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eel)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초

Low-value Fish used as Feed is a Source of Disease in Farmed Fish

  • Kim, Do-Hyu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203-209
    • /
    • 2015
  • Low-value fish is the most commonly used feed in Asian fish farms despite the fact that its application is controversial in regard to the sustainability and biosecurity of aquaculture. In this study, the causal agent of a disease outbreak at a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farm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low-value fish used at the farm was the source. Infected Korean rockfish and Pacific sand eel used as feed were sampled from the farm, and bacterial cultures recovered from the internal organs of all sampled rockfish were isolated as pure cultures and later identified as Vibrio harveyi. The causal agent of the disease was also isolated from the kidneys of some of the sampled Pacific sand eels. This study provides additional evidence that the low-value fish used as feed at fish farms can be a key source of infectious diseases.

한국 남해 연안에 분포하는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섭이생태 (Feeding Ecology of the White-spotted Conger Eel(Conger myriaster)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최정화;최승희;김종빈;박정호;오철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82-288
    • /
    • 2008
  • Feeding ecology of the white-spotted conger eel Conger myriaster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was examined. Specimens were caught monthly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6. Primary prey items of C. myriaster included fish, shrimp, and crabs. C. myriaster exhibited a nocturnal feeding strategy and preyed upon a wide range of pelagic fish groups(e.g., Engraulis japonicus, Glossanodon semifasciatus, and Maurolicus muelleri). This species was also an opportunistic feeder that exploited the available prey in each area(i.e., fish in the A area and shrimp in the B area). The composition of the diet of C. myriaster exhibited seasonal fluctuations that were related to food availability during each season. The observed ontogenetic shifts in diet were relatively clear, despite substantial overlap between the 10 cm and 20 cm groups of C. myriaster.

Genotoxic and Neurotoxic Potential in Marine Fishes Exposed to Sewage Effluent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 Park, So-Yun;Kim, So-Jung;Rhee, Yong;Yum, Seung-Shic;Kwon, Tae-Dong;Lee, Taek-Kyun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5권3호
    • /
    • pp.265-271
    • /
    • 2009
  • Concentrations of industrial, agricultural and natural chemicals have been increasing in secondary effluents without their combined sub-lethal effects having been elucidated. In this study, two assays (the comet and acetylcholinesterase assays) were combined to evaluate the genotoxic and neurotoxic effects of effluent from the Noksan 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 on two local marine fish species (flounder and sea eel). The fish were exposed to WWTP secondary effluent that had been diluted with filtered seawater to final concentrations of 1%, 10% and 50%. Analysis of fish samples collected 3 and 5 days after exposure showed that DNA damage occurred in flounder exposed to 50% effluent and in sea eels exposed to 10% or 50% effluent.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acetylcholinesterase (EC:3.1.1.7, AChE) activity decreased in both species when exposed to 10% effluent, indicating the presence of large amounts of genotoxic and neurotoxic chemicals in the effluent.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et and AChE assays are promising tools for biomonitoring of secondary effluents.

한국산 담수어에 기생하는 단생흡충류에 관한 연구 1. 뱀장어 및 메기의 단생흡충 (Studies on Monogenean Trematodes Classification from Cultured Freshwater Fishes in Korea 1. Monogenean Trematodes from Anguilla japonica and Parasilurus asotus)

  • 한정조;박성우;김영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5-86
    • /
    • 2000
  • 1998년 3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전라남 북도 및 충청남도 일원의 내수면 양식장에서 사육중인 뱀장어(Anguilla japonica)와 메기(Parasilurus asotus)를 무작위로 채집하여 아가미에서 국내 미기록종인 4종의 단생흡충류를 검출하였다. 검출된 단생흡충류는 모두 아가미 흡충으로서 뱀장어에서는 Pseudodactylogyrus bini(KIKUCHI, 1929), P. anguillae(YIN & SPROSTON, 1948), 메기에서 Ancylodiscoides infundibulovagina(YAMAGUTI,1941) 및 Ancylodiscoides sp.가 검출되었다.

