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tility capacity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3초

Exposure to ethylene thiourea degrades the sperm ability of mammals

  • Adikari Arachchige Dilki Indrachapa Adikari;Malavi Arachchi Gamage Nayodya Dananjanee Malavi Arachchi Gamage;Wijesooriya Mudhiyanselage Nadeema Dissanayake;Jung Min Heo;Young-Joo Yi
    • 농업과학연구
    • /
    • 제51권2호
    • /
    • pp.109-121
    • /
    • 2024
  • Mancozeb is a manganese and zinc-containing fungicide that belongs to the ethylene bisdithiocarbamate group and produces ethylene thiourea (ETU) after biotransformation or environmental degradation, which has toxicological hazard owing to its known antithyroid properties. Although mancozeb leads to negative changes in fertility capacity, the effects of ETU are less know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alteration of fertilization competence in boar spermatozoa exposed to ETU. The sperm motility, motion kinematics, viability, acrosome integrity, chromatin stability, an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of sperm subjected to various ETU concentrations (10, 50, 100, and 200 µM) were evaluated after two different incubation times (30 min and 2 hrs). In addition, the relative mRNA expression of the sperm functional proteins was analyzed after exposure to ETU. A dose-dependent motility reduction was observed in sperm exposed to ETU during both incubation periods compared to the controls. The motion kinematics were reduced significantly in sperm incubated with ETU. Higher percentages of viable sperm were observed in the controls, while such viability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sperm with 10 - 200 µM ETU. The acrosome integrity was particularly damaged on sperm incubated with 10 - 200 µM ETU for 30 min. Higher intracellular ROS levels were produced in sperm exposed to 200 µM ETU. In addition, lower relative levels of AKAP3, AKAP4, ODF2, and ZPBP2 expression were observed in sperm exposed to ETU compared to the controls. Mancozeb and ETU could adversely affect the reproductive functions of mammals. Hence, the effects of ETU on the reproductive system should be examined further.

중국 길림성 백성지역 흑개토의 이화학성 및 인산 흡착 특성 (Physical-chemical Properties and Phosphorus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Soils in Baicheng, China)

  • 김성애;이상모;최우정;류순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92-96
    • /
    • 2001
  • 농경지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은 중국 길림성 백성지역의 주요한 토양인 흑개토의 이화학성 및 인산 흡착특성을 조사하였다. 토지 이용방식 또는 재배작물이 서로 다른 중국 길림성 백성지역 4곳과 중국 용정에 위치한 연변 대학교 농과대학 부속 시험장 1곳에서 1993년 8월에 토양을 채취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중국 길림성 백성지역 토양의 $_PH$는 미경작지 10.2, 경작지는 $7.3{\sim}7.6$으로 비교적 높았다. 양이온 치환용량은 20 cmol(+) $kg^{-1}$ 이상이었으며, 치환성 양이온 중 Na는 특히 표토에 많이 존재하였으며, Ca의 함량이 매우 높아 Ca 포화율이 100% 이상을 나타내었다. 토양 포화 침출액의 주요 양이온은 Na이었으며, ECe와 SAR을 기준으로 백성 미경작지 토양은 염류-나트륨성 토양, 경작지 토양은 나트륨성 또는 일반 토양에 해당하였다. 백성지역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은 10mg P $kg^{-1}$ 미만으로 아주 낮았으며, 최대 인산흡착량은 $ $ mg P $kg^{-1}$이었다. 길림성 백성지역 토양의 경우 유효인산 함량이 매우 낮아 토양 비옥도 중진을 위한 인산질 비료의 시용과 함께 토양 투수성의 개선 등과 같은 적절한 토양 관리가 필요하며, 용정지역 토양의 경우에는 인산흡착 특성을 고려하여 인의 과잉 축적을 방지하기 위한 인산질 비료의 적정 시용을 권장하여야 한다.

