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resistant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26초

굴 패각과 난각을 혼합한 모르타르의 강도 및 내화성능 평가 (Evaluation of Strength and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Mortar Mixed with Oyster Shell and Egg Shell)

  • 김해나;정의인;김봉주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60-56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달라지는 화재 성상에 대비하기 위한 내화재료 연구의 일환으로 천연 탄산칼슘 재료인 굴 패각과 난각을 각각 잔골재로 치환하여 치환율에 따른 강도 및 내화성능을 평가하여 내화 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굴 패각과 난각은 각각 잔골재 대비 10~50 %를 치환하였고, KS 시험방법에 준하여 강도측정 및 간이가열 실험을 진행하였다. OS를 치환한 경우는 ES를 치환한 경우보다 강도가 높게 측정되었지만 이면온도 또한 높게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폭발성 화재같이 강도성능이 요구되는 곳은 OS를 혼합한 내화보드를 사용하고, 1000 ℃이상의 고온화재 같이 높은 내화성능이 요구되는 곳은 ES를 혼합한 내화보드를 사용하는 등 용도에 맞게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ES 계열 덕트·배관 단열재의 내화성능 검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ractory Performance Verification of the Thermal Insulators for AES Ducts and Piping)

  • 함광호;사재천;이주환;민세홍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419-429
    • /
    • 2024
  • 연구목적: 소방용 배관 보온재의 불연성능 강화와 제연덕트 보온재의 내열성능 향상을 위해 AES소재 단열재의 성능을 시험을 통해 배관보온재 및 제연덕트 보온재에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AES 단열재에 대해 불연성능과 내열성능, 단열성능을 시험을 통해 검증한다. 연구결과: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에 근거하여 불연성 및 가스 유해성 시험 결과 불연성능을 확인하였고, 내화성능 표준시험 결과 내화성능도 확인하였다. 또한, 건축용 단열시험으로 단열성능도 검증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AES 계열 무기질 성분 단열재에 대한 성능시험으로 불연성능, 내화성능, 단열성능이 입증됨에 따라 건축물의 화재확산 방지성능을 개선하는데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구획 화재 시 벽면 재료 특성과 헵탄의 질량유속 상관관계 실험 (Experiment on the Correlation between Mass Flux of Heptane and Material Property of Wall in Compartment Fire)

  • 박정욱;신연제;김정용;유우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1호
    • /
    • pp.39-4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구획 화재 시 벽면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 특성과 질량 유속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내화보드와 철판 각각을 사용하여 폭 0.3 m, 높이 0.5 m 그리고 길이 3.0 m의 한 쪽 면이 밀폐된 구조물을 제작하였으며, 헵탄 풀 화재 실험을 수행하여 연소면적 $0.01m^2$$0.0225m^2$ 각각에 대해서 화원의 위치 변화에 따른 질량 감소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헵탄의 질량 유속은 연소 초기 $0.0087kg/m^2{\cdot}s$에서 내화보드 구조물의 경우 최대 $0.166kg/m^2{\cdot}s$로 증가하였으며, 철판 구조물의 경우 최대 $0.019kg/m^2{\cdot}s$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획 공간에서 화재 확산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재료의 열적 특성과 기하학적 형상을 고려하여 화재시나리오가 구성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이 혼합 콘크리트의 내화특성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Resistant Capacity of Waste Paper-Mixed Concrete)

  • 조병헌;손기상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83-90
    • /
    • 2007
  • This study is to find out if it can be recycled for making better concrete. Therefore, waste paper as of newspaper and newspaper are added into concrete to see if waste paper-mixing concrete can have any particular characteristic. The test result of paper concrete wa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four kinds of tests such as compressive strength as of a fundamental one of concrete resistant capacity against heat. $200^{\circ}C,\;400^{\circ}C\;and\;600^{\circ}C$ heated concrete were compressively tested in order to find out concrete strength resistant to high temperature. heat capacity was also tested, based on the expectancy of its low conductivity. finally flexural strength test using four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size of $20cm{\times}30cm{\times}160cm$ was made. And concrete property exposed to the temperature showed that there are almost not effect for the strength up to $400^{\circ}C$, but it was decreased down to 50% of the original condition. volume of paper mixed with concrete without relation to paper kinds of new and waste one.

