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e roots and very fine root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The Effects of Thinning on Fine Root Distribution and Litterfall in a Pinus koraiensis Plantation

  • Park, Byung-Bae;Lee, Im-Kyun;Yang, Hee-Mo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3호
    • /
    • pp.159-16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nning on fine root biomass and vertical distribution. and litterfall amount in a 50 year old Pinus koraiensis plantation in Chuncheon, Kangwon Province. Fine root (< 2 mm in diameter) biomass ($367\;g/m^2$) in the site 'OC_75', thinning once in 1975, was 68% of those in the site 'CON', no thinning after planting, and in the site 'TC_00', thinning twice in 1975 and 2000.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dead roots among treatments. Diameter $0{\sim}1\;mm$ roots were vertically decreased only in the TC_00 site. The litterfall was very similar between OC_75 ($5.2\;Mg\;ha^{-1}\;yr^{-1}$) and TC_00 ($4.7\;Mg\;ha^{-1}\;yr^{-1}$), but the composition of litterfall was different: The proportion of leaves and branches was 80% and 13% in OC_75 and 56% and 36% in TC_00, respectively. Reduction of P. koraiensis density by thinning decreased leaf litter as well as fine roots of P. koraiensis, but increased fine roots production by neighboring understory plants offset the reduction of fine roots of P. koraiensis. We suggest that belowground as well as aboveground responses, including both over- and understory veget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measure the responses of trees in thinned forest ecosystems.

강원도(江原道) 소나무림(林)의 특성(特性)에 관한 종합적(綜合的) 연구(硏究)(III) -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구육림(構肉林)의 근계(根系) 형태(形態)와 분포(分布)에 대하여 -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Kangwon Province(III) - Studies on the Tree-Root Form and Distribution on the Campus Forest, Kangwon Nat'l Univ. -)

  • 전근우;오재만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8-24
    • /
    • 1994
  • 수목(樹木)의 뿌리는 수목(樹木)의 생장(生長)과 토양(土壤)의 구조개선(構造改善)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하부(地下部)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각 수종(樹種)의 근계(根系)의 발달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그 수종(樹種)의 특성 파악과 뿌리가 지표고정(地表固定)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江原道) 소나무림(林)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일부로서 일차적으로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구내(構內) 소나무림(林)의 근계(根系) 형태(形態) 및 분포(分布)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5개의 공시목(供試木)에 대해 조사한 결과 뿌리의 형태(形態)는 수평근(水平根)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뿌리의 분포(分布)에 있어서 크기별로는 세근(細根)은 대부분이 점재(点在)(+)하고 있었음, 태근(太根)은 0.2cm가 대부분이었다. 깊이별로는 태근(太根), 세근(細根) 모두가 10~30cm에서 60~70% 이상 집중되었으며, 태근(太根)은 주로 0.9cm 이하였고, 세근(細根)은 대부분이 점재(点在)(+)하고 있었다.

  • PDF

강원도(江原道) 소나무림(林)의 특성(特性)에 관한 종합적(綜合的) 연구(硏究)(VI) - 명주군(溟州郡) 왕산면(旺山面) 지역(地域)의 근계(根系) 형태(形態)와 분포(分布)에 대하여 -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Kangwon Province (VI) - Studies on the Tree-Root Form and Distribution in Songhyun-Ri, Wangsan-Myon, Myengju-Gun -)

  • 전근우;오재만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22-39
    • /
    • 1995
  • 본 연구는 "강원도(江原道) 소나무임(林)의 특성(特性)에 관한 종합적(綜合的) 연구(硏究)(III) -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구내림(構內林)의 근계(根系) 형태(形態)와 분포(分布)에 대하여-"에 이어 강원도(江原道) 명주군(溟州郡) 왕산면(旺山面) 송현리(松峴里) 사유임내(私有林內) 소나무임(林)의 근계(根系) 형태(形態) 및 분포(分布)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5개의 공시목(供試木)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뿌리의 형태(形態)는 주근(主根) 및 수평근(水平根)이 수직(垂直)으로 잘 발달하였다. 뿌리의 분포(分布)에 있어서 크기별로는 세근(細根)은 대부분 점재(点在)(+)하였지만, 세근지수(細根指數) 1(+~20%)의 방형구(方形區)도 7개소나 분포하였으며, 태근(太根)의 크기는 직경이 대부분 0.20cm였다. 깊이별로는 태근(太根), 세근(細根) 모두 지표(地表)의 10~30cm 부근에 50%이상 집중되어 있었다.