  • PDF

남강댐 수변구역 버드나무류 군락의 식생분석 및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Plant, Soil Physical and Chemical of Salix spp. on the Environment of Namgang Dam Reservoir)

  • 박재현;김기흥;이석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2호
    • /
    • pp.161-16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 저수지 일원의 버드나무류 군락의 현황 및 문제점을 조사 분석하고, 버드나무류의 생장 특성분석 결과를 기초로 남강댐 저수지 일원의 버드나무류 군락의 특성과 토양의 이화학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조사대상 4개 지역 전체의 평균본수는 5,284본/ha로 조사대상지역 모두 밀도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개 조사대상지역의 평균수관면적은 9,786.4 $m^2/ha$로 진양호 수변구역에서 버드나무류의 수관이 차지하는 면적은 단위면적을 거의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인 산림지역의 평균토심 12.5 cm와 비교할 때 조사대상 4개 지역의 평균토심은 78 cm로 대조구인 산림지역과의 평균토심은 약 65.5 cm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퇴적토사의 깊이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진양호수변구역의 버드나무류가 생장하고 있는 토양은 일반적인 산림토양보다 토양용적밀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그만큼 토사퇴적으로 인한 사질토 함량의 증가 등 토양의 경화가 이루어진 결과라 사료된다. 조사지역의 pH는 산림지역의 경우 A층이 5.3, B층이 5.2로 약산성에 해당하나, 조사대상지역의 A층과 B층토양의 pH는 평균 모두 6.7로 주변 산림토양보다 중성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퇴적토사 즉, 진양호에 유입되는 생활하수에 사용되는 세제 성분 및 인근 지역으로부터 유입된 비점오염원이 퇴적된 데 따른 영향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액상우분뇨 시용과 콩과작물의 혼파가 청보리와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ying Cattle Slurry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on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of Whole Crop Barley and Rye)

  • 조익환;황보순;이성훈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19-432
    • /
    • 2010
  • 본 실험에서는 월동작물로 재배되는 청보리와 호밀에 화학비료, 유기질비료 및 가축분뇨의 시용 그리고 콩과작물의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함으로써 토양의 지력향상과 함께 양질의 유기조사료를 확보하여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무비구, 화학비료 인산칼리 시비구, 화학비료 질소인산칼리 시비구, 유기질비료 시용 액상우분뇨 시용구, 액상우분뇨 시용에 헤어리베치 혼파구 및 액상우분뇨 시용에 사료용완두 혼파구 등 7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청보리의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가소화양분총량 수량은 화학비료 질소인산칼리 시비구가 액상우분뇨를 시용한 구를 제외하고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청보리의 조단백질함량은 화학비료 질소인산칼리 시비구(9.8%)와 액상우분뇨 시용과 콩과작물 혼파구(8.6~9.7%)가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보리를 급여시 유기 한우 암소는 액상우분뇨 시용에 콩과작물 혼파구가 연간 ha당 평균 l.7~1.8두를 사육할 수 있다 호밀의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가소화양분총량 수량은 액상우분뇨에 콩과작물을 혼파한 구가 ha당 각각 6.9~7.1, 0.5~0.6 및 4.3~4.4톤으로 나타났다. 호밀의 조단백질함량은 화학비료 시비구가 10.8%로 모든 처리구보다 높았다(p<0.05). 호밀을 급여한 유기한우 암소의 연간 ha당 사육두수는 액상우분뇨 시용에 콩과작물 혼파구가 평균 1.9두를 사육할 수 있다. 단위당 생산수량 및 유기가축 사육능력측면에서 청보리 및 호밀에 대한 가축분뇨의 시용은 화학비료에 준하는 생산성적을 나타내었다. 가축분뇨 시용구내에서 청보리는 헤어리베치와 혼파 시에, 호밀은 사료용완두와 혼파 시에 더 많은 생산수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축분뇨 시용구내 콩과작물과의 혼파는 조단백질수량과 가소화양분총량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가축분뇨 시용과 콩과작물과의 혼파는 유기가축사양 시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 되는 수입유기곡류를 대체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돼지의 체외수정능력과 정자의 Lipid Peroxidation에 있어서 Ascorbic Acid와 Ferrous Sulfate의 영향 (Effects of Ferrous Sulfate and Ascorbic Acid on In Vitro Fertility and Sperm Lipid Peroxidation in the Pig)

