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soybean sauce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발효 소스의 서양요리 적용에 대한 연구 - 고추장, 된장, 간장, 식초를 중심으로 - (Study on Korean Fermented Sauce applied to Western Cuisine - Focused on Red Pepper Paste, Soybean Paste, Soy Sauce and Vinegar -)

  • 김지형;유은이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3-23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ossibilities of Korean fermented sauces including red pepper paste, soybean paste, soy sauce, and vinegar as ingredients for Western cuisine. Western cuisine professionals from US and Europe were interviewed for their experienced opinions. To classify the categories, the selected statements were given to other groups of foreign chefs, Korean cuisine professionals and students majoring culinary arts. The first category pointed out that Korean fermented sauces are healthy with 'umami' taste using only natural ingredients. They believe it has high possibilities of matching with many of other foods and also has unique tastes. Korean cuisine professionals were mostly occupied in this category. The second category had negative opinions matching with Western cuisines since Korean fermented sauces are rough and have a strong taste & smell. This category had many Western cuisine professionals. The last category was composed of mainly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s. They pointed out that Korean fermented sauces use natural ingredients and have a unique flavor with long-term shelf life. Use of Q methodolog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researched by quantitative methods especially for the Korea food service industry.

Soybean koji와 Rice koji를 첨가하여 발효한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 액젓의 상온 저장 중 이화학적 품질변화 (Changes in the Physiochemical Quality of Sailfin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Sauces Fermented with Soybean Koji or Rice Koji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 전준영;임영선;이미향;김병목;정인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01-108
    • /
    • 2016
  •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physiochemical quality of sailfin sandfish sauces fermented with two kojis during long-term storage at room temperature. Four fish sauces, including a control, were prepared by salt-fermentation with soybean koji (S-koji) or rice koji (R-koji) after autolysis. During storage, for 12 months, the color and levels of amino acids, total volatile base nitrogen (T-VBN) and organic acids but not moisture, salt or total nitrogen levels or pH differed markedly according to fish sauce type. The total nitrogen level was highest in S-koji,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ate of increase in amino acid levels among the four fish sauces during storage. The T-VBN, of autolysis and S-koji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nd R-koji during the entire storage period (P<0.05). The initial organic acid level did not differ among the four fish sauces, whereas it was notably higher in R-koji than in the other sauces at the end of storage. Hunter L, a and b values decreased in all fish sauces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In conclusion, soybean koji may enhance the levels of nitrogen compounds as well as T-VBN in fish sauce, while rice koji reduced the formation of excess T-VBN and increased organic acid levels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Irradiation Detection in Korean Traditional Soybean-Based Fermented Powdered Sauces: Data for Establishing a Database for Regulation of Irradiated Foods

  • Choi, In-Duck;Kim, Byeong-Keun;Song, Hyun-Pa;Byun, Myung-Woo;Kim, Myung-Cheol;Lee, Jong-Oak;Lee, Ho-Joon;Kim, Dong-H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29-33
    • /
    • 2005
  • To facilitate establishing regulations for irradiated foods, Korean traditional soybean-based fermented powdered doenjang (PD), kanjang (PK), kochujang (PKC) and chungkukjang (PC) were irradiated at 1, 3, 5 and 7 kGy, and subjected to irradiation detection analyses as part of establishing a database for detecting irradiated foods.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and electron spin resonance (ESR) were applied as the detection methods. Using PSL analysis, the irradiated PD, PK and PKC could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non-irradiated ones, while irradiation of the PC at 5 kGy or higher was detectable. The ESR spectra of the irradiated PD, PK and PKC exhibited symmetrical multiplet lines, which might be induced from the crystalline sugar, whereas, the PC showed a single signal at the paramagnetic centers. The signal intensity increased with incremental increases of irradiation doses distinguishing the irradiated samples from the control. In addition, the peak height also revealed that irradiation induced an increment in the intensity of single and/or multiplet lines of the ESR signals, resulting in clear confirmation of irradiation. Thus, the data from this study could be used as references for detecting irradiated soybean-based fermented powdered sauces.

제조방법이 다양한 시판 재래 및 양조 간장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Commercial Soy Sauce)

  • 이다연;정서진;김광옥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40-650
    • /
    • 2013
  • Soy sauce, a basic ingredient in Asian cuisine, is made of fermented soybeans, salt, water, and barley or wheat flour.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are not only determined through its main ingredients but also by various flavor compounds produc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ensory attributes of five different commercial soy sauce samples that differ in Meju types (traditional Meju or modified Meju) and usage types. Thirty three sensory attributes, including appearance (1), odor (16), flavor (14), and mouthfeel (2) attributes, were generated and evaluated by eight trained panelis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alysis of variance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nsities of all sensory attributes among the soy sauce samples. Soy sauce made with traditional Meju had high intensity of fermented fish, beany, musty odors and salt, Cheonggukjang, fermented fish flavors. Whereas two soy sauces made with modified Meju were strong in alcohol, sweet, Doenjang, roasted soybean flavors. Two soy sauces for soup made with modified Meju had medium levels of briny, sulfury, fermented odors and bitter, chemical flavors and biting mouthfeel characteristic.

