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tilized eggs

검색결과 391건 처리시간 0.026초

계태아(鷄胎兒)의 산소소비(酸素消費)에 대하여 (Study on Oxygen Consumption of Chick Embryo)

  • 유창준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7-180
    • /
    • 197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obtain more detailed knowledge of the oxygen consumption rate of chick embryo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reasing rate of embryo weight and that of oxygen consumption, of the daily increase of oxygen consumption by that of embryo weight, and of the metabolic rate of the White Leghorn egg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oxygen consumption rate of the chicken embryo at the 3rd day of incubation is 0.8ml/h, STPD.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his value can used as a physiological criterion to classify the fertilized and unfertilized eggs, on the other hand oxygen consumption rate of the fertilized eggs reaches a plateau between the 18th and 20th days. 2. There exists a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the increasing rate of embryo weight and that of oxygen consumption rate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3. There are not exist a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the daily increase of embryo weight and that of oxygen consumption during the whole incubation period. 4. The metabolic rate of chicken embryo(ml/h/g) is highest in the early stage of incubation and it started to decrease sharply until the 8th day follow by slow decrease thereafter.

  • PDF

국내 명태 Theragra chalcogramma 자연채란과 난황흡수까지의 난 발생 (Naturally Collection and Development until Yolk Absorption of Domestic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Fertilized Eggs and Larvae)

  • 서주영;권오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9-54
    • /
    • 2017
  • 우리는 자연에서 포획된 명태 어미를 이용하여 자연채란 시험을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국내 명태 포획과 수정란의 발생 및 부화 후 난황흡수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모든 명태는 삼중자망과 정치망에서 잡혀 당일 해양심층수 수조에 수용하였다. 이 어미 명태는 총 254마리에서 43.0% (86마리)가 2014년 3월에, 57.9%(147 마리)가 고성 남부지역에서 포획되었다. 그리고 주 산란기는 2월이었지만 (91.0% 개체들이 산란기), 6월까지 지속되었다. 포획 후 2015년 2월 4일에서 22일 사이에 12번의 자연채란으로부터 1,640 mL (~820,000개)의 수정란을 확보하였다. 자연채란된 수정란에서 14%(~115,000개)는 발달하지 않고 폐사하였다. 이 살아있던 부유란들은 $5.5{\pm}0.2^{\circ}C$의 해양심층수에서 사육 관리하였다. 이들의 크기는 $1.5{\pm}0.03mm$였다. 자연채취 후 6시간이 경과한 수정란은 2세포기, 24시간 경과 후에는 포배기 단계로 발생하였다. 그리고 자연채란 후 340 시간 경과 시 전장 $5.6{\pm}0.21mm$로 부화하였다. 이들 부화한 자어 길이와 난황의 면적은 $5.2{\pm}0.25mm$$9.5{\pm}1.00mm^2$였다. 그리고 4일이 경과하였을 때 난황은 $2.2{\pm}0.53mm^2$ (부화 당시 대비 $23.1{\pm}5.55%$)로 조사되었다. 결과적으로 우리의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첫 명태 자연채란 사례로 해양심층수 수조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이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한 인공종묘생산과 자원회복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딸기 및 딸기밭 토양의 회충란 오염상 조사성적 (Examination of Ascaris Eggs on Strawberries and Soils of the Strawberry Yards)

  • 윤유선;장병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권1호
    • /
    • pp.35-39
    • /
    • 1971
  • The authors examined the Ascaris eggs on the surface of the strawberries and in the soil of the strawberry yar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Ascaris eggs detected from 870 strawberries grown on strawberry yards was 26, of which 17 eggs were found to be alive. 2. The mean number of Ascaris eggs detected in every 10gm of the soil of strawberry yards was 10.3. The Ascaris eggs were detected over 93% from the yards examined, which had been fertilized with both chemical fertilizer and night soil, or night soil only. 3. No Ascaris eggs was found from strawberries which were produced only with chemical fertilizer. 4. Ascaris eggs were detected 6 from 705 marketing strawberries studied, 3 of them developed to larval stage. 5. when the strawberries were washed by shaking 20 times after kept immersed in water for 10 minutes, the recovery rates of Ascaris eggs after first, 2nd, 3rd, 4th and 5th washing were 60, 87, 96, 99 and 100%, respectively. 6. Besides Ascaris eggs of hook worm and Fasciolidae were also found from the strawberries examined.