  • Park, C. K.;J. Y. Ann;Kim, I. C.;Lee, J. H.;B. K. Yang;Kim, C. I.;H. T. Cheong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17-325
    • /
    • 2001
  • 본 연구는 lipid peroxides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ascorbic acid (Asc; 0.5 mM)와 ferrous sulfate (Fe$^{2+}$; 1 mM)가 돼지 동결-융해 정자의 체외수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동결정액의 융해 처리시 배양액내 Asc/Fe$^{2+}$ (38%)의 동시첨가시 대조구 (27%)에 비해 정자의 첨체반응이 유의적으로 높게 유기되었다 (P<0.05). 정자침입율 또한 Asc/Fe$^{2+}$ (76%)를 동시에 첨가하므로서 대조구 (55%)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한편 정자의 peroxidation은 상기의 처리구에서 maiondialdehyde (MDA)의 생성에 기초를 두고 평가하였는데, 정자의 처리시 Asc/Fe$^{2+}$의 동시첨가에 의해 MDA의 생성이 증가하였으나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sulfhydry1(-SH) group의 용량을 측정한 결과 Asc/Fe$^{2+}$를 동시에 첨가한 실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타처리구와의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또 다른 연구에서 동결-응해정자가 난자의 투명대에 접착하는 정도를 평가한 결과, 대조구와 Asc처리시 Fe$^{2+}$ 처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P < 0.05) 높은 정자의 접착을 나타냈으나 Asc/Fe$^{2+}$의 동시 처리에 의한 정자접착의 증가는 인정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lipid peroxidation의 증가를 야기시키는 Asc/Fe$^{2+}$의 동시첨가는 투명대에서 정자의 접착능력을 증가시키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첨체반응과 침입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벼의 생산력(生産力) 분석(分析) -IV. 토양(土壤) 및 시비생산력(施肥生産力)과 시비효율(施肥效率) (Analysis of productivity in rice plant -VI. Soil and fertilization poductivity and fertilization efficiency)

  • 박훈;안상배;황영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5-42
    • /
    • 1974
  • 기존장려품종 IR 667에 대(對)하여 전국적(全國的)으로 실시한 2년간의 3요소(三要素) 요인시험(要因試驗) 결과로부터 품종간생산력(品種間生産力), 토양생산력(土壤生産力)(지력(地力))과 시비생산력(施肥生産力)(시비(施肥)에 의(依)한 증수량(增水量)을 검토(檢討)하였다. 1. IR 667은 1971년에 19%, 저온장해(低溫障害)가 있었던 72년엔 12%의 증수를 보였으며 이는 수당입수(穗當粒數)가 큰데 기인(基因)하였다. 수량(收量)의 변이계수(變異係數)는 IR667이 적었으나 장려품종이 23% (1971)와 30% (1972)의 포장에서 수량(收量)이 높았다. 2. IR 667은 질소(窒素) 특히 인산(燐酸)과 가리(加里)를 더 많이 요구(要求)하나 시비효율(施肥效率)(증수량(增收量)/시비량(施肥量))은 질소(窒素)에서만 약(約) 4kg 높고 인산(燐酸)은 장려품종보다 떨어지며 가리(加里)는 차이가 없었다. 3. IR 667에서 토양생산력(土壤生産力)은 크지만 토양생산력(土壤生産力)의 최대수량(最大收量)에의 기여도(寄與度)는 적었다. 4. 시비생산력(施肥生産力)의 기여도(寄與度)는 19~33%이며 이중 약(約) 5%만이 인산(燐酸)과 가리(加里)의 기여도(寄與度)였다. 5. 토양생산력(土壤生産力)이 커질수록 포장생산력(圃場生産力)이 커지나 시비생산력(施肥生産力)은 감소하여 지력(地力)의 기여도(寄與度)가 증가(增加)한다. 6. 시비효율(施肥效率)이 개무(皆無)인 비옥도(肥沃度)을 포화점(飽和點) 설정(設定)하고 이를 토양생산력(土壤生産力)(또는 포장생산력(圃場生産力))의 상한지표(上限指標)로 볼 수 있었다.

  • PDF

가축분뇨를 원료로 하는 부산물 비료의 부숙화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변화 (Physical and Chemical Quality of Organic by Product Fertilizers by Composting of Livestock Manure in Korea)

  • 이창호;옥용식;윤영만;김대연;임우길;엄기철;김정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24-229
    • /
    • 2006
  •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는 축산분뇨를 퇴비화 하여 농지로 투입하는 것은 토양의 물리화학성 개선 등의 유효한 효과가 있지만, 적절한 부숙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미부숙 물질을 투여하면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축산분뇨를 이용한 부산물 비료의 제조에 있어서 적절한 부숙도 관리가 중요한 이유이다. 따라서 축산부산물을 주원료로 하고 부재료와 부숙 기간을 7가지 단계로 달리한 부산물비료를 대상으로 부숙화에 따른 화학성의 변화 경향 파악과 색도, 점도, 입도, 용적밀도 등의 물리성 변화를 아울러 조사하여, 부숙도에 대한 판정지표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휴민산 함량, 유기물/질소 비율, 양이온치환용량, 염함량 등의 화학성이 부숙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물리적 특성에서는 수분함량, 입자밀도 및 용적밀도, 입경별 분포, 색도 등이 부숙도의 판정지표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우 번식효율에 대한 Blood Urea Nitrogen과 Body Condition Score의 영향 (Blood Urea Nitrogen and Body Condition Score on Reproductive Efficiency in Korean Cattle)

