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ire-resistant

Search Result 26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방염처리 방법에 따른 단청목재의 방염 및 내후특성 (Flame Retardant and Weather Proof Characteristic of Dan-Chung Treated Wooden by Flame Retardant Performance)

  • 박철우;홍상완;이종균;임남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2-130
    • /
    • 2013
  • 최근 목조문화재를 화재로부터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방호대상물인 목재 표면에 직접 적용하는 방염 처리가 있으며, 이는 화재를 사전에 차단하지 못했을 경우 재료에 대한 불꽃의 저항능력을 확보하여 연소를 지연시킴으로서 화재를 예방하고 또한 재실자의 피난시간을 확보하는 것으로서 생명 및 재산을 보호함으로써 소방기본법의 목적과 그 뜻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방염제를 목조문화재의 단청면에 분사하여 사용할 경우 일정시간이 지나면 단청의 퇴색, 백화현상, 수분흡수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문화재 손실 위험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현행 목조문화재를 방염처리 할 경우 현장 시공 시 시간 경과 후에도 단청과 목재에 문제발생이 없어야 하며, 지속가능한 방염효과 기술의 확보가 선결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최근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염제 종류에 따른 목재의 방염성능의 평가분석을 통하여 방염제를 단청표면에 분사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단청과 목재에 문제발생이 없으며, 방염효과가 지속가능한지에 대한 정밀분석으로 방염처리 품질 및 성능을 확인하여 목조문화재에 적합한 방염처리방법 선정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Silicon Carbide (SiC) 복합방적사로부터 제조된 원단의 방화복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sing Fire-Retardant Working Cloth Made from Silicon Carbide (SiC) Composite Spun Yarns)

  • 강현주;강건웅;권오훈;권현명;황예은;전혜지;주종현;박용완
    • 감성과학
    • /
    • 제24권4호
    • /
    • pp.149-15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1500℃ 이상의 극한 열 환경에서 사용되는 소재인 SiC (silicon carbide) 섬유를 복합방적사로 제조한 후에 원단을 제직하고 제직된 원단의 역학적 특성을 KES-FB system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역학적 특성 값으로부터 착용성능을 분석하여 방화복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직물의 역학적 특성에서는 인장선형성(LT)과 인장레질리언스(RT), 전단강성(G)을 나타내는 값이 원사의 제조형태에 따라서 그 특성 값의 차이를 보였으며, 직물의 두께와 평량, 밀도 값이 전단히스테리시스(2HG)와 압축레질리언스(RC) 값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의복착용 성능에서는 착용 시 부피감을 나타내는 두께에 대한 압축에너지의 비(WC/T) 값에서 SiC 복합방적사로 제조된 직물의 값이 가장 우수한 값을 타나내었으며, 방염성능에서는 SiC 복합방적사로 제조된 직물이 탄화길이와 잔염시간에서 KFI 성능기준을 만족하여 방화복으로서의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9-2023년 국내에서 분리한 Erwinia amylovora의 스트렙토마이신에 대한 감수성 변화 (Changes of Sensitivity to Streptomycin in Erwinia amylovora Isolated from 2019 to 2023 in Korea)

  • 함현희;오가람;이방울;이용환;이용훈
    • 식물병연구
    • /
    • 제30권2호
    • /
    • pp.199-205
    • /
    • 2024
  • Erwinia amylovora는화상병의원인균으로국내에서는 2015년 이후 사과와 배 나무에 큰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농가에서는 화상병 예방을 위해 개화기에 항생제를 살포하고 있다. 그러나 항생제의 지속적인 사용은 저항성균의 출현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방제 효율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9–2023년 동안 국내에서 분리한 E. amylovora 361균주를 대상으로 스트렙토마이신에 대한 최소억제농도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국내에서 분리한 연구 대상 균주들에 대한 스트렙토마이신의 최소억제농도는 0.5–4 µg/ml였고 균주에서 스트렙토마이신에 약한 저항성을 유도하는 strA-strB 유전자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경기도, 강원도 및 충청북도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스트렙토마이신의 최소억제농도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스트렙토마이신의 사용에 대한 주의를 유도하고 방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샌드위치 패널 심재용 경량기포콘크리트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as Sandwich Panel Core)

