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relationship between composition and type of fertilizer and seedling I. Influence on biomass, specific leaf area and chlorophyll content

비료의 성분 및 종류와 묘목과의 관계 연구 I. 생체량, SLA 및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 황정옥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손요환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이명종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부) ;
  • 변재경 (임업연구원 임지보전과) ;
  • 정진현 (임업연구원 임지보전과) ;
  • 이천용 (임업연구원 임지보전과)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new fertilizers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Fertilizers with different levels of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and different types and amount of combined fertilizers were used on 1-1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Larix leptolepis, Quercus acutissima, and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Biomass, specific leaf area (SLA) and chlorophyll content of foliage were measured. Biomass of foliage, shoot, and root showed no differences among fertilization treatments. Biomass of double treatments of solid-combination fertilizer and UF combination fertilizer increased whereas those of triple treatments decreased. SLA ($\textrm{cm}^2$/g) of P. densiflora fo. the 6:4:1 treatment and L. leptolepis for the 3:4:1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with 59.2 and 110.0, respectively, but those of Q. arutissima and B. platyphylla var. japonica for the control showed the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with 207.5 and 202.0, respectively. Chlorophyll contents (mg/g) in the foliage of P. densiflora and L. leptolepis fertilized with the 6:4:1 treatment were 0.222 and 0.127, respectively, and these cont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3:4:1 treatment with 0.211 and 0.082,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creased nitrogen fertilization had an effort on increase of chlorophyll contents.

다양한 환경에 적용 가능한 산림용 비료를 개발하고 토양조건에 따라 성분비를 달리하는 주문형 배합비료 개발을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나무, 낙엽송, 상수리나무, 자작나무 등의 1-1 년생 묘목을 대상으로 질소, 인, 칼륨의 함량비가 다른 복합비료와 다른 양의 산림용 고형 복합비료 및 UF 복합비료를 시비하고, 묘목의 생체량, 단위 건중량 당 엽면적(SLA)과 엽 내 엽록소 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시비 후 묘목의 잎, 줄기, 뿌리의 생체량은 각 시비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산림용 고형 복합비료와 UF 복합비료의 2배 처리구에서는 생체량이 증가하였으나 3배 처리구의 경우 오히려 감소하였다. SLA (㎠/g)는 소나무 6:4:1 (N:P:K) 처리구와 낙엽송 3:4:1 처리구에서 각각 59.2와 110.0 등으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반면, 상수리나무와 자작나무는 오히려 대조구가 각각 207.5와 202.0 등으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다. 시비 후 엽록소 함량 (mg/g FW)은 소나무와 낙엽송에서 질소의 비가 2배 높은 6:4:1 처리구에서 각각 0.222와 0.127 등으로써 3:4:1 시비 처리구의 0.211과 0.082 등보다 높게 나타나, 질소 시비가 엽록소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