 산출후 14일째, pepsin-like enzyme이 61일째 peak를 나타냈다. 볼락의 체중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시기에 맞춰서 각 효소와 전활성이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것은 이시기가 위선이 기능적으로 역할을 하는 시기와 일치하므로 단백질 소화능력의 비약적인 증가가 체중 증가에 크게 관여하였음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 확인 된 체중이 급격히 증가하는 시기는 볼락 양식에 있어서 사료 전환기 즉, 생물사료에서 배합사료로 전환하기에 적당하다고 할 수 있겠다.

배합사료내 대두박 및 발효대두박 첨가가 까막전복(Haliotis discus) 치패의 성장과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Inclusion of Soybean Meal and Fermented Soybean Meal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Reeve 1846))

  • 김희성;정해승;최동규;장복일;김현종;이기욱;조성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812-817
    • /
    • 2017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dietary inclusion of soybean (SM) and fermented soybean meal (FSM) on growth promotion in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Six hundred and thirty juvenile abalone were distributed into nine plastic containers. Three diets were prepared with 22% fish meal, 2% casein, and either 25% SM or FSM used as the protein sources in the experimental diets, and Undaria was used as a control diet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al diets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abalone. The diets were assigned to three containers each and fed to the abalone once daily to satiation for 16 weeks.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were higher in abalone fed the SM diet than in those fed the FSM diet. Weight gain and SGR of abalone fed the SM and FSM diets were higher than those of abalone fed Undaria. The crude protein and lipid contents of the edible portions of abalone fed the SM and FSM diets were higher than those of abalone fed Undaria. SM was superior to FSM as a protein source in abalone feed. The SM and FSM diets facilitated greater growth than Undaria.

Ensiling of Sweet Potato Leaves (Ipomoea batatas (L.) Lam) and the Nutritive Value of Sweet Potato Leaf Silage for Growing Pigs

  • An, Le Van;Lindberg, Jan Eri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497-503
    • /
    • 2004
  • The effect of adding carbohydrate-rich feedstuffs to sweet potato leaves (SPL) on silage quality was studied using a total of 180 laboratory silos. Silage quality was assessed by changes of pH,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and ammonia nitrogen ($NH_{3}$-N). Pre-wilted SPL was mixed with cassava root meal (CRM), sweet potato root meal (SPM) or sugar cane molasses (Mo) at levels of 0, 30, 60 and 90 g $kg^{-1}$ (air-dry weight of additives to pre-wilted weight of SPL). Samples for assessing silage quality were collected after mixing the SPL with the additive and thereafter at 7, 14, 28 and 56 days of ensiling. There was a marked decrease in pH after 7 days and the pH remained low and stable until day 56. Addition of 60 and 90 g $kg^{-1}$ resulted in a lower pH (p<0.05) than the other treatments. The DM content of the silage increased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additive,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M with time of ensiling. The CP content of the silage decreased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additive. The CP content did not change up to 28 days, but was lower (p<0.05) after 56 days in all treatments. The $NH_{3}$-N levels were increasing (p<0.05) with time of ensiling, and were lower (p<0.05) with additive levels of 60 g $kg^{-1}$ or higher. Also, the additive source affected the $NH_{3}$-N values, with the lowest values found for Mo. Castrated male pigs (Large White$\times$Mongcai) were used in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o study the total tract digestibility and nitrogen (N) utilisation of diets with inclusion of ensiled SPL. The diets were based on cassava root meal with inclusion of protein from either fish meal (C) or SPL ensiled with CRM (D1), SPL ensiled with SPM (D2) and SPL ensiled with Mo (D3). The digestibility of DM, organic matter (OM) and CP were higher (p<0.05), and the digestibility of crude fibre (CF) was lower (p<0.05), in diet C than in diets D1, D2 and D3.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in digestibility of dietary components between diets D1, D2 and D3. Also, the excretion of N in faeces was higher (p<0.05) and the N retention was lower (p<0.05) in diets D1, D2 and D3 than in diet C. It can be concluded from the present experiments, that a good quality silage can be produced from pre-wilted SPL by addition of 60 g $kg^{-1}$ of either CRM, SPM or Mo. Diets with inclusion of 450 g ensiled SPL $kg^{-1}$ DM showed a high digestibility of dietary components and thus ensiled SPL should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feed resource for growing pigs.

황토와 화학물질 살포에 의한 적조생물Cochlodinium polykrikoides 제어에 따른 미소생물그룹의 단주기변화 (Short -term changes of microbial communities after control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y yellow clay and chemical compound dosing in microcosm experiments)