  • 이상안;천우영;고관호;김화중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557-560
    • /
    • 2008
  • 샌드위치 패널은 전세계적으로 건축공사 전반에 걸쳐 매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기재료를 심재로 사용한 폴리스틸렌 패널 등을 사용함에 따라 화재에 의한 심재의 용융이나 강판의 변형 등 화재에 매우 취약하고, 유독가스 발생 등에 따른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난연또는 불연성능의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샌드위치 패널 심재용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최적배합을 도출하여 샌드위치 패널 심재에 적용하고자 한다.본 연구에서는 기포콘크리트를 샌드위치 패널 심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기존의 기포방식인 기포제를 첨가하여 경량화 시키는 방식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콘크리트 초경량화를 위해 여러 가지 화학반응에 의한 기포 발생 유도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그 중 과산화수소($H_2O_2$)를 첨가하여 반응시 발열(發熱)을 유도하고, 콘크리트 기포발생 유도를 극대화시켜 초경량화를 이루기 위한 최적배합 도출 및 폐자재를 활용한 샌드위치 패널 심재용 경량기포콘크리트 충전성 검토, 소요강도 확보가능 여부 등의 다양한 실험을 통해 물리적 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PDF

2.5 mm2 HIV에 일반화염 및 DC 단락 전류를 인가하여 생성된 기공의 정량적 분포 해석 (Quantitative Distribution of Created Voids by Applying General Flame and DC Short-circuit Current to 2.5 mm2 HIV)

  • 김승삼;최충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8-42
    • /
    • 2013
  • This study performed the quantitative distribution analysis of created voids to an insulator when applying general flame and DC short-circuit current to 2.5 $mm^2$ HIV (600 V Grade Heat-Resistant Polyvinyl Chloride Insulated Wires). The diameter of cross-section of HIV normal product and the radius of conductor were measured to be 3.3 mm and 1.8 mm. The exterior of HIV exposed to general flame showed severe carbonization and its interior exhibited voids created by dechlorination reaction. This study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that, when the shortcircuit current applied for 2 seconds from a DC 12 V lead battery, the conductor and neighboring insulator were melted, causing the insulator adhering to the conductor. On average, 87 voids were created on 10 mm of the HIV. The average diameter of voids was 0.25 m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hen the short-circuit current applied for 4 seconds, the interior of insulator in contact with conductor severely carbonized and showed exfoliation phenomenon. On average, 47 voids were created, with more voids at the bottom. The average diameter of voids was 0.20 mm. When the short-circuit current for 6 seconds, most parts of upper part of conductor was carbonized, 20 voids were created. The average diameter of voids was measured to be 0.24 mm. It could be seen that the created voids received little influence by the type of energy source and the number of created voids was reduced as the energy supply time increased.

진공증착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PMDA /4,4′-DDE 폴리이미드의 내열 특성 (Heat resistant characterization of PMDA /4,4′-DBE polyimide of fabricated by vapor deposition polymerization)

  • 김형권;이은학;우호환;김종석;이덕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9
    • /
    • 1996
  • PMDA와 4,4'-DDE 단량체를 이용하여 진공증착중합법으로 기판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제조한 폴리이미드 박막을 TGA(Thermogravimetry Analyzer)로 내열특성을 조사하였다. 박막 제조시 기판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착율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며, 기판온도가 7$0^{\circ}C$ 이상 일때는 중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폴리이미드라고 할 수 없었다. TG곡선으로부터 구한 5%중량 감소온도($T_{TG}$)는 기판온도가 $20^{\circ}$, $40^{\circ}$, $70^{\circ}$일때는 $565^{\circ}$, $397^{\circ}$, $210^{\circ}$이었다. 따라서 $20^{\circ}$$40^{\circ}$에서 제조한 박막이 20,000시간 동안 견딜 수 있는 온도는 각각 $230^{\circ}$$200^{\circ}$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표준화재조건에서 Fiber Cocktail을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강도별 전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rmal Analysis with Strength Characteristics of HPC Column with Fiber Cocktail in KS Fire Curve)

  • 김흥열;채한식;김형준;전현규;염광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397-400
    • /
    • 2008
  • 본 연구의 효율적 연구수행을 위해 우선 관련 선진외국의 연구성과 분석 검토를 기반으로 한 명확한 이론적 규명 및 실험/해석 변수 산정을 선행연구로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관련 기 수행된 고온영역 재료적 물성 역학적 특성을 규명한 후 Fiber Cocktail 혼입 유무에 따른 40${\sim}$100 MPa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유한요소해석법(ABAQUS)을 적용한 구조요소 전열 시뮬레이션 해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40, 50, 60 MPa의 고강도 콘크리트는 30 MPa 보통강도 콘크리트와 해석모델이 유사한 전열특성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둘째, 80, 100 MPa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해석모델은 보통강도 모델에 비해 약간 낮은 성향의 전열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시판 PVC 벽지 중 가소제 및 중금속 함량 (Content of plasticizers and heavy metals in the selling PVC wallpapers)

