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prevention measures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7초

Trend of Fire Outbreaks in Ghana and Ways to Prevent These Incidents

  • Addai, Emmanuel K.;Tulashie, Samuel K.;Annan, Joe-Steve;Yeboah, Isaac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7권4호
    • /
    • pp.284-292
    • /
    • 2016
  • Background: In Ghana, fire incidents have become a regular occurrence, with thousands of lives and millions of dollars lost every year. Hardly a day passes without news of a fire outbreak in some part of Ghana, causing fear and panic among the people. This generates much discussion centering on rumors relating to politics, sabotage, misfortune, religious differences, etc. This article seeks to discuss the trend of fire incidents occurring in Ghana from 2000 to 2013 and the different ways to prevent these incidents. Methods: The pattern of fire incidence in Ghana as a whole as well as in each region is discussed. The study took into consideration the causes, mechanisms, as well as preventive measures against the fire menac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head office of Ghana's national fire service. Results: It was noticed that in general the rate of fire incidence increased each year. This increase was attributed to several factors: rate of population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unstable electricity, urbanization, negligence, illegal electrical connection, etc. The cause of fire was categorized into domestic, industrial, vehicular, institutional, electrical, commercial, bush, and others. Among these causes, domestic fire accounted for 41% of the total number of fire incidents in the country. Conclusion: Finally, this study presents several recommendations to help prevent and mitigate fire incidents in Ghana.

샌드위치패널 창고 소방대원 현장활동 대응력 제고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eld Activity for Firemen in Sandwich Panel Warehouse)

  • 안병국;김운형;양소진;함은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21-429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샌드위치패널 창고의 화재예방 및 현장소방대응력 제고를 위한 단계별 대응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화재현장 관련 소방관 인터뷰와 소방전문가의 자문 및 방호성능 실험을 수행하여 현장대응력 강화를 위한 요소별 대책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창고 소방안전관리자용 화재안전관리 체크리스트 및 샌드위치패널 창고의 벽 방호용 스프링클러 설치기준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현장출동 소방관을 위한 샌드위치패널 창고 화재적용 표준작전절차를 수립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가연성 구조 창고의 화재 예방, 방호 및 진압에 대한 단계별 화재안전대책을 구축하였다.

냉장고 파쇄 공정에서의 화재 위험성 및 예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Risk Assessment and Prevention in the Recycling Process of Used Refrigerators)

  • 이수경;송동우;배정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72-7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냉장고 리사이클링 공정에서 잦은 화재가 일어나는 것에 대해 정확한 화재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공정 내에서 발생되는 물질의 성분 및 농도를 분석을 통한 공정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근원적인 화재 및 폭발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예방대책을 제시하여 보았다. 연구를 수행하면서 얻은 결과들은 파쇄공정의 가연물로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분진 및 가연성기체 혼합물인 사이클로펜탄과 메탄의 존재 확인이며 점화원은 기계적 스파크인 마찰, 충격, 마찰열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화재 양상은 폴리우레탄의 표면의 가연성 혼합 가스는 주로 사이클로펜탄의 점화, 폴리우레탄 분진의 훈소 및 가연성혼합가스의 flash fire 임을 알 수 있었다. 가연물인 폴리우레탄과 가연성가스를 제거하는 방법, 점화원을 제거하는 방법 및 산소농도를 최소산소농도로 낮춰서 연소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방법 등의 예방대책과 화재 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호대책을 제시해 보았다.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건설현장 재해 유형별 예방 대책 분석 (Analysis of Prevention Methods by Type of Construction Disaster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 조규필;이명도;신윤석;김백중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3-19
    • /
    • 2024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유형별 건설재해의 원인을 도출하여 중대재해 사고의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주요 요소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국내 건설분야의 중대재해 사례를 분석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예방대책과 원인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고, 분석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연구결과: 이 시각적 데이터는 중요도에 따라 공종별 중대 재해 예방에 필요한 요소의 파악을 용이하게 한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건설현장 중대재해와 관련하여 예방대책 마련 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 및 요소간 명확한 상관관계의 파악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굴뚝효과와 외부출입문 개방을 고려한 부속실 제연 (Vestibule Smoke Control Considering the Stack Effect and the Opening of the Outside Door)

  • 김용광;손주달;김서영;공하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24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tack effect of the staircase and the failure to take into account the opening of the outside door of the staircase, which are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smoke control only vestibul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ew vestibule and the staircase simultaneous smoke control are equipped with an exhaust flap damper with an effective opening area of about 0.25 m2 in the upper part of the staircase, and a ventilator-type air supply fan of about 5 m3/s in the lower part, and take measures to prevent overpressure in the staircase. If you use the new simultaneous smoke control method of the vestibule and staircase, you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First, it is possible to open the external entrance door. Second, it can reduce the stack effect. Third, the staircase door closes automatically without fail. And a new method of preventing overpressure was proposed for the vestibule.