ACE 저해능 및 항산화능이 향상된 발효소스의 제조 (Preparation of Fermented Sauces with Increased ACE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 신유진;김민화;이창권;김현진;김현승;서한극;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538-1542
    • /
    • 2015
  • 장류 발효기술과 유용 천연물을 활용한 프리미엄 발효소스의 개발을 목적으로 소맥분과 콩의 발효물(페이스트 형태), 미더덕 껍질, 뽕잎, 양파 추출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첨가한 발효소스를 제조한 후, ACE 저해능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무첨가 대조구에 비하여 추출물 첨가 발효소스의 ACE 저해능과 라디칼 소거능은 증가하였다. 특히 뽕잎과 양파 추출물을 혼합하여 첨가한 발효소스가 대조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ACE 저해능이 26.92% 증가하였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은 40.66%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항고혈압능과 항산화능을 보유한 고품질 소스의 제조에 소맥분과 콩의 발효물, 뽕잎과 양파 추출물 등이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식 소스류를 통한 한국음식의 세계화 방안 - 세계적인 소스류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through Korean Sauces - Focusing on the Success of World-wide Sauces -)

  • 이은정;문기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08-120
    • /
    • 2012
  • 한국음식은 세계적으로 건강식, 영양학적으로 균형적인 음식들 중 하나이다. 미국, 중국, 일본,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인도, 호주, 영국, 프랑스와 이태리에서는 세계적인 소스류가 있고, 국제화에 대한 마케팅 전략도 수립하고 있다. 위에 언급한 나라에 비해 한국식 소스류의 국제화는 실제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식 소스류를 통한 한국 음식 세계화 방안으로 기존의 한국의 장류인 간장, 고추장, 된장, 쌈장을 해외에 있는 쉐프들(chefs)에게 홍보하는 방안, 고추장, 된장, 쌈장을 기본으로 한 파생소스류를 개발하는 방안, 한국 거주 외국인 쉐프들을 통하여 한식 소스류를 해외에 홍보하는 방안, 기존 한식 소스류를 해외에 홍보하는 방안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또한 정부의 역할, 식품회사의 역할, 조리인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한식조리사들과 양식조리사들에 의한 한식소스류를 활용한 양식 한식 퓨전 메뉴개발, 스위트칠리소스, 가야 잼, 베지마이트와 같은 한국의 대표적 한식 소스류의 개발과 홍보, 기꼬망간장, 이금기소스와 같이 제품의 브랜드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식품회사들에 의한 한국 고유의 소스류의 개발 지속적인 해외 홍보, 한식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을 통한 한식의 세계화 방법도 있을 것이다. 해외에서 스타쉐프 양성, 한식 세미나, 다양한 매체를 통한 홍보 등이 정부 주도하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장류와 고나트륨 한식 대표 음식의 나트륨 함량 및 염도 저감화 기준치 개발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reducing the sodium content and salinity of Korean fermented soybean sauces and representative Korean foods high in sodium)

  • 지앙린;신은경;서정숙;이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2호
    • /
    • pp.185-193
    • /
    • 2019
  • 본 연구는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나트륨 함량과 염도 기준치를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 장류 4종과 고나트륨 한식대표 음식 16종에 대하여 전국 4개 권역, 10개 지역의 가정식, 단체급식과 외식 음식의 1인 분량, 나트륨 함량과 염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식과 단체급식을 위한 나트륨 및 염도의 저감 기준치를 제안하였다. 장류의 저감화 염도 기준으로 간장 12%, 된장 9%, 고추장 5%, 쌈장 6% 이하로 제안하였고, 장류 100 g의 나트륨 함량 기준은 간장 4,500 mg 이하, 된장 3,500 mg 이하, 고추장 2,000 mg 이하, 쌈장 2,500 mg 이하로 제안하였다. 음식군별 나트륨 저감 염도는 국 탕 찌개류에서는 맑은 국류 0.5%, 맑은 탕류가 0.6%, 토장국류, 일반 탕류 및 찌개류 0.7%, 토장찌개류 0.8%로 제안하였다. 어육류의 찜류와 볶음류는 0.9% 이하, 조림류는 1.0% 이하, 채소류를 포함한 기타 조림류는 1.5% 이하, 장아찌류, 배추김치와 총각김치는 모두 1.5% 이하, 건어물 볶음류는 4.0% 이하로 제안하였다. 음식군별 1인분 나트륨 함량 저감 기준은 맑은 국 400 mg 이하, 토장국 500 mg 이하, 맑은 탕류 400 mg 이하, 일반 탕류 550 mg 이하, 토장찌개류 600 mg 이하, 일반 찌개류 450 mg이하, 어육류 찜류 600 mg 이하, 어육류 볶음류 450 mg 이하, 건어물 볶음류 250 mg 이하, 어육류 조림류 350 mg 이하, 채소 조림류 150 mg 이하, 장아찌류, 김치류 (배추김치와 총각김치)는 200 mg 이하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한 장류의 염도와 100 g 당 나트륨 저감 기준 및 고나트륨 한식대표 음식의 1인 분량 및 1인분 나트륨 함량과 염도 저감 기준은 가정식과 단체급식의 저염 조리 시 가이드가 될 것이며, 범국민 나트륨 저감화 교육자료로도 활용되어 나트륨 섭취 저감화 실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Rhizopus stolonifer를 접종한 콩알메주로부터 한식간장의 제조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from Rhizopus stolonifer Inoculated Grain Type Meju)