  • 백승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971-2977
    • /
    • 2015
  • 본 연구는 마이크로코즘에서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을 살조하기 위해 사용된 화학물질과 황토의 처리 후 미소생물그룹의 단주기 변화를 파악하였다. 황토 4g 과 10g에서 적조생물의 살조효과는 20%이하로 낮게 관찰된 반면, 화학물질(TD49)의 $0.8{\mu}M$ 에서는 대상생물이 85%이상 제어되었다. 미소생물그룹에서 박테리아는 모든 실험군에서 조사 1일 후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2일 후 가장 높게 관찰된 후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대조적으로 종속영양편모충은 조사 3-5일 경과 후 현저하게 높게 증가하였다. TD49처리군에서 박테리아가 2일후 점차적으로 감소한 것은 포식자인 HNF의 증가로 기인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피각을 형성하지 않는 섬모충 Uronema sp.,의 증가는 박테리아의 증가 후 2-3일의 시간차를 두고 반응하는 특색을 관찰하였다. 즉 이는 적조생물이 살조된 후 분해되는 과정에서 박테리아의 현저한 증식을 일으켰고, 이와 함께 포식자 HNF와 Uronema sp.는 일정의 시간차를 두고 높은 개체수를 유지 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살조물질 TD49처리군에서 두드려졌다. 특히. 사이즈가 큰 무각섬모충 Euplotes sp. 개체수는 HNF와 Uronema sp.의 현저한 증가 후 높게 관찰되는 특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살조제 TD49물질은 미소생물그룹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고, 이는 박테리아, HNFs 섬모충으로 이어지는 먹이망의 에너지 흐름이 효율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었다.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Diet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the Freshwater Rotifer Brachionus angularis

  • Kim, Byeong-Ho;Kim, Hyung-Seop;Jo, Soo-G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9권4호
    • /
    • pp.160-166
    • /
    • 2006
  • We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using the freshwater rotifer Brachionus angularis as a live food for small fishes cultured in fresh- or brackish waters. Brachionus angularis were collected from a reservoir for isolation and laboratory culture. Length and width of the lorica were $102.3{\mu}m$ and $76.6{\mu}m$, respectively, and those of amictic eggs were $64.4{\mu}m\;and\;47.9{\mu}m$, respectively. When their growth rates were examined at six different temperatures, i.e., 15, 20, 25, 30, 35, and $40^{\circ}C$, the highest daily growth rate of 0.801 was observed at $35^{\circ}C$, and growth was lower with decreasing temperature. Adaptation to salinity change was evaluated with two different modes of salinity increase: step-wise elevation lasting for short durations of 5 to 30 min or a long duration of 24 h. With the short duration modes, no individuals survived salinity higher than 10 psu, and the number of live individuals did not increase throughout the experiment. However, in the 24-h elevation, the number of individuals increased when salinity was elevated by 1 to 2 psu per day for the first 2 or 3 days, while no increase in number occurred at salinity increments higher than 3 psu per day. In addition, to assess the effect of different diets, four single-component diets (Chlorella vulgaris, Nannochloris sp., baker's yeast, or dry yeast) and three combination diets (C. vulgaris + Nannochloris sp. + baker's yeast + dry yeast; C. vulgaris 70% + baker's yeast 30%; C. vulgaris 30% + baker's yeast 70%) were used. The specific growth rates of B. angularis fed combination diets were higher than those of rotifers fed any single-component diet, with the highest rate of 0.648 in B. angularis fed a mixture of C. vulgaris, Nannochloris sp., baker's yeast, and dry yeast, and the lowest rate of 0.200 in those fed dry yeast on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freshwater rotifer B. angularis can be used for seedling production of both freshwater and brackish-water fishes that require small (less than about $120{\mu}m$) live food during their early stages.

참치가공 부산물의 부위별 성분 분석 (Analysis of Chemical Compounds on Tuna Processing By-products)

  • 강치희;정혜영;이대희;박재갑;하정욱;이승철;황용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81-986
    • /
    • 2000
  • 수산물 제조를 위한 가공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 양은 전체 원료의 30~35%정도를 차지하나 일부만이 식품원료로 재 이용되고 대부분이 사료로 이용되거나 폐기물로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부산물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기능성 향상 및 제품화를 위 한 기초적인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먼저, 참치 가공 부산물을 어피살, 어피, 꼬리, 혈합육, 복육으로 분류하여 일반성분을 조사한 결과에서 조단백질은 26.31%로 어피에서 비교적 많았으며 나머지 부위에서는 21% 내외였다. 조지방도 어피에서 15.58%로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나 혈합육에서는 0.75%로 낮게 함유되어 있었다. 특수성분 중 vitamin C의 경우에 복육(175.56 mg/ kg)에서, vitamin B$_1$, B$_2$의 경우는 혈합육(4.26 mg/ kg, 3.09 mg/kg)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불포화 지방산은 어피살과 꼬리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특히, 고도 불포화지방산인 DHA(C22 : 6 $\omega$ -3)와 EPA(C22 : 6 $\omega$ -3)는 어피살과 어피에 많았다. 이들 유용 성분에 대하여 참치의 일반적인 가공처리 공정인 자숙 후 지방산 함량 변화는 어피살과 혈합육의 15-methylhexadecanoic acid(i-17 : 0)가 증가되었으며 어피에서는 3-hydroxytetra-decanoic acid (3-OH 14 : 0), heptadecanoic acid(17 : 0), 2-hydroxyhexadecanoic acid (2-OH 16 : 0), nonadeca-noic acid(19 : 0) 등이 새로이 검출되었고 혈합육은 DHA와 EPA가 변화가 적었고 어피에서는 DHA의 변화가 적었으나 EPA가 검출되지 않았고, 꼬리에서는 DHA와 EPA가 검출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