  • PDF

자연산 뱀장어의 인위적인 성숙 유도에 따른 혈중 성호르몬 변동 (Plasma Sex Steroid Hormone Profiles in Artificially Maturing Wild Eel, Anguilla japonica)

  • 김대중;김응오;박민우;조용철;임상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67-274
    • /
    • 2006
  • 자연산(silver 및 yellow) 뱀장어의 인위적인 성성숙 과정중에 체중 및 혈중 성호르몬 농도를 조사하기 위해 연어 뇌하수체 추출물(SPE; 20 mg pituitary powder/fish)를 Freund's incomplete adjuvant로 water-in oil (W/O) 형태로 유화시켜 매주 복강에 주사하였다. Eel's Ringer액만으로 유화시켜 주사한 대조구(silver 및 yellow) 뱀장어의 경우, 체중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혈중 성호르몬(testosterone; T, $estradiol-17{\beta};\;E_2$$17{\alpha},20{\beta}-dihydroxyprogesterone$; DHP)의 농도도 실험기간 동안 거의 변화없이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었지만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한편, 매주 SPE로 주사한 silver 뱀장어는 투여 6주후부터 급격한 체중변화가 일어났으며, 대부분 개체의 난모세포는 핵이동기로 구성되어져 있었다. 또한 혈중 T와 $E_2$ 농도의 두드러진 증가는 투여 6주후부터 관찰되어 졌다. 매주 SPE로 주사한 yellow 뱀장어의 경우, 대부분 개체는 투여 5주까지 체중 변화가 완만하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 급속히 증가하였다. 이들 개체의 대부분은 실험종료시에도 제3 난황구기의 난모세포들로 구성되어져 있었다. 특히 실험 기간중 혈중 T와 $E_2$ 농도는 개체별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는 제각기 투여 8주째와 투여 6주 후 부터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매주 SPE로 주사한 자연산 뱀장어(silver 및 yellow)의 혈중 DHP 농도는 실험 기간동안 불검출 혹은 매우 낮은 농도로 유지하였으며,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sliver 뱀장어에 있어서 SPE를 W/O 형태로 유화시켜 반복 투여함으로써 체중 및 혈중 성호르몬(T와 $E_2$)의 급격한 증가 및 최종성숙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이었다.

근해장어통발어업에서 어로기술발달에 따른 어획성능지수 변동 (Change of relative fishing power index from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the offshore conger eel pot fishery)

  • 서영일;정금철;차형기;조현수;이유원;장충식;안영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6권1호
    • /
    • pp.37-44
    • /
    • 2020
  • The change of fishing power index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development of the vessel and gear technology that may improve the fishing efficiency of the offshore conger eel pot fishery from 1980s to 2015. Gross tonnage per fishing vessel was rapidly increased annually. The standard of pot was maintained, but the number of pot used rapidly increased by using conger eel pot hauling devices, carrying and loading devices, main line hauler, casting devices and slide type pot. Fish finder system to identify fishing ground information and the conger eel pot hauling devices were modernized, and supply rate was also increased. Therefore, the relative fishing power index in the offshore conger eel pot fishery increased from 1.0 in 1980 to 1.3 in 1990, to 1.8 in 2000 and to 2.0 in 2015. Th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reasonable fisheries stock management of the offshore conger eel pot fishery.

시판 반건조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위생학적 품질특성과 품질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Sanitary Quality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Semi-dried Conger Eel Conger myriaster and the Guideline for Controlling Quality)

  • 최종덕;강상인;김용중;이수광;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17-425
    • /
    • 2015
  • Semi-dried conger eel Conger myriaster is considered as a health food in Korea due to its richness in vitamins, minerals, proteins and omega-3 fatty acids. This study characterize the sanitary quality of commercial semi-dried conger eel for developing high quality semi-dried products and suggested the guideline for controlling the quality. Moisture content ranged from 41.2% to 73.4% (mean: 61.5%), volatile basic nitrogen ranged from 16.1 to 93.6 mg/100 g (mean: 55.1 mg/100 g), and peroxide value ranged from 15.2 to 69.8 meq/kg. Viable cell counts ranged between 6.51 and 8.53 log CFU/g, while the Escherichia coli count ranged from undetectable to 4.6 log CFU/g. Based on these chemical and microbial findings, we suggest that provisions be established for development of high quality semi-dried conger eel as follows: 50-68% for moisture content, < 50 mg/100 g for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 60 meq/kg for peroxide value, and negative for E. coli. Among the 16 commercial semi-dried conger eel products used in this study, the standard-passed product was only GS-L.