  • 김동호;강신욱;김승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57-763
    • /
    • 1999
  • R. stolonifer를 접종하여 콩알메주를 제조하고 이 콩알메주로부터 한식간장을 생산하는 공정을 설정하였다. 콩알메주의 최적 발효조건은 온도와 상대습도가 각각 $25^{\circ}C$, 90%인 조건에서 45시간 발효하는 것이었다. 간장의 최적 숙성온도는 $25^{\circ}C$가 적정온도였으며 발효후반의 aeration에 의하여 관능이 향상되었고 R. stolonifer로 제조한 콩알메주만 사용하여 숙성시킨 간장보다는 A. sojae나 B. subtilis로 제조한 콩알메주를 혼합하였을 때에 관능이 향상되었다. 간장을 상품화하기 위한 공정으로 살균, ultrafiltration에 의한 여과, 보존성 등을 제시하고 이를 종합하여 표준화된 콩알메주 및 한식간장 model system의 공정예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공정예를 통하여 일반적으로 메주와 한식간장 발효에 소요되는 $6{\sim}12$개월의 시간을 3개월 이내로 단축할 수 있었고 생산된 제품의 색, 향, 맛 등의 관능평가가 우수하였으며 기술적으로는 자동화가 가능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한식간장의 산업화된 model system으로 제시하였다.

  • PDF

양조간장의 항산화작용 및 항산화성 물질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Soybean Sauce in Lipid Oxidation Process)

  • 문갑순;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37-542
    • /
    • 1987
  • 가열우육과 양조간장의 model system을 조제한 후 $6^{\circ}C$에서 5주간 저장할 때, 우육지방질에 대한 양조간장의 항산화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양조간장의 조합비율을 1/10, 2/10, 3/10, 4/10, 5/10수준으로 달리 했을 때 그 비율이 높을수록, 그리고 발효숙성기간을 0, 2, 4, 6개월로 달리한것들을 조합했을때 숙성기간이 긴 것일수록 항산화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양조간장의 항산화효과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유리아미노산 함량, 총phenol량과 Maillard형 갈색반응 물질 등에 대하여 숙성기간 변화양상을 관찰하고 또 항산화성과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갈변반응 물질이 가장 유력한 항산화효과의 원인 물질로 추정되었으며, 갈변물질과 환원력은 양조간장의 발효숙성 기간에 따라 항산화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한국 전통간장 및 메주 제조공정에 관한 조사 연구 (Surve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raditional Meju for and of Kanjang(Korean Soy Sauce))

  • 이권행;김남대;유진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90-396
    • /
    • 1997
  • Meju is a basis for manufacturing Kanjang, Meju was traditionally prepared at home by different types of process depending on the regional area.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and simplify the process of Meju-preparation for Kanjang of good quality. For these purposes, the process of Meju and Kangjang making as well as analysis of commercial Kanjang, were compared. Generally, traditional Meju was prepared by steeping and dehulling the whole soybean. After steeping for 24hr. soybean absorbed water up to 110~120% of its weight. The soaked soybeans were steamed for 2hr. and cooled to 5$0^{\circ}C$. Cooked soybeans were crushed down to the size of 10~15 mesh and molded. Molded soybeans were dried for 2 days in the air, hung up by rice straw and fermented for 20~30 days under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 On the other hand, commercial soybean koji was made of defatted soybean. Defatted soybeans were steeped in water and steamed for 15~30min at 0.7~1.2 kg/$\textrm{cm}^2$. Steamed and defatted soybean was cooled to 4$0^{\circ}C$. Separately, wheat power was roasted at 200~30$0^{\circ}C$ by wheat roaster. Mixture of steamed defatted soybean and roasted wheat powder (5/5 to 7/3) were inoculated with 0.1~0.2% Aspergillus sojae and incubated for 2 days at 3$0^{\circ}C$ with occasional stirring. 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traditional soy sauces contained the following composition: NaCl, 20.12~25.42%; total nitrogen, 0.64~0.91%; pure extract, 9.47~11.20%; color, 2.34~4.01; pH, 4.92~5.12. Commercial products contained: NaCl, 15.20~17.19%; total nitrogen, 1.25~1.40%; pure extract, 18.17~21.47%; color, 5.41~21.12; pH, 4.51~4.66 and ethalnol. 2.97~3.12%. Organoleptic test on taste, color and flavor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soysauce indicated that most of the consumers prefer commercial products to traditional products. Preferrable formulation of Kanjang based on organoleptic test of soy sauces was assumed as containing; NaCl, 16.0%; total nitrogen, 1.40%; pure extract, 19.97%; color, 12.98; pH, 4.61 and ethanol, 2.9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