  • PDF

실내수조에서 사육한 참조기 배발생 및 자치어의 형태 (Embryonic Developmen Larvae and Juveniles of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Reared in Aquarium)

  • 명정구;김용억;박용주;김병기;김종만;허형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78-484
    • /
    • 2004
  • On 11 June 1991, eggs from the brood stock of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were artificially fertilized using the standard dry method and were hatched. Each of the fertilized eggs (1.1-1.2 mm in diameter) had an oil globule and was transparent and buoyant. The fertilized eggs hatched in a range of water temperatures $(17.5-20.3^{\circ}C)$ 44 hrs after fertilization. The total lengths of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3.1-3.3 mm, and these hatchlings had 31 myotomes (10+21). Melanophores and yellow-brown chromatophores were concentrated on the head, at the ventral part of the yolk, and in the middle of the tail. Four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completely absorbed the yolk and became flexions of 5.1-5.5 mm in total length. Fifteen days after hatching, one spine (the anterior tip of the maxillary) appeared in the upper jaw and three spines developed at the upper parts of the eyes and on the posterior part of the head. At this stage, the larvae were approximately 8.3 mm long. Thirty-nine days after hatching, juveniles (1.9-3.4 mm in total length) had a pointed tail fin. By 66 days after hatching, the juvenile fish (about 4.0-6.5 mm in total length) were similar to adult fish in body shape. The larvae of L. polyactis could b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L. croacea by two distinct characteristics: the large number of vertebrae (28-29), and a relatively small bony ridge on the occipital region of the head.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oxidant Protein from Fertilized Eggs

  • Yang, Shaohua;Tang, Zhengjiang;Tang, ShanShan;Zhang, Tingfang;Tang, Fei;Wu, Yu;Wang, Ying;Wang, Lu Lu;Liu, Guoqi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91-798
    • /
    • 2016
  • Free radicals may attack cells or tissue, leading to chronic diseases, and antioxidant consumption is potentially useful for removing free radicals. Egg proteins may be used as potential sources of antioxidant considering their ability of scavenging free radicals to apply for food or cosmetics industry. In this study, we obtained a natural antioxidant protein from fertilized eggs, which was a dietary supplement in some Asian countries. Meanwhil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se proteins were evaluated using different oxidation systems. With increasing incubation tim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se proteins increased during 15 d of incubation. The samples on day 15 were performed for isolation of antioxidant protein. The protein, named P4-1 (MW, 45 kDa), was isolated and purified by consecutive chromatographic methods. P4-1 contained 17 amino acids, which was determined by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Amino Acid Analyzer. Moreover, the amino acid sequence was highly similar to that of ovalbumin.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showed that the denaturation temperature of P4-1 was $57.16^{\circ}C$. Furthermore, P4-1 suggested high oxygen radical-absorbance activity in ${\cdot}OH$ assays,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was stable at $30-50^{\circ}C$ in acidic and neutral pH. Thus, these results revealed that P4-1 may be a potential resource as a natural antioxidant.

실험실에서 사육된 고랑가리비 Chlamys swiftii 수정란 발생과 유생 성장 (Development and growth in fertilized eggs and larvae of Korea swift's scallop Chlamys swiftii reared in the laboratory)

  • 이주;김이청;김기승;남명모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3-272
    • /
    • 2013
  • 고랑가리비의 산란을 유도하고 수정난의 발생과 유생의 성장과정을 조사하였다. 산란자극 방법으로 광 자극, 간출 자극, 온도 자극, 그리고 간출 후 온도자극을 수온 $16{\pm}0.5^{\circ}C$에서 각각 실시하였다. 광 자극은 암컷 1마리당 700-900천개, 온도 자극은 700-800천개로 적은 산란량을 보인 반면 간출 자극은 700-1,200천개로 높았으며 간출 자극 후 온도자극이 1,000-1,500천개로 가장 높은 산란량을 보였다. 수정율에 있어 광 자극은 암컷 1마리당 71.7%, 온도자극은 73.4%, 간출 자극이 73.6%이었으며 간출 자극 후 온도자극은 76.3%로 가장 높았으나 자극방법에 따른 수정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수정란부터 D상 유생으로의 수온별 발생과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비이커에 ml당 1,000개의 수정란을 수용하고 각각 $8^{\circ}C$, $12^{\circ}C$, $16^{\circ}C$, $20^{\circ}C$$24^{\circ}C$에서 D상 유생으로 발생하는 생존율을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30분 간격으로 관찰한 결과, $8^{\circ}C$$24^{\circ}C$의 실험군이 4.1%와 3.2%로 생존율이 낮은 편이었으며 $16^{\circ}C$에서 32.7%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여주었다. 수정란의 크기는 $72{\pm}2.1{\mu}m$, 담륜자 유생은 $103{\pm}3.8{\mu}m$, D상 유생은 $129{\pm}10.4{\mu}m$, 각정기 유생은 $145{\pm}16.8{\mu}m$, 후기 유생은 $197{\pm}13.6{\mu}m$이었으며 528시간 후에 각장 $245{\pm}15.8{\mu}m$의 초기 부착종묘로 성장하였다.