  • PDF

퇴비시용과 전정 방법이 수체생육, 과실 품질 및 포도원 토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ost Application and Pruning method on Vine Growth, Fruit Quality and Vineyard Soil)

  • 이준배;고광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6호
    • /
    • pp.753-754
    • /
    • 1999
  • 화학비료의 시용은 토양의 산성화를 가중시키고 포도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본 실험의 결과 퇴비의 시용은 포도 뿌리로 흡수되는 질소량을 낮추어 주며 토양질소 함량, 토양 pH, 토양 유기물함량, 세근의 발생량을 높여 주었다. 장초전정은 포도나무 생육을 감소시켰으며, 특히 웨이크만식 수형의 'Campbell Early'에서 장초전정은 단초전정보다 생육감소가 심해 자체 수형유지가 곤란하였다. 본 실험결과 '캠벨 얼리', '거봉', '쉐리단' 포도원의 퇴비시용은 수체생육을 감소시켰으나 토양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근군분포의 표면화와 세근의 발달을 증가시켰다.

  • PDF

인삼 뿌리 부위별 및 모상근 세포주간 ginsenoside 양상 및 함량 (Patterns and Contents of Ginsenoside in Normal Root Parts and Hairy Root Lines of Panax ginseng C. A. Meyer)

  • 양덕춘;양계진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85-489
    • /
    • 2000
  • 생장이 우수한 인삼모상근 세포주 (KGHR-1, KGHR-5, KGHR-8) 및 6년생 인삼근의 부위별로 ginsenoside 양상 및 생성특성을 조사하였다. 인삼모상근 및 6년생 인상근에서 ginsenoslde-Rb$_1$, Rb$_2$, Rc, Rd, Re, Rf, Rg$_1$, Rg$_2$을 확인하였으며, 인삼모상근 세포주간 및 인삼근 부위별로 ginsenoside의 함량은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8종류의 ginsenoside함량이 가장 높은 인삼모상근은 KGHR-1 세포주로 17.42 mg/g dry wt와 함량을 나타내었다. 모상근세포주 KGHR-1은 ginsenoside-Rd, Rg$_1$을, KGHR-5는 ginsenoside-Rb$_1$, Rg$_1$을, 그리고 KGHR-8은 ginsenoside-Rd, Re을 상대적으로 많이 생성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ginsenoside-Rf의 생성은 매우 낮았다. 6년생 인삼근의 부위별 ginsenoside의 함량은 주근, 지근, 세근순으로 많았으며, 주근에서 ginsenoside-Rc의 생성은 ginsenoside의 50.99%로써 모상근 세포주의 4.90~6.89%보다 매우 높았다. 6년생 인삼근의 총 ginsenoside에 대한 ginsenoside-Rg$_1$의 비율은 3.43~14.18% 수준으로 주근, 지근, 세근순으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모상관의 17.14~24.43%와 비교할 때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인삼모상근 배양을 통하여 특정 ginsenosides생산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PDF

인공산성비 처리가 백합나무 묘목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Above- and Below-Ground Growth of Liliodendron tulipifera L. Seedlings)

