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engineering

검색결과 6,927건 처리시간 0.032초

선진각국의 내화설계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Resisting Construction Design in Advanced Nation)

  • 김화중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7-30
    • /
    • 1988
  • In Our Country, the fire safety design is done by the standard furnace fire test. This is haphazard procedure, as the standard furnace fire endurance of structural elements has little relation to the structural element endurance in an actual Compartment fire. The standard furnace fire test results, though obtained at great cost, do not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 of structural elements in an elevated temperature environment and can not be applied rationally in fire safety design. The response of a steel an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 fire is a very complex problem. Therefore, in this paper is explained about tendency of study for fire safety design in advanced nations.

  • PDF

국제 표준화 기구의 내화공학설계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on Fire Engineering Design of ISO)

  • 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73-75
    • /
    • 2008
  • Fire engineering design method based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buildings has been developed through all of the worlds since the early 1960's. But recently the worlds have been changed rapidly in aspects of global community and mutural free trade circumstances. Therefore the concepts of fire design on structural performance need to harmonize among countries that have their own unique regulations and ISO TC 92 and SC 4 have worked in order to make the united international standard.

  • PDF

옥상녹화가 전기화재에 미치는 영향 (An Affect Results of Electrical Fire at the Green Roof)

  • 박선영;오재훈;문종욱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 /
    • pp.33-36
    • /
    • 2010
  • 현대 사회의 도시가 고밀도로 개발되면서 녹지공간의 축소로 인하여 이상기온 현상 즉 열섬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기온현상인 열섬현상의 해결방안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는 건축물의 옥상녹화시 건축물의 온도 저감효과가 건축물 화재의 발화원인 중 하나인 전기화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건축물의 성능적 내화설계 평가 요소기술 개발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Element for Fire Engineering Design)

  • 권인규;김흥열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10-414
    • /
    • 2009
  • Performance based fire engineering design should be developed through basic survey and fundamental element such as analytic program for evaluation of fire performance of building. The basic elements will be expressed to the surveys of the structures of building laws, regulation and the fundamental elements consist of technical guidances contained design fires, heat analysis, determin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 PDF

폐유리를 활용한 축광소재 개발 (An Affect Results of Electrical Fire at the Green Roof)

  • 박효석;오재훈;박선영;신해웅;문종욱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09-212
    • /
    • 2011
  • 2003년 대구지하철화재를 보면 각종 대형 화재사고에서 법정 피난유도(유도등, 조명등)만으로는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 및 정전에 의하여 피난방향을 유도할 수 없음이 증명되었으며, 건축 계획적 측면에서의 안전을 확보하였다 하더라도 비상시 유도 설비들이 유도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 할 경우에 화재 상황으로부터 피난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방 설비의 의존이 필요치 않은 자체적인 발광이 가능한 축광 안전용품이 필요시 하게 되었으며, 이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존의 축광제품은 휘도가 떨어져 사실상 그 효과가 미미하며, 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지속발광 가능한 축광소재를 개발 하고자 한다.

  • PDF

UL 268 시험화원에 따른 CO센서의 화재감지센서로서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aptability of the CO Sensor as A Fir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Test Fire Source of UL 268)

  • 이춘하;성완기;이종화;김형권;지승욱;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54-63
    • /
    • 2014
  • 본 논문은 CO센서의 화재에 대한 감지특성을 분석 후 화재감지기로서의 적용성 판단을 하기 위한 논문이다. CO센서의 화재감지기로의 적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UL 268에서 규정하고 있는 화재시험실과 유사한 규모의 화재실험장을 설계 제작하고, UL 268에서 제시된 화재시험기준에 준한 실화재실험을 실시하여 화원 종류에 따른 CO센서와 광전식연기감지기의 다양한 화원의 화재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와 연기에 대한 감지특성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종이화원 및 목재화원과 같이 불완전연소로 진행되는 초기화재에서 CO센서가 광전식연기감지기보다 약 2~3배 빠른 감지특성이 나타났다. 특히, 목재훈소화재에서 CO센서의 감지특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