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st disease occurrence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7초

Mycoplasma 성(性) 붉나무빗자루병(病)에 관(關)한 연구(硏究) (I) (Studies on Mycoplasma-Like Organism Associated with Witches' Broom of Rhus javanica (I))

  • 김영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15
    • /
    • 1980
  • 붉나무빗자루병은 국내외적(國內外的)으로 처음으로 발견된 병(病)으로서 그 병원체(病原體), 병징(病徵), 전염경로(傳染經路) 항생물질반응(抗生物質反應) 등을 조사(調査)하였다. 1. 붉나무빗자루병의 병징(病徵)은 지엽(枝葉)의 총생(叢生), 기관(器官)의 위축(萎縮), 위황(萎黃), 화기(花器)의 엽화(葉化) 등 빗자루병 특유(特有)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2. 이병주(罹病株)의 총엽병(總葉柄) 및 주맥조직(主脈組織)을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에 의해서 관찰한 결과 사관세포(篩管細胞) 및 사부유세포(篩部柔細胞)에서 mycoplasma-like organism 이 관찰되었다. 3. 본(本) 병원체(病原體)는 unit membrane에 싸여 있고 이분(二分), 출아(出芽)에 의하여 증식(增殖)하며 사공(篩孔)을 통해서 식물체내(植物体內) 이동(移動)을 하는 것이다. 4. 이병엽(罹病葉) 주맥(主脈)의 사관세포(歸管細胞)는 위축(萎縮)되었고 각(各) 유관속(維管束)의 사부(篩部)는 분리(分離)되어 있는데 반하여 목부(木部)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병주(罹病株)의 엽내조직(葉內組織)은 선상표피(腺狀表皮)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전자현미경관찰결과(電子顯微鏡觀察結果) 도관세포(導管細胞)에는 이상결정물질(異常結晶物質), 호(好) osmium성(性) 과립(顆粒)들이 관찰되었고 엽록체(葉綠體)의 grana 구조(構造)가 미발달(未發達)되어 있었다. 6. 접목전염(接木傳染)이 용이(容易)하며 아접(芽接)이 절접(切接)보다 전염성이 높았고 접아(接芽)나 접수(接穗)가 활착되지 않았어도 전염은 가능했다. 그러나 즙액전염(汁液傳染), 충매전염(虫媒傳染)은 부정적이었다. 7. Teracyclin과 terramycin을 처리(處理)한 효과(効果)는 일시적이었으며 영구치료(永久治療)는 되지 않았다. 또한 근부침지(根部浸漬)가 엽면살포(葉面撒布)보다 반응(反應)이 좋았으며 농도(濃度)는 근부침지(根部浸漬)에서 1,000 ppm이 가장 효과적(効果的) 이었다.

  • PDF

유기농 찰옥수수종자 생산지의 병해충 발생 소장 (Occurrence of Diseases and Insects in Organic Sweet Corn Seed Production Area)

  • 김정순;고병대;곽재균;이명철;김창영;김정곤;심창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3-104
    • /
    • 2010
  • 찰옥수수 유기종자의 안전한 생산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병해충 제어가 필수적이므로 2개의 찰옥수수 품종(미백2호, 흑미찰)을 대상으로 2008~2009년에 병해충 발생 양상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8년 유기농 찰옥수수 종자 생산지의 우점 비산포자는 Alternaria sp., Cladosporium sp., Pyricularia sp., Collectotrichum sp., Helminthosporium sp., Bipolaris sp. 등이었고, Alternaria sp., Cladosporium sp. 및 Helminthosporium sp.은 전 생육기간에 관찰되었다. 종자 및 유묘에 나타나는 병해충 발생 양상은 종자가 발아하지 않고 썩는 경우와 유묘가 시들어 심하면 고사하는 증상을 보였으며, 거세미나방에 의해 땅가 부위가 잘려진 증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종자 및 유묘의 발병주율은 14~16% 미만이었다. 옥수수재배포장에서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조명나방의 발생밀도 발생밀도는 품종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2008년은 트랩당 3.5~20.5마리였고 2009년은 트랩당 0.5~6마리로 낮게 나타났다. 피해주율은 2008년은 7.5~21%이었으며, 2009년은 1~46%로 수확기까지 지속적으로 그 피해가 증가하였다. 잎마름병의 발병주율은 2008년도에 7~34%였으나 품종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2009년도는 6월 18일 처음 발생하였고, 8월 21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59%) 9월 25일에는 미흑찰(69%)이 미백2호(56%)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깜부기병의 발병주율은 2008년도에 5~15%였으며, 2009년에는 7월 17일 처음 발생하여 2008년에 비해 17일 정도 늦게 발생하였으며 발병주율도 8% 미만(9월 25일)으로 2008년에 비해 아주 낮게 나타났다. 깨씨무늬병의 발생주율은 2008년도에 발생 초기에는 평균 11%(미흑찰)이었다가 9월 19일 조사 때는 두 품종 모두 62%로 높게 나타났다. 2009년도 처음 발생 시기는 6월 8일 이후로 2008년에 비해 20일정도 일찍 발생하였으며 9월 25일까지 지속적으로 발병하여 약 86%까지 달하였으며 2008년에 비해 24% 이상 높게 나타났다.

