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tilizers

검색결과 1,011건 처리시간 0.027초

벼에 대(對)한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비종별(肥種別) 시용효과(施用效果) (Effects of Different Silicate Fertilizers on Rice Plant)

  • 이기상;하호성;안상배;허범량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2-37
    • /
    • 1986
  • 벼에 대(對)한 규회석(硅灰石) 및 광재규산질비료(鑛滓珪酸質肥料)의 시용효과(施用效果)를 검토(檢討)하기 위(爲)해 유효규산함량(有效珪酸含量)이 56ppm정도(程度)인 사양토(砂壤土)에서 3년간(年間)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규회석(硅灰石) 및 광재규산질비료시용(鑛滓硅酸質肥料施用)은 생육초기(生育初期)에는 분얼(分蘖) 및 초장(草長)을 억제(抑制)하나 생육후기(生育後期)에는 분얼수(分蘖數)를 늘리고 초장(草長)을 길게 했었다. 2. 규회석(硅灰石) 및 광재규산질비료시용(鑛滓硅酸質肥料施用)으로 수량(收量)은 증대(增大)되었으며 규회석(硅灰石) 및 광재규산질비료(鑛滓硅酸質肥料施)를 동일량(同一量)으로 시용(施用)했을 때의 수량증대효과(收量增大效果)는 같았다. 3. 수확기(收穫期) 식물체(植物體)의 규산흡수이용율(珪酸吸收利用率)은 광재규산질비료(鑛滓硅酸質肥料) 시용(施用)보다 규회석시용(硅灰石施用)에서 더 높았다. 4. 시험후(試驗後) 토양중(土壤中) 유효규산잔존율(有效珪酸殘存率)은 규회석시용(硅灰石施用)보다 광재규산질비료(鑛滓硅酸質肥料施) 시용(施用)에서 높았다. 5. 시험후(試驗後) 토양중(土壤中)의 유효규산함량증가(有效珪酸含量增加)는 규회석(硅灰石) 및 광재규산질비료(鑛滓硅酸質肥料施)에 관계(關係)없이 0.5N-HCl 가용규산성분함량(可溶珪酸成分含量)으로 1kg/10a 시용시(施用時) 약(約) 2.3ppm 증가(增加)되었다. 6. 식물체(植物體)의 $SiO_2/N$비(比)가 클수록 목도열병(稻熱病) 이병율(罹病率)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

유기질 및 화학비료 시용수준이 도라지의 생육 및 약용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Growth and Medicinal Ingredien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Radix by Organic and Chemical Fertilizers)

  • 전승호;노일래;김영국;전현식;조영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03-417
    • /
    • 2017
  • 이 연구는 도라지의 유기재배를 위하여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 시용수준에 따른 도라지 뿌리의 생육특성 및 사포닌,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뿌리의 길이와 직경은 50% 유기질비료 처리구와 50% 화학비료 처리구가 가장 길거나 굵게 나타났으며, 지근의 수와 뿌리생체중은 50% 유기질비료 처리구에서 가장 많거나 무겁게 나타났다. 사포닌 함량 plantycodin D3 함량에서는 100% 유기질비료 처리구에서 321.7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deapioplatycodin D 함량을 제외한 나머지 사포닌 함량에서 유기질비료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났으며 특히, 유기질비료 시용량이 많을수록 고함량이 나타났다. 사포닌 함량과 항산화성분 deapioplatycodin D와 polyphenol, flavonoid와의 상관관계에서 고도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항산화활성인 ABTS 및 DPPH와의 상관관계에서도 고도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200% 화학비료 처리구(질소기준 3 kg/10a)에서는 고사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Seedling Growth and Yield of Rice as Applying Slow Release Nitrogen Fertilizers Mixed with Seed Bed Soil in Seedling Box

