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spreading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5초

조선시대 금화시책(禁火施策)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금화정책, 금화계획, 금화사업, 금화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gression of Fire Control Policies in Joseon Dynasty - Regal & Administrative System, Planning Tools, Works and Facilities -)

  • 김상희;이경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2-24
    • /
    • 2013
  • 도시 전체가 화재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던 조선시대 화재는 많은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가져왔지만, 다른 한편으로 화재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계획수법, 기술과 시설들이 발달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화재와 관련한 정책, 계획, 건축, 구조물 시설물 등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이루어진 금화시책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조선시대의 금화시책은 그 목적에 따라 화재예방을 위한 비보풍습(裨補風習)과 비화(備火)시책,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한 경계(境界)시책, 화재를 끄기 위한 멸화(滅火)시책, 구화(救火)시책 등으로 구분된다. 조선시대에 이루어진 금화시책은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먼저 태종대로부터 문종대에 이르는 시기로, 이 시기에는 행정 및 사법체제 정비, 금화행정, 금화계획, 금화사업, 금화기구 개발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금화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제2단계는 기와를 공급하는 관아가 소멸되는 단종대부터 현종대에 이르는 시기로, 부분적인 금화사업을 중심으로 금화정책이 진행되고 있다. 제3단계는 숙종대부터 순종대에 이르는 시기로 금화사업보다는 금화기구 개발을 중심으로 금화정책이 진행되고 있다.

도로터널의 화염전파해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alysis of Fire Propagation in Road Tunnels)

  • 권용일;유지오;이동호;권순석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616-622
    • /
    • 2000
  • This paper concerns the application of smoke and fire spread to road tunnel fire problems. When a road tunnel is on fire. a fire protection system of road tunnel have to offer an adequate escape space to human. Therefore, this study carried out a simulation for predicting a spreading path of smoke and fire. The evolution of the flow field is simulated with the low Reynolds number k-$\varepsilon$ turbulent model and SIMPLE algorithm based on the finite volume method.

  • PDF

이동원(李東垣)의 음화론(陰火論)에 대(對)한 연구(硏究) (A Study on Eum-Fire[陰火] Theory of Idongwon(李東垣))

  • 방정균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5-181
    • /
    • 2008
  • As the representative medical scholar at the time of Geumwon(金元) Dynasty, Idongwon(李東垣) deepened and developed the meaning of the diseases on internal injuries. He also proposed the primordial Gi[原氣] and Eum-Fire[陰火] theory in the physiology and pathology. Idongwon(李東垣) defined the pathological metabolism of internal injuries as the hyperactivity against Eum-Fire[陰火] due to the lack of primordial Gi[原氣不足], and he suggested the deficiency of Gi[氣虛] in the Spleen and Stomach and the surge of seven modes of emotion as the causes of the Eum-Fire[陰火] hyperactivity. Additionally, he established the therapy principles of eliminating Heat with Sweet and Warm drug[溫熱藥] and raising yang and spreading fire[升陽散火] based upon the above mentioned pathological metabolism. The Eum-Fire[陰火] that was suggested by Idongwon(李東垣) indicates the Heat syndrome[熱證] developed by internal causes[內因], and the principle reason is the consumption of the Spleen and Stomach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cuperate the function of Spleen and Stomach in treating the disease symptoms caused by Eum-Fire[陰火], and the therapies of eliminating Heat with Sweet and Warm drug [溫熱藥] and raising yang and spreading fire[升陽散火] are the corresponding ones. However, since vital Essence could be lacked due to the consumption of Spleen and Stomach, the therapy of replenishing Eum has to be considered. Additionally, the damp removal therapeutic method also has to be considered since Damp could be stagnated by the loss of function in Spleen and Stomach. In other way, Eum-Fire[陰火] developed by the consumption of Spleen and Stomach is somewhat similar aspect to the premier Fire[相火] that is developed by the lack of Eum[陰虛]. But complications could be developed if therapies of enriching the Eum[滋陰] to suppress Fire and replenishing Eum[補陰] are mainly used to control the symptoms developed by the lack of Eum[陰虛]. Namely, the drugs used to replenish Eum[補陰] mostly have the heavy and turbid properties, which contrarily have the possibility to debilitate the functions of Spleen and Stomach by causing Dampness within a body. So, care must be made in their use.

  • PDF

산불에 의한 열적상승유동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of Thermal Plume Flow in the Forest Fire)

  • 지영무;박준상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58-361
    • /
    • 2008
  • A study is made of thermal plume flow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helicopter simulator over the forest fire. For numerical analysis, the Boussinesq fluid approximation and line fire model, which is assumed by the shape of forest fire spreading, are adopted. Comparing 3-D full numerical solutions with 2-D similarity solution, it has been built a new model that is capable of temperature prediction along the symmetric vertical axis in both cases of laminar and turbulent flows.

  • PDF

지하역사 제연경계벽의 제연 효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Smoke Barriers in the Subway Station)

  • 김범규;김희영;이성미;박용환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04-208
    • /
    • 2008
  • Casualties Damage from Smoke is very serious consequence. Especially, Damage from smoke in in the Subway Station is the terrible result. Smoke from the fire in the Subway Station that evacuation route on the path and the sight of refugees caused by serious traffic problems. Accordingly, A study on Smoke barriers of smoke systems take into considerations relate to effects depending on wind velocity speed of the piston effect come into the retarding effect of smoke control in smoke barriers. As a result of modeling, According to increasing of Velocity in the platform which installed smoke barriers were been on the increase spreading quantity of smoke in the right direction of upstairs however, In contrast spreading quantity of smoke in the left direction on the upstairs were been on the decrease.