Comparison of Clinical Efficacy of Three Different Neoadjuvant Approaches (Chemotherapy Combined Vaginal Intracavitary Irradiation, Neoadjuvant Chemotherapy Alone or Radiotherapy) Combined with Surgery for Patients with Stage Ib2 and IIa2 Cervical Cancer

  • Fu, Jian-Hong;Gao, Zhan;Ren, Chen-Chen;Shi, Yong-G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4호
    • /
    • pp.2377-2381
    • /
    • 2013
  • A total of 285 patients with stage Ib2 and IIa2 cervical cancer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nd received preoperative neoadjuvant chemotherapy combined with vaginal intracavitary irradiation, neoadjuvant chemotherapy alone or radiotherapy, respectively. The effective rate of 70.6 % in group 1 was much higher than 41.4% in group 2 (P=0.000) and 46.9 % in group 3 (P=0.000); The percentage of patients receiving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was 44.1% in group 1, much lower than 67.8% in group 2 (P=0.001) and 64.6% in group 3 (P=0.004); The percentage of patients with no postoperative risk factor in group 1 was 52.0%, much higher than 32.2% in group 2 (P=0.006) and 35.4% in group 3 (P=0.019); The occurrence rate of surgery-related complications in groups 1, 2 and 3 were 29.4%, 28.7%, and 33.3%, respectively, with no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P=0.981). Regarding preoperative neoadjuvant complications, none were obvious in group 3, while occurrence rates of myelosuppression in groups 1 and 2 were 89.1% and 86.6%, of nausea and vomitting were 78.4% and 78.2%, but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all P>0.05). Among 166 patients who received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in the three groups, the occurrence rates were: 65.4%, 64.3% and 61.1% respectively for myelosuppression; 42.3%, 38.1%, and 38.9% for nausea and vomiting; 9.6%, 9.5% and 9.7% for urocystitis; and 63.5%, 69.0% and 65.3% enteritis and rectiti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all P>0.05). The five-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s (DFS) in groups 1, 2, 3 were 78.3%, 75.1%, 80.9%, respectively; the five-year overall survival rates (OS) were 81.4%, 78.2%, and 81.1%, respectively. The five-year OS of 166 patients receiving postoperative in the three groups were 72.4%, 69.5%, and 71.8%, respectively, with no significant variation (all P>0.05).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in DFS and OS, preoperative neoadjuvant chemotherapy combined with intracavitary radiotherapy may increase the effective rate and the percentage of patients with no postoperative risk factors and decrease the percentage of patients receiving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thereby decreasing complications indirectly and increasing quality of life.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천식 환자 발생 예측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sthmatic Occurrence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 성태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674-682
    • /
    • 2020
  • 최근 산업화 및 인구과밀화로 인해 대기오염에 대한 문제가 세계적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대기 오염은 인간의 건강에 다양한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데, 그 중 본 연구에서 관심을 둔 천식과 같은 호흡계 질환은 직접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임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표본을 기반으로 천식과 같은 질환에 대기 오염 인자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다. 이는 수집 표본 별 일관성이 없는 결과를 초래할 소지가 다분하며, 의료계 종사자 이외에는 연구의 시도가 어렵다는 점에서 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에서 공개하는 대기 환경 데이터와 천식 발병 빈도 수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천식 발병 빈도를 예측하는 것에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시차를 적용한 피어슨 상관계수를 통해 각 대기오염 인자가 천식 발병에 어느 정도의 시차를 가지고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를 기반으로 구축된 학습데이터는 딥러닝 알고리즘에 활용되며, 천식 발병 빈도의 예측에 최적화 된 모델을 설계하였다. 모델의 평균 대비 오차율은 약 11.86%로 타 머신러닝 기반의 알고리즘 대비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제안한 모델은 국가 보험 체계 및 보건 예산 관리에서의 효율화 및 병원에서의 의료 인력 배치 및 수급에의 효율성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만성 천식 질환자에 대한 대기 환경별 발병 위험에 대한 조기 경보를 통해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Colletotrichum fioriniae에 의한 호박 과실 탄저병의 발생 보고 (First Report of Colletotrichum fioriniae Causing Anthracnose on Fruit of Pumpkin (Cucurbita moschata) in Korea)