초고층 구조물을 위한 특수 콘크리트 (Advanced concrete for Skyscraper)

  • 조윤구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6-11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전 세계적인 추세인 초고층 구조물의 건설에 필수적인 특수 콘크리트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한다. 초고층 구조물에 사용되는 특수 콘크리트를 크게 초고강도 콘크리트, 저발열 콘크리트, 내화 콘크리트 그리고 방폭 콘크리트로 나누고 각각의 필요성, 원리, 적용사례 등을 기술하였다. 본문 뒷부분에서는 현대건설에서 개발하고 있는 특수 콘크리트 기술에 대하여 정리하고 특수 콘크리트의 향후 방향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 PDF

소방배관 형상에 따른 배관 내진해석 (Seismic Analysis of Firefighting Pipe Networks)

  • 최호성;이재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5호
    • /
    • pp.149-154
    • /
    • 2019
  • 지진 발생 시 소방배관의 안전성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내의 경우 국가화재안전기준(NFSC)에 따라 사양위주의 설계를 하고 있지만 특별한 성능이 요구되는 건물에는 공학적인 성능위주 설계를 적용하고 있다. 소방배관의 경우 트리방식을 적용하여 왔다. 하지만 여러 단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그리드방식, 루프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국내 소방 배관 내진설계는 NFPA 13 의 cook book 방식을 적용하고 있지만,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학적인 해석이 필요하다. 국내에서 적용 중인 NFPA 13 기준은 ASCE 와 ASME 의 지침을 준용한 것으로 지진이나 배관의 공학적 해석이 부족한 기술자들이 사용하도록 만들어 놓은 설계방식이다. 국내 내진설계는 버팀대에 대한 검토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신뢰성 있는 해석을 위해서는 배관의 내압, 지속 하중에 의한 힘, 지진과 같은 하중 조건에서의 다양한 해석이 요구된다. 공학적 내진해석을 통해 트리방식 배관은 그리드나 루프 방식의 배관에 비해 안전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응력 기반의 내진해석 방식과 변형률 기반의 해석방식을 비교한 결과 변형률 해석이 Over Stress 범위에서는 보수적인 결과 값을 보였다. 배관의 내진해석은 일률적인 계산을 통한 해석보다 공학적 해석을 통해 엔지니어가 본인의 의도에 맞게 해석을 하는 것이 좀 더 합리적이며, 여러 가지 해석조건을 고려하여 분석되어야 한다.

Delphi/AHP를 활용한 다중이용업 신종업종의 화재위험평가지표 분석 (Analysis of Fire Risk Assessment Indicators of Publicly-Used Establishments using Delphi/AHP)

  • 김명철;김학중;박경환;윤해권;이승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87-94
    • /
    • 2019
  • 국민권익위원회 2018년 7월 17일 보도 자료에 의하면 방탈출카페, 실내양궁장 등 신종업종이 다중이용업에서 제외되어 지정을 검토하고 화재예방 대책을 수립하도록 소방청에 권고하였다. 본 연구는 Delphi 기법으로 다중이용업 신종업종의 화재위험평가 측정영역 및 측정지표를 계층화하고 적합도(3.00 이상) 분석결과, 적합도 평균값이 4.25로서 적합성을 확보하였다. AHP 분석결과, 화재위험평가 측정영역의 일관성 비율은 4.0%로서 CR ≤ 0.1(10%) 보다 낮게 분석되었고 하위 측정지표의 일관성 비율도 0.1%~3.6%로서 모두 일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합 측정지표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는 영업장 내부통로의 형태 및 출구의 피난능력(0.316), 점화원관리(0.141), 고유위험(0.106), 화재감지시스템의 적절성 및 적응성(0.097), 가연물관리(0.084), 피난안내 및 피난설비(0.075), 내화구조 및 마감재료(0.060), 구획 및 비상구(0.049), 연소확대위험(0.046), 소화설비의 적절성 및 적응성(0.026)의 순으로 도출 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화재위험평가지표 개발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널리 활용 될 것이다.

초례산의 산화지와 비산화지의 식물군집구조 및 토양성분의 동태 (Dynamic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the Mt. Ch’olye-san)