  • 이철원;정탁교;김만구
    • 분석과학
    • /
    • 제21권2호
    • /
    • pp.135-142
    • /
    • 2008
  • 2005년 이후 국내에서 생산된 벽지 중의 가소제와 중금속 함량의 실태와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2002년도에 생산된 벽지와 비교하였다. 벽지의 가소제는 KSM1991 방법에 따라 n-hexane을 용매로 속실렛 추출하여 GC/FID로 분석하였다. 중금속은 EN 71-part 3 방법에 따라 0.07 mol/L 염산으로 전처리하여 ICP/OES로 분석하였다. 가소제는 DEHP, DINP, DEP, acetyl tributyl citrate가 검출되었다. DEHP는 6개 벽지에서 0.2~11.3%로 사용되고 있었고, DINP는 6개 벽지에서 17.9~27.8%, DEP는 한 개 벽지에서 1.5%, acetyl tributyl citrate도 한 개 벽지에서 8.9%로 나타났다. 2002년 PVC 벽지와 비교하면 가소제는 위해성 논란에 있는 DEHP에서 DINP와 DEP, acetyl tributyl citrate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금속은 방염벽지에서 안티몬이 환경마크의 기준값 이상이었던 것 외에는 모든 벽지에서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다. 이와 같이 PVC 벽지는 다양한 가소제의 사용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방염벽지와 같은 일부 기능성 벽지는 안티몬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M.7 및 M.9에 접목된 '산사' 사과나무의 대목 노출 길이가 영양생장 및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Exposed Length of Rootstock on Vegetative Growth and Productivity of 'Sansa' Apple Trees Grafted on M.7 or M.9)

  • 권영순;김정희;사공동훈;박종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97-310
    • /
    • 2023
  • M.7 rootstock is moderately resistant to fire blight. However, M.7 is generally too vigorous for high-density apple systems, but it can be grafted onto cultivars that exhibit weak tree growth, such as 'Sans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egetative growth, yield, and fruit quality of 'Sansa' apple trees grafted on M.7 or M.9 rootstocks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domestic high-density apple systems using M.7 and to determine the optimum exposure length for rootstocks. Trees were planted with exposed rootstock lengths of 5, 10, and 15 cm. The vegetative growth of apple trees grafted onto M.7 was greater than that of M.9 and vegetative growth tended to decrease as the exposed length of rootstock increased. However, the differences in yield per tree, average weights, soluble solids contents, and titratable acidity due to the rootstock and its exposure length varied. The accumulated yield over a 10 year period and the yield efficiency of M.7 were lower than that of M.9 and the yield efficiency tended to decrease as the exposed length of rootstock increased. When apple trees were grafted onto M.9, biennial bearing and tree vigor weakening occurred if the exposed length of the rootstock was over 10 cm. Conversely, when apple trees were grafted onto M.7, vegetative growth was excessive if the exposed length of rootstock was below 10 cm.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the optimum M.7 and M.9 exposure lengths for 'Sansa' were 15 cm and 5 cm, respectively.

iPVC 매립 상수도관의 내진 성능 및 내침하 성능 평가를 위한 시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Earthquake and Subsidence-resistant Performance Evaluation of iPVC Buried Water Pipe)

  • 전법규;장성진;김재봉;주부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6-23
    • /
    • 2020
  • 우리나라의 연평균 지진발생 횟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최근경주와 포항에서 규모 5를 초과하는 지진이 발생하여 상수도관의 피해가 다수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상수도관의 지진에 대한 대비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수도관은 상수도 공급시스템 에 있어 혈관과도 같은 중요한 시설로서 다양한 규격과 재질의 배관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지진에 의한 상수도관의 손상은 식수공급, 화재진압 등의 문제를 일으키게 되며,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게 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시험 검증 및 경험에 의해 매립상수도관의 내진 성능이 평가된 예를 찾아보기 어렵다. 지진에 의한 상수도관의 손상은 액상화와 단층과 같은 지반의 변위지배적인 거동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지진에 의한 상수도관의 주된 파손은 배관 이음부에 집중되며 특히 직경 200mm 이하 배관이 위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칭 150mm의 클램프로 고정된 이음을 가지는 iPVC 매립 상수도관에 대하여 시험적인 접근으로 내진 성능 및 내침하 성능을 평가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