  • 윤준혁;이도형;우관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3호
    • /
    • pp.204-214
    • /
    • 2008
  • 본 연구는 인공산성비 처리가 백합나무 묘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pH 수준을 5.6, 4.9, 3.9, 2.9로 구분하고 묘목에 처리한 후, 지상부와 지하부의 부위별 건중량, 줄기의 길이생장, 토심별 뿌리생장을 조사하여 인공산성비 처리에 따른 백합나무 묘목의 생장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상부의 총건중량은 인공산성비 처리와 토양 종류별로 1% 또는 5% 수준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세 가지 토양에서 모두 인공산성비의 산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상부의 건중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하부의 총건중량은 세 가지 토양에서 모두 인공산성비 처리 간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토양종류에 대해서는 pH 2.9 처리구에서만 유의차가 있었다. 또한, 토양 A와 토양 C에서 pH 수준이 낮아짐에 따라 지하부 건중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줄기생장률은 6월-8월까지 인공산성비 처리(p<0.01)와 토양 종류 간(p<0.01 또는 p<0.05)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세 가지 토양에서 모두 6월에 줄기생장이 큰 폭으로 생장하였다. 또한 pH 3.9 와 pH 4.9 처리구에서는 생장이 오히려 촉진되기도 하였으며, pH 2.9 수준에서는 생장이 억제되었다. 토심 0-7cm와 7-14cm에서의 세근과 미세근량은 pH 수준 간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토심 14-21cm 에서의 세근량은 pH 수준별 처리에 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토양의 종류는 전반적으로 미세근에 대해서만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났다.

적조 방제용 황토살포가 연안 저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ess Application in Coastal Benthic Ecosystem)

  • 박치현;이병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1호
    • /
    • pp.1035-1043
    • /
    • 2006
  • Large scale of fish kills by red tides has been occurred every year in coastal water fisheries of Korea. To suppress red tide spreading out over the south coastal water of the Korean Peninsula large amount of loess has been applied every year because loess is known to be effective in removing red tide organisms. Effects of loess application in ecosystem of underwater near sea shore were investigated with som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oess. Loess used for the red tide reduction consisted of very fine particles, of which size was mostly less than 0.1 mm. Particles of loess blocked light penetration, which is essential for the underwater ecosystem. Loess also pushed pH down by the hydrolysis activities of aluminium and iron It was found that underwater ecosystems where loess was applied near sea shore were devastated. Sea plants such as sea weeds were gone leaving only their roots. Clams and snails were dead under the loess dust blanket. And fishes were not found at all where loess has been sprayed lot long time. It was found that even if loess has some capacity to reduce red tide temporarily, loess application should be slopped to protect underwater ecosystems.

나무의 성장원리를 응용한 건축 디자인에 관한 연구 (Architectural Design Related to the Growth Principles of Tree)

  • 김태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49-57
    • /
    • 2021
  • 본 연구는 자연환경 속에서 스스로 성장하는 나무의 시스템을 통하여, 건축물에 있어서도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 것으로, 나무의 구조, 순환 및 환경반응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실 사례와 문헌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1) 나무의 구조는 지상계와 뿌리조직으로 나뉘며, 가압된 세포막들로 강성을 유지한다. 지상계인 줄기와 크라운에 의한 풍력의 저항은 건축물의 내진구조원리에, 측면 뿌리의 판형 버트레스는 수평트러스 및 현수교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다세포의 블록들은 공기막 구조의 원리에 해당된다. 2) 나무의 순환시스템에 있어서, 나뭇잎의 미세한 기공을 통한 증산작용은 많은 양의 열 방출로 효과적인 냉각 수단이 될 수 있어, 건축물의 냉방에 직접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증산 작용은 물의 양수와 급수, 태양 그늘을 이용한 창문의 자동 개폐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3) 나무의 잎과 꽃에서 읽어낼 수 있는 환경변화에 따른 반응 시스템은 새로운 감지기술과 재료의 사용을 통하여 건축물의 지붕 및 외피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다.

토양(土壤) 산성화(酸性化) 정도(程度)에 따른 독일가문비나무(Picea abies [L.] Karst.) (Root Morphology of Norway Spruce (Picea abies [L.] Karst.) in the Differently Acidified Forest Soils)

