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collected

검색결과 1,436건 처리시간 0.029초

동해 감포 연안에서 통발에 어획된 어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Pot Nets in Coastal Waters around Gampo in the East Sea of Korea)

  • 강필준;김종관;황선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3-237
    • /
    • 2015
  • 동해 감포 연안에서 2005년 6월, 9월 및 12월, 그리고 2006년 3월에 통발에 어획된 어류 종조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4목 10과 19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가장 많이 채집된 종은 붕장어 (Conger myriaster)로서 채집 개체수의 38.9%, 생체량의 52.2%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복섬 (Takifugu niphobles),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i), 점망둑 (Chaenogobius annularis),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등이 비교적 많았다. 이 5종은 전체 개체수의 44.1%, 전체 생체량의 37.3%를 차지하였다. 종수는 2006년 3월에 가장 많았고 2005년 12월에 가장 적었다. 개체수와 생체량은 2005년 9월에 가장 많았고 2005년 12월에 가장 적었다.

진해 잠도 주변 암반해역의 어류상 (Fish Assemblage in a Rocky Subtidal Habitat around Jam-do, Jinhae)

  • 곽석남;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73-278
    • /
    • 2016
  • 본 연구는 진해 잠도주변 조하대 암반서식지에서 통발에 의해 채집된 어류 군집의 종조성과 계절을 조사하였다. 어류 시료는 2007년 9월에서 2008년 7월까지 통발로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24과에 속하는 48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흰꼬리볼락(Sebastes longispinis), 가시망둑(Pseudoblennius cottoides), 볼락(Sebastes inermis),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 망상어(Ditrema temminckii), 세줄베도라치(Ernogrammus hexagrammus)였으며, 이들 6종은 총 채집 개체수의 71.0%를 차지하였다. 어류 군집의 현존량과 다양도는 계절변동을 나타냈는데, 출현종수, 개체수, 다양도는 가을철에 가장 높았고, 생체량은 봄에 높았다. 우점종의 현존량은 계절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흰꼬리볼락은 봄과 여름에 현존량이 높았고, 가시망둑은 가을과 봄에 높았다. 볼락은 9월, 12월, 5월에 높은 현존량을 보였고, 그물코쥐치는 대부분 개체가 가을에만 출현하였다.

An Implementation of DAQ and Monitoring System for a Smart Fish Farm Using Circulation Filtration System

  • Jeon, Joo Hyeon;Lee, Na Eun;Lee, Yoon Ho;Jang, Jea Moon;Joo, Moon Gab;Yoo, Byung Hwa;Yu, Jae D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7권6호
    • /
    • pp.1179-1190
    • /
    • 2021
  • A data acquisition and monitoring system was developed for an automated system of a smart fish farm. The fish farm is located in Jang Hang, South Korea, and was designed as circulation filtration system. Information of every aquaculture pool was automatically measured by pH sensors, dissolved oxygen sensors, and water temperature sensors and the data were stored in the database in a remoted server. Modbus protocol was used for gathering the data which were further used to optimize the pool water quality to predict the rate of growth and death of fish, and to deliver food automatically as planned by the fish farmer. By using JSON protocol, the collected data was delivered to the user's PC and mobile phone for analysis and easy monitoring. The developed monitoring system allowed the fish farmers to improve fish productivity and maximize profits.

고리 주변해역 삼각망에서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ssemblages Collected by a Three-side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 백근욱;허성회;박세창;김지형;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6-194
    • /
    • 2010
  • 2006년 1월에서 12월까지 매월 삼각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35과에 속하는 59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대부분 부 어류로 전갱이 (Trachurus japonicus), 숭어 (Mugil cephalus), 전어 (Konosirus punctatus), 열동가리돔 (Apogon lineatus), 성대 (Chelidonichthys spinosus), 망상어 (Ditrema temmincki),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그리고 줄도화돔 (Apogon semilineatus)이었는데, 이들 8종은 전체 채집 개체수의 92.7%를 차지하였다. 본 조사해역의 채집된 어류는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는데 개체수는 12월, 생체량은 3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개체수와 생체량이 모두 낮은 값을 보였다. 종다양도지수는 12월에 다른 계절에 비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낙동강 하구해역에서 저인망에 의해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Nakdong River Estuary)