  • PDF

복합자재 화재확산방지구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lame Spread Prevention of Sandwich Panel)

  • 조남욱;김도현;심지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84-90
    • /
    • 2015
  • 복합자재(샌드위치패널)는 불연성재료인 양면 철판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와 불연성이 아닌 재료인 심재로 구성된다. 단열재를 가연성 재료로 사용하는 샌드위치패널은 화재 시 철판 내부로 화염이 확산되어 외부에서 진화가 어렵고 화염의 확산이 빠르게 진행되어 건물의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 현행 건축법에 의해 샌드위치패널은 건축물의 용도 및 규모에 따라 난연성능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외벽에 적용되는 화재확산방지구조를 복합자재에 적용하여 실제 규모의 화재시험을 통해 그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향후 복합자재에서도 화재확산방지구조의 적용을 통해 복합자재 건축물의 화재안전 확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소형선박용 무인기관실 초기화재 진압시스템 개발 (Developing of an extinguishing system for a fire at an early stage in Unmanned Engine Room for small vessels)

  • 김성윤;김동석;김유택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6년도 전기학술대회논문집
    • /
    • pp.333-334
    • /
    • 2006
  • Extinguishing a fire at an early stage is most important to prevent spreading of a fire in Unmanned Engine Room. The most proper fire extinguish system was analyzed after examining the Automatic spread Extinguish System, which is mostly installed in Unmanned Engine Room, reproduced in the condition of real Unmanned Engine Room.

  • PDF

소단면 대심도 터널 화재시 대배기구의 설치형태에 따른 화재특성 연구 (A study on the fi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type of large smoke exhaust port in a small cross sectional tunnel fire)

  • 최판규;백두산;유지오;김창용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201-210
    • /
    • 2019
  • 최근 국내외 도심지역의 교통정체 완화와 공간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대도시내 도로의 지하화 시행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도시부 터널은 극심한 정체상황 중 화재가 발생할 경우 대형 참사를 유발할 가능성이 산악터널보다 높기 때문에 소단면으로된 소형차전용터널로 시공이 될 가능성이 높다. 소형차 전용의 터널로 시공이 될 경우, 소형차 전용터널은 차량에 의한 설계화재강도를 감소할 수 있는 반면, 터널 높이 감소 등에 따른 단면적 축소에 따라 유해가스농도가 증가하여 위험도는 증가하는 상반된 특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을 통해 대배기구의 설치간격과 형태에 따른 화재양상을 터널 내 온도 및 CO농도를 분석하여 비교 검토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설치간격에 따른 연기확산거리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간격이 100 m인 경우가 가장 효과적으로 분석되었다. 대배기구 형상에 따른 연기확산거리는 $4m{\times}3m$, $6m{\times}2m$, $3m{\times}2m$ (2열) 순으로 배연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대배기구 형상에 따른 연기확산거리는 플래시오버 이후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화재 성장과정에서 $3m{\times}2m$인 경우 다른 경우보다 확산거리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대배기구 종횡비에 따른 연기확산거리는 횡방향으로 긴 경우보다 종방향으로 긴 경우가 화재연기의 확산거리가 더 짧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형구조와 나무밀도가 산불패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ological Structure and Tree Density on the Forest Fire Patterns)

  • 송학수;권오성;이상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59-266
    • /
    • 2014
  • 산불 확산 패턴 분석은 산림 생태계 안정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규모의 문제로 인해 실제적인 실험이 불가능하여 많은 학자들이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하여 산불 확산의 행동기작을 이해하고 산림 피해를 예측하였다. 그러나 많은 모델들이 연료의 종류, 바람, 습도 같은 여러 환경 요소들의 복잡한 관계를 표현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형의 구조와 두 종의 나무들로 구성된 산림에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간단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두 종의 나무는 가연성이 높은 나무와 가연성이 낮은 나무가 있으며, 서로 다른 산불 전이 확률을 가지고 있다. 전체 나무는 시뮬레이션 공간에 0.5에서 1.0까지의 비율로 무작위로 배치된다. 가연성이 높은 나무는 가연성이 낮은 나무 보다 높은 산불 전이 확률을 가진다. 전소한 나무의 수를 기준으로 지형의 구조와 전체 나무의 밀도가 산불 확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이 앞으로 산불 확산 패턴을 연구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Research of Foresight Knowledge by CMAC based Q-learning in Inhomogeneous Multi-Agent System

  • Hoshino, Yukinobu;Sakakura, Akira;Kamei, Katsuari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3년도 ISIS 2003
    • /
    • pp.280-283
    • /
    • 2003
  • A purpose of our research is an acquisition of cooperative behaviors in inhomogeneous multi-agent system. In this research, we used the fire panic problem as an experiment environment. In Fire panic problem a fire exists in the environment, and follows in each steps of agent's behavior, and this fire spreads within the constant law. The purpose of the agent is to reach the goal established without touching the fire, which exists in the environment. The fire heat up by a few steps, which exists in the environment. The fire has unsureness to the agent. The agent has to avoid a fire, which is spreading in environment. The acquisition of the behavior to reach it to the goal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observe how agents escape from the fire cooperating with other agents. For this problem, we propose a unique CMAC based Q-learning system for inhomogeneous multi-agent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