  • 김준영;김병섭
    • 식물병연구
    • /
    • 제26권3호
    • /
    • pp.190-193
    • /
    • 2020
  •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비닐하우스에서 재배중인 호박 과실에 탄저병이 발생하였다. 병든 호박 과실에 분홍색의 분생포자 층이 동심원으로 나타나 점차 확대되어 과실이 무르는 증상을 나타내었다. 원인균을 규명하기 위하여 순수 분리 후 균학적 특성 및 ITS, GAPDH, CHS-1, HIS3, ACT, TUB2 염기서열 분석결과 Colletotrichum fioriniae로 동정하였다. 또한, 병원성이 확인되었고 접종시험에서 동일한 균이 반복적으로 분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C. fioriniae에 의한 호박 과실에 발생하는 탄저병의 발생을 국내 처음으로 보고한다.

유산양에서 관절염.뇌염 발생 (Outbreak of carprine arthritis-encephalitis in dairy goat flocks)

  • 손소연;류대열;손현수;강신석;박재명;변현섭;최해연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9-316
    • /
    • 2006
  • This is a case report on the occurrence of caprine arthritis-encephalitis (CAE) disease among dairy goats in a local farm located in Yeongdong-gun, Chungbuk. Previously, it was reported that the farm experienced intermittent deaths numbering 15 of the 97 goats raised for 5 months. Most of the goats less than 6 months of age were suffering from ataxia and posterior paresis, body tremor and abnormal head posterior. Affected animals frequently had stunted growth and had a rough coat. Goats more than 6 months of age were affected with an insidious, chronic arthritis characterized by articular swelling ('big knee') of the carpal, hock, and stifle joints. Necropsy revealed severely swollen mesenteric lymph nodes, under- flow of 2-3ml synovial fluid in the articular space and fibrous proliferation of synovial membran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showed perivascular accumulations of mononuclear inflammatory cells in the white matter of the brain, proliferative synovitis characterized by villous hypertrophy, synovial cell hyperplasia and infiltration by mononuclear inflammatory cells. Pulmonary lesions consists of patchy interstitial pneumonia with hyperplasia of lymphoid tissues and an extensive mononuclear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to the alveolar septa. Confirmation by nested PCR involves amplification of a 296 bp (lst PCR) and 184 bp (2nd PCR) fragments corresponding to the gag region of the CAE virus. This is the first time CAE has been reported in a local farm in Korea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s of developing preventive measures against CAE.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산딸기 무름병 발생 (Occurrence of Rhizopus Soft Rot on Rubus crataegifolius Caused by Rhizopus stolonifer in Korea)

  • 권진혁;쩐티펑지
    • 식물병연구
    • /
    • 제14권2호
    • /
    • pp.127-130
    • /
    • 2008
  • 2008년 6월 상순 경남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에 유통 판매중인 산딸기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과실표면에 상처 또는 짓물러진 과실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빠르게 부패되었다. 균총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회색으로 되고 검은색의 포자낭을 많이 형성하였으며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이었다. 포자낭경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회색을 나타내며 폭은 $12{\sim}25{\mu}m$이었다. 포자낭은 검은색으로 구형 또는 반구형이며 크기는 $82{\sim}195{\mu}m$이었다. 주축은 반구형이며 크기는 $70{\sim}92{\mu}m$이었다. 포자낭 포자는 담갈색으로 단포이며 구형 또는 타원형이고 불규칙한 것도 있으며 크기는 $9{\sim}21{\times}7{\sim}8{\mu}m$이었다. 따라서 산딸기 과실에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본 병해를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산딸기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Incidence of Viral Diseases and Occurrence of Three Unreported Viruses in Yams in Korea