72종 어류의 일반성분조성과 콜레스테롤 및 $\alpha$-토코페롤함량 (Proximate Composition, Cholesterol and $\alpha$-Tocopherol Content in 72 Species of Korean Fish)

  • 정보영;최병대;이종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0-167
    • /
    • 1998
  • 통영 연안해역 및 경남 내륙지방에서 어획된 72종 (해산어 59종, 담수어 13종)의 어류에 대한 식품영양학적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그들의 일반성분조성과 CHOL 및 $\alpha$-Toc 함량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질 함량은 표 중층 회유어 (평균 $6.09\%$) > 담수어(평균 $4.40\%$) > 연안 암초어 (평균 $3.41\%$) > 저서어(평균 $2.21\%$) 순으로 많았으며, 수분 함량과는 역상관관계 (p<0.001)를 나타냈다. 단백질은 전 어류에서 평균 약 $17\~18\%$를 함유하였으나, 수분 함량과의 상관성은 저서어를 제외한 다른 어류에서는 인정되지 않았고, 회분 함량은 전 어류에서 $1\~2\%$로 거의 일정하였다. CHOL 함량은 6.7(꼼치)$\~$249mg(뱀장어)/100g muscle의 범위로 어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지질함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alpha-Toc$ 함량은 뱀장어 (4.1 mg/100 g muscle)를 제외한 나머지 어종에서는 흔적 또는 3mg/100g 이하였으며, 지질 함량과 대체로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양식 및 천연산 어류의 화학성분에 관한 연구 1) 양식 및 천연산 뱀장어의 지질성분 (Comparision of Chemical Compositions between Cultured and Wild Fishes (1) Comparision between Cultured and Wild Eel Lipids)

  • 김경삼;오광수;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06-510
    • /
    • 1984
  • 양식어의 품질평가라는 관점에서 천연산 및 양식산뱀장어의 지질을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로 중성지질, 인지질 및 당지질로 분획하고 GLC로써 이들의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으며, 중성지질의 트리글리세리드의 HPLC 패턴을 분석하여 양식산과 천연산을 비교검토하였다. 천연 및 양식산뱀장어의 지질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당지질의 함량은 천연산이 총지질의 $2.6\%$로서 양식산의 $0.6\%$에 비해 4배정도 높았다. 천연 및 양식산 모두 총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의 지방산조성은 $C_{18:1},\;C_{16:0},\;C_{16:1}$의 조성비가 높았으며 그 중에서 $C_{18:1}$의 조성비가 가장 높았다. 양자간의 이들 지방산조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C_{16:1}$의 조성비는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높은 반면, $C_{18:1}$$C_{22:6}$의 조성비는 양식산이 천연산보다 높았다. 인지질의 경우는 양자 모두 $C_{22:6},\;C_{18:1},\;C_{16:0}$의 조성비가 높았으며 그중에서 $C_{22:6}$의 조성비가 가장 높았다. 천연산 및 양식산뱀장어 중성지질의 트리글리세리드의 HPLC 패턴은 양자간에 약간 차이가 있었다.

  • PDF

뱀장어용 배합사료의 적정 Cu와 Mn 첨가량에 관한 연구 (Quantitative Requirements of Copper and Manganese in Formulated Diets and Its Interrelation with Other Minerals in Young Eel)

  • 박철원;청수천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9-119
    • /
    • 1988
  • 주요 단백질원이 북양어분(White fish meal)인 뱀장어용 배합사료에 각종 무기물질중 Co per와 Manganese에 대한 첨가 적양을 검토하기 위한 뱀장어 사육실험을 실시하였다. Cu 첨가 사육실험 결과, 5 $\mu$g/g 첨가구가 성장 및 사료효율이 가장 좋았고, 다소 비만도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한편 가장 높은 농도인 20 $\mu$g/g 실험구에서 Cu에 의한 약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무첨가구는 첨가 실험구보다 간 중양이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근육 및 간에서의 Cu 함양, 골격에서의 Al 함양은 사육중 Cu 함양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간에서의 Zn 함양은 반비례하였다. Mn 첨가 사육실험 결과, 20$\mu$g/g 첨가구에서 가장 종은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40$\mu$g/g 첨가구에서 사료효율이 가장 좋았다. 근육, 간 그리고 골격의 Mn 함양 및 간의 Cu 함양은 Mn 첨가양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북양어분을 주 단백질원으로 하는 뱀장어용 배합사료에 Cu 및 Mn의 적정 첨가양은 각각 5$\mu$g/g과 30$\mu$g/g 정도가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