  • Lee, Suk-Soon;Lee, Dong-Woo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89-295
    • /
    • 2001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um level of slow release N fertilizers when total amounts of nitrogen required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in paddy were applied in the soil of seedling box. To evaluate the emergence rate and growth of rice seedlings, five levels of Meister (MS) 10, MS S10, and latex coated urea (LCU) which are equivalent to 0, 40, 60, 80, and 100kg N h $a^{-l}$ were mixed in soil of the seedling box. Emergence rate differed depending on the fertilizers and N levels; in MS 10 plots the emergence rate was 40.8% at 40kg N h $a^{-l}$ and no seedlings were emerged at the higher levels, in MS S10 plots higher than 80% at all the N levels, and decreased with the N levels from 70.0% at 40 kg N h $a^{-l}$ to 59.5% at 100kg N h $a^{-l}$ of LCU. Seedling started to wilt at 40 kg N h $a^{-l}$ of MS 10 and 80 and 100 kg N h $a^{-l}$ N of LCU on the 8th day after sowing, while seedling growth was normal at all the levels of MS S10. Field performance of rice was evaluated at the 0, 30, 60, 90, 120kg N h $a^{-l}$ of MS S10 applied in the soil of seedling box and N was not applied in paddy. Grain yield at 90 and 120kg N h $a^{-l}$ of MS S10 was similar to conventional urea split application (120 kg N h $a^{-l}$), but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30 and 60kg N h $a^{-l}$ of MS S10. Fertilizer N recovery decreased with N levels and the N recovery at 90 kg N h $a^{-l}$ of MS S10 and conventional urea split application were 62.2 % and 44.2%, respectively, with similar grain yield. The optimum level of MS S10 to be applied in seedling box seems to be about 90 kg N h $a^{-l}$ considering grain yield, price of fertilizer, labor applying fertilizer, and fertilizer N recovery.d fertilizer N recovery.

  • PDF

완효성비료의 전층시비가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Whole-layer Application of Slow-release Fertilizer on Growth and Yield of Rice)

  • 박경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99-505
    • /
    • 1992
  • 본 시험은 완효성비료를 이용한 전량기비시비방법을 개선하고자 식양토(덕평통)와 사양토(강서통)에서 완효성비료인 조선완효성비료와 Meister 15를 이용하여 시비방법에 따른 완효성비료의 시용효과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토양별 암모니아태 질소의 용출량은 담수 4일째 사양토에서 95ppm, 식양토에서 60ppm 이었다. 2. 벼 잎색도는 조선완효성비료가 Meister 15보다 낮았고, 시비방법간에는 측조시비구보다 전층시비구에서 높았다. 3. 질소 효율은 Meister 15 > 관행 > 조선완효성비료의 순으로 높았고, 시비방법간에는 차이가 적었다. 4. 단립면적당 경수는 조선완효성비료는 측조시비구가 전층시비구보다 많았고, Meister 15는 전층시비구가 측조시비구보다 많았으며, 간장은 Meister 15 > 관행 > 조선 완효성비료의 순으로 길었고, 시비 방법간에는 전층시비구가 측조시비구보다 길었다. 등숙율은 완효성시비가 관행보다 높았고, 시비방법간에는 전층시비구가 측조시비구보다 낮았다. 5. 수량은 식양토에서 비료간 수량차이가 컸으나, 시비방법간에는 수량차이가 적었고, 사양토에서는 비료간, 시비방법간에 수량차이가 적었다. 6. 이상의 결과에서 Meister 15와 같은 완효성비료는 전층시비법으로 시용하여도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의 시용수준에 따른 시설수박 생육과 토양화학성의 변화 (Application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and Chemical Fertilizer on the Watermelon Growth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Greenhouse)

  • 엄미정;노재종;전형권;권성환;송영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
    • /
    • 2012
  • 시설수박 재배시 안정적 수량확보와 과다시비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유기질비료의 적정 시비기준을 마련하고자 유기질비료인 혼합유박과 혼합유기질비료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유기질비료는 혼합유박이 질소 3.9%, 인산 2.0%, 가리 0.9%, 혼합유기질비료는 질소 4.1%, 인산 2.1%, 가리 1.1%로 수박의 엽면적은 2가지 비종 모두에서 질소기준 0.5배량과 0.3배량 수준의 처리구가 화학비료 단용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엽중 양분흡수량 및 수박의 과중과 당도는 가장 크게 나타났다. 수확 후 시험토양은 2가지 비종 모두에서 밑거름으로 50%와 30% 수준으로 시용하고, 웃거름으로 화학비료를 이용한 경우가 EC, 유효인산, 치환성 칼리 함량이 시험전에 비해 비슷하거나 낮아져 다른 처리에 비하여 시설하우스 토양의 염류집적 우려가 적었다. 이에 따라 시설수박 재배시 혼합유박이나 혼합유기질 비료의 적정시비량은 토양검정 질소시비량의 0.3~0.5배량 수준을 정식전 밑거름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양은 화학비료를 웃거름으로 관비를 통해 공급하는 것이 3~10%의 수량 증가 효과가 있었다.