  • Lee, Joong-Hwan;Park, Chung Youl;Cho, Ha-Jeong;Oh, Jonghee;Kim, Bong-Sub;Park, Eun Hey;Son, Chang-Gi;Lee, Su-Heon
    • 식물병연구
    • /
    • 제23권1호
    • /
    • pp.82-87
    • /
    • 2017
  • During 2012 to 2014, a survey for the presence of viral diseases in yam plants was carried out in a field of the Institute for Bioresources Research in Gyeongsangbuk-do, Korea. A total of 88 leaf samples were collected and test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specific primer sets. Eighty-one samples were positive for Broad bean wilt virus 2 (BBWV2), Chinese yam necrotic mosaic virus (ChYNMV), Cucumber mosaic virus (CMV), Japanese yam mosaic virus (JYMV), and Yam mild mosaic virus (YMMV), whereas Yam mosaic virus (YMV) was not detected. Additionally, seven samples were negative for all viruses. Several samples exhibited mixed (double and triple) infections. Three viruses (CMV, JYMV, and YMMV) were detected for the first time in yam plants in Korea. A BLAST search showed that three viruses shared nucleotide identities with CMV-Ca (98%), JYMV-O2 (91%), and YMMV-TG_NH_1 (86%). Thus, our findings confirmed that yam plants cultivated in Korea were infected with multiple viruses with three of these viruse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Nationwide Population-Based Epidemiologic Study on Childhood Intussusception in South Korea: Emphasis on Treatment and Outcomes

  • Lee, Eun Hye;Yang, Hye R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3권4호
    • /
    • pp.329-345
    • /
    • 2020
  • Purpose: This was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y, treatment, disease outcomes, and associated factors of childhood intussusception in South Korea. Methods: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base on all patients <18 years old diagnosed with intussusception from 2007 to 2017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34,688 cases were identified among 30,444 patients. The overall incidence was 28.3/100,000 person-years with a male predominance. Most cases (83.1%) occurred in children <3 years old, with an annual incidence of 195.2, 200.1, and 118.6 cases per 100,000 children in their first, second, and third year of life, respectively. The median age at the first occurrence was 18.7 months, and it was higher in boys than in girls. The post-discharge recurrence rate was 10.6% (3,226/30,444) and the in-hospital recurrence rate was 6.1% (1,842/30,444). The total recurrence rate (post-discharge recurrence and/or in-hospital recurrence) was 15.0% (4,580/30,444). Enema reduction was successful in 90.0% of cases. Enema reduction was more successful in girls than in boys. A total of 3,296 (10.8%) patients underwent 3,481 surgeries, including 735 (21.1%) laparoscopic surgeries. Post-discharge recurrence and surgery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age, sex, and hospital type. Mortality was noted in nine cases (0.03%). Conclusion: Our study provides accurate epidemiologic data on the treatment and outcomes of intussusception through complete enumeration during an 11-year-period.

고추 유묘에 대한 Colletotrichum acutatum의 병원성과 탄저병 발생 (Pathogenicity and Occurrence of Pepper Seedling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 한경숙;박종한;한유경;황정환
    • 식물병연구
    • /
    • 제15권2호
    • /
    • pp.88-93
    • /
    • 2009
  • 고추 유묘의 신초가 말라죽고 잎에 수침상점무의 증상으로부터 병원균을 분리하여 균총의 색깔과 형태, 포자의 모양과 크기를 관찰한 결과 균총의 색깔은 처음에는 핑크색 띄나 차츰 회색으로 변하였고, 분생포자는 방추형으로 크기가 $8.1-17.0{\times}2.0-3.8{\mu}m$이며 생장최적온도 $25-27^{\circ}C$이다. 종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고추 유묘에서 분리한 균을 동정한 결과 C. acutatum에 특이적인 프라이머인 CaINT에서만 496 bp의 증폭산물을 얻었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유묘에서 분리한 균은 Collectotrichum acutatum으로 동정하였다. 고추 유묘에서 분리한 균주를 고추묘 생육단계별로 병원성 검정한 결과 유묘 뿐 아니라 식물체 전 생육기에 잎 탄저병 증상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고추 열매에서도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