  • 허성회;정석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5권2호
    • /
    • pp.178-195
    • /
    • 1999
  • 낙동강 하구 주변 해역에서 1987년 2월부터 1988년 1월까지 1년 동안 매월 소형 기선저인망(otter trawl)을 이용하여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100개 어종에 속하는 23,008마리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가장 많이 채집된 어종은 실양태(Repomucenus valenciennei), 흰베도라치(Pholis fangi),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전갱이(Trachurus japonicus), 밴댕이 (Sardinella zunasi)였는데, 이들 5어종은 총 개체수의 63.0%와 생체량의 47.8%를 차지하였다. 계절별 우점종을 보면, 봄에는 흰베도라치와 실양태, 여름에는 실양태와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가을에는 열동가리돔(Apogon lineatus)과 청멸(Thryssa kammalensis), 그리고 겨울에는 설양태, 주둥치, 밴댕이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어종수, 채집 개체수 및 종다양도지수는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다. 또한 어종 수 및 채집 개체수는 정점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낙동강 하구쪽으로 갈수록 어종수 및 채집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수온은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염분은 어류의 공간 분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어자원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글로벌 낚시 앱 개발 (Development of Global Fishing Application to Build Big Data on Fish Resources)

  • 피수영;이정아;양재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333-341
    • /
    • 2022
  • 낚시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반면에 낚시 관련 연구와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며 전 세계적인 어자원 분포에 대한 데이터 확보에 한계가 있다. 기존의 어자원 분포 연구 자료의 조사방법은 조사지역에 방문하여 투망 등을 이용하여 어자원 정보를 수집하므로 국토의 소류지, 강, 바다 등 전역에 걸친 데이터 수집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물고기의 길이를 계측하는 방법은 줄자를 사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피싱태그 스마트 줄자를 개발하였다. 피싱태그 스마트 줄자와 함께 사진을 기록하면 물고기의 길이, 물고기를 잡았던 환경데이터가 자동으로 데이터 수집이 되며, 줄자를 따로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피싱태그를 이용한 글로벌 낚시 앱 개발을 통해 첫째, 전 세계의 넓은 영역의 어자원 표본 수집이 실시간, 지속적으로 가능하다. 둘째, 어자원 데이터 수집에 대한 막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생태교란 외래어종의 분포 및 확장을 감시할 수 있다. 셋째, 전 세계적인 어자원 정보를 구글 맵을 통해 시각화하여 나타냄으로써 사용자는 위치에 따른 어자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실시간으로 수집된 어자원 관련 데이터를 제공함으로 인해 다양한 연구와 정책수립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Carbonyl Emissions during Food Decay from Kimchi, Fish, and Salted Fish

  • Kabir, Ehsanul;Kim, Ki-Hyu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2권2호
    • /
    • pp.109-115
    • /
    • 2008
  • In this study, the emissions of carbonyl compounds as offensive odorants were measured using three food types (Kimchi, fresh fish, and salted fish) as a function of time. Odor samples for each food type, collected at 0, 1, 3, 7, and 14 days,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Only three kinds of carbonyl compounds were quantified above their respective detection limits: formaldehyde, acetaldehyde, and acetone. The emission patterns of these compounds were 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Formaldehyde tends to peak at the beginning and decrease through time with unique patterns. Conversely, acetaldehyde and acetone seem to increase gradually through time. The results showed that relative patterns of carbonyl emissions were more distinguishable by compound type rather than food type.