소방공무원의 현장 활동 위험도 인식 (Recognition of scene activity risks among the firefighters)

  • 김종서;성동원;현성민;갈원모;이동호;박종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05-111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cognition of fire risks on their field operations among firefighters and contribute to setting up safety measures accordingl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ere used to evaluate their recognition of job risks. About 93.4%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have exposed to job risks and 73.4% answered that they had high safety awareness. Our study showed that the lower service years and ranks the fire officers had, the lower relevance in statistics their awareness of the risk of the field operations and safety concerns had. The vulnerable group is those aged 20 to 39, with under 10 years of service, at a lower rank of senior fire sergeant. The study suggests coming up with the measures to motivate the officers to perform safe operations by improving their safety awareness.

화재로 인한 국가 중요 문화재 보호대책 연구 (Fire due to an important national cultural protection measures research)

  • 이정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3년 춘계학술대회
    • /
    • pp.485-500
    • /
    • 2013
  • Cultural assets of the country's history and cherish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people, conscious and cohesive crystals, and the pride of the hearts of the people as a haven. In the country worth preserving national treasure, bomulgeup, local cultural heritage as a major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re. Cultural properties, etc. Most are wooden, is vulnerable to fire, and, moreover battling to far away from the city and due to the geographical conditions are very challenging aspects. The national cultural assets, such as the many temples, vows to fire one if the loss of a centuries-old cultural property is a big loss of national posterity to great shame is not. Still cultural assets and a large number of visitors have flocked temples. All of us to keep the look and feel of the cultural assets pleasure to conserve cultural assets preserved to ensure that fire prevention is always unmistakably bear in mind that sees.

  • PDF

화재 위험성을 중심으로 한 건축물 용도별 한국형인명안전기준의 개선안 도출에 관한 연구(II)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ife Safety Codes for High Fire Risk Building Applications (II))

  • 구인혁;김혜원;진승현;이병흔;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5-76
    • /
    • 2022
  • In Korea, the occurrence and risk of similar fires are high, so setting up fire prevention measures through fire case investigation is considered the most basic measure in securing human safe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status and related regulations of Life Safety Codes for High Fire Risk Building Applications In the future, using this as basic data, it is considered that additional research is need to development Human Safety Standards in Korea.

  • PDF

화재 위험성을 중심으로 한 건축물 용도별 한국형인명안전기준의 개선안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ife Safety Codes for High Fire Risk Building Applications)

  • 구인혁;김혜원;진승현;이병흔;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8-89
    • /
    • 2021
  • In Korea, the occurrence and risk of similar fires are high, so setting up fire prevention measures through fire case investigation is considered the most basic measure in securing human safe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status and related regulations of Life Safety Codes for High Fire Risk Building Applications In the future, using this as basic data, it is considered that additional research is need to development Human Safety Standards in Korea.

  • PDF

소규모 건설현장 화재 위험요인 안전관리 운영실태 분석 (Analysis of Safety Management Operations of Fire Risk Factors in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 문필재;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775-785
    • /
    • 2022
  • 이 연구는 소규모 건설현장 근로자의 화재안전관리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이들이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실무적 기초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소규모 건설공사현장 근로자는 건설기능인력의 연령대가 고령자이고, 종사경력은 건설기능력이 짧았으며, 직종은 대다수가 건축공종에 작업을 하고 있으며, 고용형태는 비정규직 일당제로 근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둘째, 소규모 건설공사현장 근로자들의 화재안전관리 개선방안으로 화재 위험성 요인에 대한 허가와 관리를 체계화하고, 화재위험관리를 위해 소방안전관리자를 배치하여 관리감독하는 장치가 필요하겠으며, 화재시 다양한 피난통로 확보와 화재 발생을 건설공사 현장 내 모든 작업자들에게 알릴 수 있는 비상경보설비를 갖추고, 피난경로 접근과 시야 확보가 취약한 지하공간에 대해서는 간이피난유도선과 비상조명등을 임시소방시설로 설치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실적인 대피훈련, 화재VR훈련, 흥미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산업재해를 줄이는 방안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