비료의 성분 및 종류와 묘목과의 관계 연구 I. 생체량, SLA 및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relationship between composition and type of fertilizer and seedling I. Influence on biomass, specific leaf area and chlorophyll content)

  • 황정옥;손요환;이명종;변재경;정진현;이천용
    • 임산에너지
    • /
    • 제22권2호
    • /
    • pp.44-53
    • /
    • 2003
  • 다양한 환경에 적용 가능한 산림용 비료를 개발하고 토양조건에 따라 성분비를 달리하는 주문형 배합비료 개발을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나무, 낙엽송, 상수리나무, 자작나무 등의 1-1 년생 묘목을 대상으로 질소, 인, 칼륨의 함량비가 다른 복합비료와 다른 양의 산림용 고형 복합비료 및 UF 복합비료를 시비하고, 묘목의 생체량, 단위 건중량 당 엽면적(SLA)과 엽 내 엽록소 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시비 후 묘목의 잎, 줄기, 뿌리의 생체량은 각 시비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산림용 고형 복합비료와 UF 복합비료의 2배 처리구에서는 생체량이 증가하였으나 3배 처리구의 경우 오히려 감소하였다. SLA (㎠/g)는 소나무 6:4:1 (N:P:K) 처리구와 낙엽송 3:4:1 처리구에서 각각 59.2와 110.0 등으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반면, 상수리나무와 자작나무는 오히려 대조구가 각각 207.5와 202.0 등으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다. 시비 후 엽록소 함량 (mg/g FW)은 소나무와 낙엽송에서 질소의 비가 2배 높은 6:4:1 처리구에서 각각 0.222와 0.127 등으로써 3:4:1 시비 처리구의 0.211과 0.082 등보다 높게 나타나, 질소 시비가 엽록소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금속 오염 농경지에서 축분퇴비와 인산비료의 혼용시용에 의한 카드뮴 식물이용성 저감효과 (Effect of Phosphate Fertilizer and Manure in Reducing Cadmium Phytoavailability in Radish-grown Soil)

  • 홍창오;김상윤;김필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1-267
    • /
    • 2011
  • 인산에 의한 카드뮴의 식물저감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특성의 두 인산제재인 용과린과 $K_2HPO_4$를 선정하여 축분퇴비와 혼용하여 처리한 후 알타리무 내 카드뮴 흡수특성과 토양 내 카드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K_2HPO_4$는 토양의 pH와 음하전도를 증대시켜 토양 내 유효태 카드뮴 함량과 알타리무내 카드뮴 흡수농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용과린은 토양의 pH와 음하전도를 감소시켜 유효태 카드뮴 함량과 알타리무 내 카드뮴 함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축분퇴비와 인산비료와의 혼용은 인산 제재의 특성에 관계없이 인산비료를 단독으로 시용하였을 때 보다 알타리무 내 카드뮴 흡수농도와 토양 내 유효태 카드뮴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훨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산비료나 축분퇴비의 시용에 의해 토양 내 인산과 카드뮴의 침전반응에 의한 난용성의 카드뮴 화합물의 형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토양의 pH와 음하전도는 토양 내 유효태 카드뮴의 함량과 알타리무 내 카드뮴의 함량과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인산비료와 축분퇴비에 의한 카드뮴의 부동화는 인산과 카드뮴의 직접적인 침전반응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토양의 pH와 음하전도의 증대에 기인된 카드뮴의 흡착증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제주도(濟州道)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 조사(調査) 연구(硏究) -II. 경작년대(耕作年代)에 따른 감귤원(柑橘園)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 변화(變化)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in Cheju Island -II. Variations i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itrus Orchard Soils as a Function of Years of Cultivation)

  • 유순호;송관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1-166
    • /
    • 1984
  • 제주도(濟州道) 화산회토(火山灰土)는 인산(燐酸)을 흡착(吸着), 고정(固定)하는 능력(能力)이 대단히 커서 유효인산(有效燐酸)이 결지(缺之)되기 쉽기 때문에 감귤원(柑橘園)에 Ca과 Mg 함량(含量)이 높은 용성인비(熔成燐肥)를 매년(每年) 다량(多量)으로 시용(施用)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감귤(柑橘)에 효과(效果)가 특(特)히 좋은 가리비료(加里肥料)를 다량(多量)으로 시용(施用)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도(濟州道)에서의 비료(肥料) 시용(施用) 양상(樣相)을 구체적(具體的)으로 살펴보고, 이에 따른 감귤원(柑橘園)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특성변화(特性變化)를 경작년대별(耕作年代別)로 고찰(考察)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전국(全國) 평균(平均)에 비(比)하여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시비량(施肥量)이 제주도(濟州道)에서 더 많을 뿐만 아니라 질소비료(窒素肥料)에 대(對)한 인산(燐酸)과 가리비료(加里肥料)의 시용화율(施用化率)도 더 높았는데, 이러한 경향(傾向)은 감귤원(柑橘園)이 많은 남제주군(南濟州郡)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2. 감귤원(柑橘園)의 경작년대(耕作年代)가 오래될수록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는데, 심토(深土)에서도 그 증가(增加)가 미미하나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3. 감귤원(柑橘園)의 경작년대(耕作年代)가 오래될수록 치환성(置換性) Ca, Mg 및 K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며, 표토(表土)/심토(深土)의 함량비(含量比) 또한 증가(增加)하고 있다. 4. 양(陽)이온 치환용량(置換容量)은 감귤원(柑橘園)의 경작년대(耕作年代)에 따른 변화(變化)가 거의 없는데 반(反)하여 치환성(置換性) 염기(鹽基)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므로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가 높아지고 따라서 pH가 올라가고 있다.