  • 정영훈;이명식;전기준;장선식;서국현;박정준;이창우;나기준;노규진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3-59
    • /
    • 2004
  • 본 실험은 한우 400두를 공시하여 사양조건에 따른 blood urea nitrogen(BUN)의 농도가 암소의 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body condition score(BCS)가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화본과 식물이 주종인 초지에서 방목을 하였을 때 BUN의 평균농도는 7.39$\pm$2.65 mg/㎗ 이었으며 발정이 육안적으로 확인된 암소의 58.2%가 4∼8 mg/㎗ 사이에 분포하였으며 수태율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2.사사기 농후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BUN의 평균 농도는 12.36$\pm$2.92 mg/㎗이었으며 8∼14 mg/㎗사이에서 높은 수태율을 보였다. 3. BCS가 2.5∼3.5사이에 있을 때 분만 후 발정재귀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으며 수태율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4. 방목기, 사사기에서 BUN과 BCS상호간의 다소의 차이는 있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사양조건에 따라 적정 BUN및 BCS의 수준을 유지할 때 번식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동일비료장기연용 논에서 토양유기탄소의 변동 (Long-term Impact of Single Rice Cropping System on SOC Dynamics)

  • 정원교;김선관;연병열;노재승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92-297
    • /
    • 2007
  •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의 농도 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 에 따른 기후의 변화 및 환경적 영향이 증가하고 있으며 토양내 유기탄소의 축적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등 온실 가스의 감축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들이 연구되어 보고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논의 경우에는 토양유기탄소의 토양 축적에 관한 연구가 매우 적게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주요 경지 이용형태인 논에 대해서도 토양중 탄소를 축적할 수 있는 토양관리 방법의 연구가 매우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동일비료 및 개량제 처리 장기시험 포장에서 퇴비, NPK 비료, 석회, 및 규산등의 처리구별 토양유기탄소의 동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산, 칼리 및 석회의 시용은 장기간 시용한 이후에 처리한 구에서 미처리구에서 보다 토양유기탄소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퇴비 시용구의 경우 퇴비 미시용구에서 보다 퇴비 시용구에서 토양유기탄소의 함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유기탄소축적비율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단일 논 작부체계하에서 장기간 지속적인 퇴비의 시용 결과 토양 중 유기탄소의 효과적인 축적이 이루어 졌다. 따라서 우리나라 논에서 중 유기탄소의 축적을 위하여 퇴비의 지속적인 시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L-Cysteine을 첨가하여 동결-융해한 한우 정자의 생존성과 체외 수정 난자의 분할 (Cleavage of In Vitro Fertilized Oocytes and Viability of Sperm Cryopreserved with L-Cysteine in Korea native cattle)

  • 박보라;이경진;이상희;이은송;정희태;양부근;박춘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3-198
    • /
    • 201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L-cysteine on sperm characteristics and oocyte cleavage in vitro in Korean native cattle. For this study, the freezing of diluted semen were added with Triladyl containing 20% egg-yolk and/or 0, 5, 10 and 20 mM L-cysteine before cryopreservation. The viability in frozen-thawed sperm were estimated by SYBR14/PI double stain, acrosome damage with FITC-PNA, mitochondria intact with Rhodamin123 and hydrogen peroxide($H_2O_2$) level with carboxy-DCFDA by flow-cytometry. The developmental capacity was also assessed with cleavage rates in oocytes fertilized in vitro by frozen-thawed sperm. In results, the sperm via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10 mM and 20 mM concentrations of L-cysteine than other groups (p<0.05). In addition, acrosome dama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10 mM and 20 mM concentrations of L-cysteine than other groups (p<0.05). The mitochondria intact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10 mM and 20 mM concentrations of L-cysteine than other groups (p<0.05). On the other hand, the cleavage rat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0 mM, 5 mM and 10 mM groups than 20 mM concentration of L-cysteine (p<0.05). The oocyte degeneration of oocyt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0 mM, 5 mM and 10 mM groups than in 20 mM L-cysteine group (P<0.05).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among the L-cysteine treatment groups. We suggest that concentration of 10 mM L-cysteine have beneficial impact for sperm cryopreserved in Korean native cattle. This result also could be recommended for artificial insemination program if supported by an improvement in the fertility results and required further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