X선 조사가 닭 유정란 부화과정에 미치는 영향 (Experimental study for the irradiation effect of x-ray on the hatching process of fertilized eggs)

  • 전병규;여진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413-6419
    • /
    • 2013
  •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시기의 닭 유정란에 방사선치료용 선형가속장치를 이용하여 고 에너지 X선을 조사하고, 부화과정 및 생존율, 외형적 기형, 혈액세포의 변화를 관찰하여 방사선 조사가 유정란 부화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 하고자 하였다. 방사선 감수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 되는 5일째에 고 에너지 10 MV-X선을 5개의 유정란을 한 군으로 설정한 실험군에 각각 5, 7.5, 10 Gy를 조사하고 부화기에 입란 하였다. 매일 검란을 실시하여 20일간의 부화과정을 관찰하고 부화 예정 1일 전에는 방사선촬영을 실시하여 부화상태와 전체 골격 형성을 확인하였다. 부화 된 병아리는 방사선촬영과 혈액분석을 실시하였다. 부화율은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80, 46.7%이고, 조사선량 별 부화률은 대조군과 5, 7.5, 10 Gy 에서 각각 80, 100, 40, 0% 로 조사선량이 증가 함에 따라 부화율은 감소하였다. 기형발생률은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0, 60% 이다. 조사선량 별 기형 발생률은 5, 7.5, 10 Gy 에서 각각 20, 80, 80% 이다. 미부화란의 인공 파각 후 좌측날개, 안구돌출, 발, 목뼈 기형이 나타났으며,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형발생률이 증가 하였다. 백혈구 평균치는 대조군, 5, 7.5 Gy에서 각각 87.64, 100.76, 81.42 ($10^3/{\mu}L$) 으로 나타났다. 고에너지 X선에 의한 직, 간접적 손상인 부리 이상, 눈 결손, 계태사, 혈액성분의 변화를 확인 하였다. 특히 조사선량이 높을수록 부화율과 백혈구의 평균수치가 감소하였으며, 기형의 발생률과 계태사가 증가 하였다. 기형 발생의 원인은 염색체 이상으로 추정된다. 향후 고 에너지 X선 조사에 따른 기형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한 지속적인 유전학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경골어류 시클리드과 Golden severum, Convic cichlid 및 Discus의 수정란 난막 미세구조 비교 (Comparative Ultrastructures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s in Golden severum, Convic cichlid and Discus, Cichlidae, Teleost)

  • 등영건;류동석;김동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4호
    • /
    • pp.417-432
    • /
    • 1997
  • The structures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 in three species of cichlidae, golden severum (Cichlasoma severum var.), convic cichlid (Cichlasoma nigrofasciatum) and discus (Symphysodon aequifasciatus) were investigated by routin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es. The fertilized eggs of all three species were of the non-transparent, ellipsoidal, adhesive and non-floted type. The egg envelopes have a single micropyle, which is thought to the pathway of sperm in the area of the animal pole. In golden severum, an outer surface of egg envelope was covered by a reticular layer, that of convic cichlid was covered by an amorphous reticular layer and that of discus was covered by a branched reticular layer. The fertilized egg envelopes consisted of two distinct layers, an adhesive outer layer and an inner layer, consisted of lamellae alternating with interlamellae of lower electron density, in all three species; an inner layer of golden severum was $15\sim17$ layers, that of convic cichlid was $14\sim16$ layers, and that of discus was $18\sim19$ layers.

  • PDF

동종품 교배와 이품종교배를 교번한 이중교배의 차대잠형질에 관한 연구(III) - 교배순서와 차대잠산란순서 - (The relation of copulating order and eggs laying order.)

  • 김윤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7권
    • /
    • pp.39-42
    • /
    • 1967
  • 가잠이중교배에 있어서 차대잠산란순서를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배순서에 의하여 양웅성 잠품종의 수정란이 순서적으로 산란하는 것이 아니고 초산란구에 제 2차교미 잠품종의 수정란이 도의와는 반대로 종산란구에 제 1차교미잠품종의 수정란이 섞여서 산란됨을 알았다. 따라서 제 1차교미 잠품종의 정자와 제 2차교미 잠품종의 정자는 정소내에서 완전히 혼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이중교배에 있어서 수정력의 강도는 잠품종과 교배순서가 지배하며 이 이외에 약간의 원인이 작용한다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