  • 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677-684
    • /
    • 2000
  • 본 연구는 토양 특성이 다른 30-40년생 독일가문비나무(Picea abies [L.] KARST) 임분에서 토양 깊이에 따른 뿌리구조 분석을 통하여 뿌리 발달의 차이점과 토양 상태의 상호관계 및 외부 형태적 특징 그리고 기계적 물리적 안정성에 대한 적응범위를 밝히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된 3개 임분에 있어서 독일가문비나무의 뿌리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관찰되었는데, Eberg$\ddot{o}$tzen 임분은 뿌리수가 많고 가늘며 토양 깊이까지 발달한 뿌리구조를 보였으며, Barbis 임분은 Eberg$\ddot{o}$tzen 임분에 비하여 그 수가 적으나 굵고 깊이까지 자라는 뿌리구조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Weidenbrunnen 임분은 반 수직 뿌리와 편평/접시형 뿌리구조를 나타내었다. 뿌리의 수는 Eberg$\ddot{o}$tzen 임분이 74개로 가장 많은 뿌리 수를 보여주었으며, Barbis 임분은 33개, Weidenbrunnen 임분은 57개이었다. Eberg$\ddot{o}$tzen 임분은 수직뿌리에서 평균 57개로 Barbis 임분이 21개이고, Weidenbrunnen 임분 36개에 비하여 월등히 많은 뿌리의 수를 나타내었다. 뿌리의 길이는 Weidenbrunnen 염분이 전체 뿌리길이가 다른 두 임분에 비하여 길게 나타났으며, 수형뿌리의 길이는 수직뿌리에 비하여 그 값이 107m로 매우 큰 값을 나타내었다. 수직뿌리에 대한 수평뿌리의 비는 Eberg$\ddot{o}$tzen 임분이 다른 두 임분(0.5)에 비하여 그 값이 1.2로 높게 나타났다. 전체 뿌리무게는 다른 두 임분에 비하여 Weidenbrunnen 임분이 매우 높은 값을 보여 주였으며, 수명뿌리에 대한 수직뿌리의 비는 0.16으로 다른 두 임분(0.40)에 비해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독일가문비나무 임분에서 나타난 뿌리 발달의 현저한 차이점은 토양의 기계적 물리적 요인보다는 토양 산성화와 같은 화학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뿌리의 발달이 장애를 받아 수직뿌리생장이 저하되고 수분과 영양분의 스트레스로 언하여 상대적으로 수평뿌리가 발달된 결과로 사료된다.

  • PDF

녹화용 다공질 식재 블럭의 개발 (Development in Planting Porous Block for Revegetation)

  • 안영희;최경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9
    • /
    • 2002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make the environmentally affinitive porous planting block for revegetation and to make a effective program for greening plans. The summary is shown below. 1. In order to get stronger intensity and distribute proper porosity in the block for planting, the cements mixed with fine soil were used and the finer in soil grains gives the stronger in intensity of the cements. Use of the furnace slag cements instead of the portland cements showed relatively stronger in intensity of the block. The intensity of the block became stronger when the mixed ratio of the cements to soil is 5 : 1, but the pore space ratio was lower. The percolate pH of the portland cements after one month of treatment was 13.1 but the percolate pH of the furnace slag cements was shown lower. To mold proper porous planting blocks, the proper combination of additives such as the dehydrating agent, elastic agent and adhesives into the mixture of cements and soil gives better effectives. 2. After molding the porous planting blocks, it gave a better result when the grains of the filler made of peat moss, upland soil and compound fertilizer were smaller than 2 mm in size. Shaking of the filling materials also gave the better result, but it took more time and cost much more. Therefore, it was better when the filling materials were mixed with water first then flew down for stuffing. 3. It was necessary to cover with soil after seeding or planting on the porous planting blocks. The proper thickness of the soil to help root development and keep moisture is about 3~5 cm. 4. The plants for planting on the porous planting block were required stronger in the growth condition of their roots and their environmental adaptability. The average germination percentage and rate of Platycodon grandiflorum on the porous planting block were 88.8% and 85% accordingly and their rate is very uniform. The germination rates of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and Taraxacum officinale were more than 50%. These grass species,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Lysimachia mauritiana and Scabiosa mansenensis were the suggested biennial grasses in the planting area where exchanging of the seedling or nursery plants was not necessary because their germination rates were 59.3, 45.6 and 40.3% accordingly. Viola kapsanensis, Chrysanthemum sp., Taraxacum sp. and Iris ensata var. spontanea are the grass species that could be used by seeding for greening. However, the germination rate of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Aster scaber and Lythrum anceps were lower than 10%. The coverage ratio of Ixeris stolonifera is more than 80% after 60 days seeding and the root length of most of species are more than 10 cm except Iris ensata var. spontane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because their root developed thicker than other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