  • Sim, Hak-Bo;Woen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5호
    • /
    • pp.417-430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lant community during the secondary succession and the dynamics of soil properties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Mt. Ch’oly-san. Owing to the forest fire occurred on April, 1989, the red pine(Pinus densiflora) forest and its floor vegetation were burned down.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burned and unburned areas were composed of 53 and 49 species of vascular plants, respectively. The dominant species based on SDR4 of the burned sites were lespedeza cyrtobotrya (89.62),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62.50), and Carex humilis (58.73), Quercus serrata (43.33). In contrast, Pinus densiflora (83.56), Lespedeza cyrtobotrya (55.57),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51.88) and Carex humilis (50.41) were dominant in the unburned area. The biological spectra showed the $H-D_1-R_5-e$ type in both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The indices of similarity ($CC_S$) between the two areas were 0.74. Degree of succession (DS) was 604 in the burned area and 802 in the unburned area. From these facts, it is assumed that the succession is rapidly progressing because of the recovery of vegetation. The species diversity ($\={H}$) and evenness index(C)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were 0.15 and 0.18, respectively. Red pine tree did not resprout after scorch by the forest fire, but Lespedeza, Quercus, Rhododendron, Albizzia, and Zanthoxylum resprouted from the roots and trunks after the forest fire. It seems that these species are the fire-resistant species. Soil properties such as soil pH, content of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ous, total nitrogen, tatal carbon, exchangeable potssium, sodium, calcium, and magnesium increased due to forest fire. These results suggest the intensity of forest fire in the study area was relatively weak. Monthly changes of soil properties were of little significance except for some cases.

  • PDF

유사 화재에 대한 방염처리 합판의 착화 지연효과 연구 (A Study on the Ignition Delay Effect in the Reduced-Scale Fire by Flame-Resistant Treated Plywood)

  • 이승현;김황진;이성은;오규형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80-187
    • /
    • 2011
  • 본 논문은 다중이용업소와 목조건축물에 자주 사용되는 미송합판에 방염처리를 하여 유사 화재를 구현하고, 그 화염 세기에 따른 방염의 실효성을 실험한 것이다. 방염처리를 하면 화재 시 가연물의 초기착화시간을 지연시켜 화재성장속도를 늦출 수 있고, 원활한 소화활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하지만 어느 정도 화재가 진행되어 화염이 거세지면, 45도 연소시험을 통한 방염기준을 충족하여도 그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한다. 따라서 45도 연소시험 시 사용되는 65mm의 불꽃보다 큰 화염상태(초기착화 이후의 상태)에서 방염처리한 내장재(미송합판)의 방염성능이 유지되는지의 여부를 실제로 입증하고 그 근거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실험에서는 화재의 규모(화염의 세기)를 달리하여 각기 다른 종류의 방염제로 방염 처리한 미송합판의 착화 시 화염온도, 복사열 유속 그리고 착화지연시간을 파악하였으며, 45도 연소시험과 관련하여 방염성능을 분석하였다. 45도 연소시험의 경우 실험에 사용한 방염 처리 합판은 방염성능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규모 유사 화재로 직경 10cm 연소용기를 사용한 연소실험에서는 방염 처리한 합판의 착화지연시간이 평균적으로 대규모 유사 화재실험보다 길어 어느 정도는 방염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규모 유사 화재로 1단위 유류화재 연소용기를 사용한 연소실험의 경우 열방출율이 커 형성된 탄화막이 무분별하게 박리되고 발화가 일어나 착화지연시간의 차이를 구별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방염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 PDF

팔공산에서 식생과 토양에 미치는 산불의 영향 (Effects of fire on Vegetation and Soil nutrients in Mt. palgong)

  • 심학보;김원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5_1호
    • /
    • pp.465-473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lant community during the secondary succession and changes of soil properties in the burned areas lapsed 28 years after the forest fire in Mt.Palgong. The forest fire occurred on March, 1969 and the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and its floor vegetation were burned dow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burned and unburned areas were composed of 49 and 48 species of vascular plants, respectively. The dominant species based on SDR4 of the burned sites were Lespedeza maximowicxii(87.75), Carex humilis (62.94), Rhododendron schippenbachii(55.78) and Miscanthus sinensis var.purpurascens (51.94). In contrast, Pinus densiflora (81.17), Quercus serrata (53.58)m Carex humilis (53.11) and Miscanthus sinenis var. purpuracens (52.42) were dominant in the unburned area. The biological spectra showed the $H-D_1-R_5-e$ type in both areas. The indices of similarity (CCs) between the two areas were 0.80. Degree of succession (DS) was 734 in the burned area and 809 in the unburned area. The species diversity (H) and evenness indices (e)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were 2.05, 2.13 and 0.53, 0.55, respectively. Dominance index (C)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were 0.30 and 0.32, respectively. Soil properties such as soil pH, content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total carbon, exchangeable potassium, sodium, calcium, and magnesium in burned area were comparatively higher than those of unburned area. Monthly changes of soil properties were of little significance except for some ca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was relationship between trend of vegetation recovery and the changes of soil properties after the forest fire. Mixed forestation of fire-resistant species and nitrogen fixation species will be effective for reforestation after the forest fi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