  • PDF

논 토양에서 질소비종이 CH4 배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s on Methane Emission in a Paddy Soil)

  • 이경보;이덕배;김종구;이상복;김재덕;한상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12-219
    • /
    • 2000
  • 논 토양에서 $CH_4$ 배출에 대한 질소비료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요소, 황산암모늄, 완효성비료(LCU)를 시용한후 시기별 $CH_4$ 배출양상 및 용존 $CH_4$ 함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볏짚시용구에서는 벼 생육초기부터 $CH_4$ 배출이 많았으나 간단관개로 인하여 $CH_4$ 배출을 줄일수가 있었다. 벼 생육시기에 따른 $CH_4$ 배출양상은 출수기 무렵에 $CH_4$ flux가 높은 경향이었다. 볏짚 무시용에 비하여 볏짚시용구에서 $CH_4$ 함량이 높았으며 용존 $CH_4$ 함량은 토심 5cm에서 가장 높았으며, 질소 비종별 용존 $CH_4$ 함량은 황산암모늄구에서 가장 낮았다. $CH_4$ 배출계수($g\;m^{-2}day^{-1}$)는 요소구가 0.192, 황산암모늄구는 0.165, 완효성비료(LCU)구는 0.179이었으며 볏짚 시용구에서는 요소구가 0.265, 황산암모늄구는 0.207, 완효성비료(LCU)구는 0.318로서 황산암모늄 시용구에서 가장낮았다.

  • PDF

Changes of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Solution In Paddy Field from Fifty-Eight Years Fertilization Experiments

  • Kim, Myung Sook;Kim, Yoo Hak;Park, Seong Jin;Lee, Chang Hoon;Yun, Sun Gang;Sonn, Yeon Kyu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2-29
    • /
    • 201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onitor the changes in soil solution nutrients and to evaluate their effect on rice uptake and yield. The changes of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addy soil solution were examined from the 58th fertilization experiment in which the continuous rice cropping experiment started in 1954 at th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The treatments were no fertilization (No fert.), inorganic fertilization (NPK), inorganic fertilizer plus rice straw compost (NPKC) and inorganic fertilizer plus silicate and lime fertilizer as a soil amendment (NPKCLS). The fertilizers were added at rates of standard fertilizer application rate in which nitrogen (N), phosphate ($P_2O_5$), potassium ($K_2O$), and sililcate ($SiO_2$) were applied at rates of $75{\sim}150kg\;ha^{-1}$, $70{\sim}86kg\;ha^{-1}$, $75{\sim}86kg\;ha^{-1}$, and $7.5Mg\;ha^{-1}$ respectively and lime was applied to neutralize soil acidity until 6.5. Average Electrical Conductivity (EC) of soil solution in NPKCLS and NPKC ranged from 1.16 to $2.00dS\;m^{-1}$. The $NH{_4}^+$ and $K^+$ levels in NPKCLS and NPKC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treatments, due to high supply power of rice straw compost. The content of $H_3SiO{_4}^-$ was higher in NPKCLS because of silicate application. The dominant ions in soil solution were $Ca^{2+}$, $Mg^{2+}$ and $Na^+$ among cations and $HCO{_3}^-$, $SO{_4}^{2-}$, and $Cl^-$ among anions in all treatments. The continuous application of inorganic fertilizers plus rice straw compost (NPKC) and silicate fertilizer (NPKCLS) led to the changes of various chemical composition in soil solutions. Also, the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rice inorganic uptake and grain yield. Especially, inorganic uptake by rice in NPKC and NPKCL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in NPK plot; 14~46% for T-N, 32~36% for P, 43~57% for K, and 45~77% for Si. Therefore, the combined application of inorganic fertilizers with organic compost as a soil amendment is considered as the best fertilization practice in the continuous rice cropping for the improvement of crop productivity and soil fert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