낙동강 하구역 부유성 자치어 종조성의 시·공간 변동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Larval Fish Assemblag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최희찬;박주면;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4-115
    • /
    • 2015
  • 2010년 9월부터 2011년 8월까지 매월 소조기에 낙동강 하구역의 안쪽과 바깥쪽 두 개 정점에서 자치어를 채집하여 종조성의 시공간 분포를 밝혔다.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자치어는 총 7목 26과에 속하는 43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망둑어과 자치어가 전체 개체수의 63.1%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였다. 그중 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가 개체수비 55.5%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그 다음으로 청어 (13.2%), 멸치 (13.0%), 그리고 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 (4.6%), 전어 (3.8%), 동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 (3.1%), 정어리 (1.2%), 웅어 (0.7%) 순으로 채집되었고, 이들 8개 분류군이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95.0%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출현한 자치어 군집은 총 5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시기적으로 봄, 여름 및 가을, 그리고 겨울 그룹으로 분리되었다. 특히 여름 및 가을에 자치어 군집의 공간적 분리가 나타났다. 하구역의 안쪽 정점에서는 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가 우점하였으며, 바깥 정점에서는 망둑어류 외에 멸치가 우점하였고, 기타 다양한 해수어종의 자치어가 출현하였다.

팔당호의 어류상과 군집동태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Lake Paldang and its Inflows)

  • 변명섭;박혜경;이완옥;공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6-213
    • /
    • 2008
  •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at 2003, 2004 and 2006 in Lake Paldang and its inflows. In this survey, we collected 54 species belong to 14 families. Family Cyprinidae take 51.9% (28 species), Cobitidae and Gobiidae occupied 7.4% (each 4 species), respectively. E. erythropterus (11.8%) was dominant species and L. macrochirus (10.2%), designated as an ecosystem-invasive alien fish species by Ministry of Environment, M. yaluensis (9.1%), Z. platypus (7.7%) and R. brunneus (6.7%) were dominated in turn. H. molitrix, C. lutheri, P. altivelis, S. microdorsalis, L. costata. S. gracilis majimae, A. rivularis, P. koreanus. S. scherzeri and O. platycephala were rare species (less than 0.1% in relative abundance). In-lake area, 36 species of fishes belonging to 11 families were collected, and 48 species of 13 families were from inflows. The number of Korean endemic species were 19 species (35.2%), and 4 kinds of exotic species (7.4%), that is, C. cuvieri, H. molitrix, L. macrochirus and M. salmoides were found at this survey area. It was revealed by the analysis of fish community that diversity and richness indices were prominent at tributaries, and dominance index was high at the main body of Lake Paldang. Fish fauna showed rapid decline after dam construction which make the mid-Han river systems to lentic ecosystem, so many of meander-riffle fishes were disappeared dramatically. But after 1990s when installation of small scale wastewater treatment plants started in watershed, the water quality of small tributaries was improved. And also, expansion of the natural macrophytic vegetation of littoral zone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iverse fish fauna in Lake Paldang.

경상북도 후포와 강원도 장호에서 정치망으로 채집된 어류 종조성 비교 (Comparison of Fish Species Composition Collected by Set Net at Hupo in Gyeong-Sang-Buk-Do, and Jangho in Gang-Won-Do, Korea)

  • 강정하;김이경;박중연;김진구;유정화;강충배;박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24-430
    • /
    • 2014
  • Two major temperature fronts, the Subpolar (Gosung, Gang-won-do; $38^{\circ}-41^{\circ}N$) and Thermal (Jukbyun, Gyeong-sang-buk-do; $36^{\circ}-37^{\circ}N$) fronts, are found in the East Sea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These are located roughly where the Tsushima Warm Current and North Korea Cold Current intersect.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Thermal Front, we investigated seasonal variation in fish species composition using set nets in two areas located north (Jangho, Gang-won-do) and south (Hupo, Gyeong-sang-buk-do) of Jukbyun, Gyeong-sang-buk-do, and compared the sea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 collected a total of 38 fish species in Hupo and 25 in Jangho. Trachurus japonicus was the most common species at both sites, but the subdominant species differed. At Hupo, the subdominant species were Konosirus punctatus and Diodon holocanthus, whereas Clupea pallasii and Scomber japonicus were subdominant at Jangho. Based on Froese and Pauly (2014), subtropical fishes accounted for 55% of fish in Hupo but only for 33% in Jangho. The difference in fish species composition was most obvious in May and August. According to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slightly higher at Hupo than at Jangho.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oceanographic boundary resulting from the Thermal Front near Jukbyun, Gyeong-sang-bukdo may have a major effect on the distribution of migratory fish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