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juice lactic and bacteria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9초

유산균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 양파음료의 개발 (Development of Fermented Functional Onion Juice Using Lactic Acid Bacteria)

  • 최유정;김수우;장재권;최영진;박영서;박훈;심건섭;이혜성;정명수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1호
    • /
    • pp.1-7
    • /
    • 2009
  • 최근 양파를 많이 섭취한 사람들의 경우 암, 심혈관계질환 등 노화관련 질환의 발생률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보고가 잇따르면서 건강기능성 소재로서 양파에 대한 소비자들이 인식이 매우 높아져 있다. 현재 양파의 국내 자급률은 100%에 이르기 때문에 양파를 소재로 한 다양한 기능성식품의 개발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시장의 활성화에 밑거름이 될 것이며, 국내외적으로 우리나라 농산물의 고부가가치화를 추구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 입증된 양파를 이용하여 음료의 제조공정 개발 및 최적화시키고자 하였으며, 발효 양파 착즙액에 사과즙, 당, 산, 올리고당 등을 첨가하여 유산 발효 양파음료 시제품을 제조하여 1차, 2차 및 3차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가장 우수한 배합은 양파 착즙액 27%, 사과즙 27%, 액상 과당 3.8%, $\beta$-cyclodextrin 1.86%, 올리고당 0.9%, 사과향 0.2%, 정제수 39.25%였다.

Effect of Additives, Storage Temperature and Regional Difference of Ensiling on the Fermentation Quality of Napier Grass (Pennisetum purpureum Schum.) Silage

  • Tamada, J.;Yokota, H.;Ohshima, M.;Tamaki,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1호
    • /
    • pp.28-35
    • /
    • 1999
  • The effects of addition of celulases (A cremonium cellulolyticus and Trichoderma viride, CE), a commercial inoculum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casei, LAB), fermented green juice (macerated napier grass with water was incubated anaerobically with 2% glucose for 1 day, FGJ) and glucose (G), and regional difference of ensiling on napier grass (Pennisetum purpureum Schum.) silage were studied by using 900 ml laboratory glass bottle silos under 30 and $40^{\circ}C$ storage conditions in 1995 and 1996. Experiment 1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addition of CE, LAB, FGJ and the combinations. Silages were stored for 45 days after ensiling. Experiment 2 studied the effects of applications of CE, LAB, FGJ and G. Experiment 3 was carried out using the similar additives as experiment 2 except for LAB. Silages were stored for 60 days in the experiments 2 and 3. Experiments 1 and 2 were done in Nagoya, and experiment 3 in Okinawa. Sugar addition through CE or G improved the fermentation quality in all the experiments, which resulted in a greater decrease in the pH value and an increased level of lactic acid, while butyric acid contents increased under $30^{\circ}C$ storage condition in CE addition. LAB and FGJ additions hardly affected the silage fermentation quality without additional fermentable carbohydrate. But the combination of LAB, FGJ and glucidic addition (CE and G) improved the fermentation quality. The effect of the regional difference of ensiling between temperate (Nagoya; $35^{\circ}$ N) and subtropical (Okinawa; $26.5^{\circ}$ N) zones on silage fermentation quality was not shown in the present study.

Selection of Starter Cultures and Optimum Conditions for Lactic Acid Fermentation of Onion

  • Choi, You-Jung;Cheigh, Chan-Ick;Kim, Su-Woo;Jang, Jae-Kweon;Choi, Young-Jin;Park, Young-Seo;Park, Hoon;Shim, Kun-Sub;Chung, Myong-S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100-1108
    • /
    • 2009
  • Lactic acid bacteria (LAB) isolated from various fruits and vegetables were screened in order to determine appropriate fermentation starters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fermented onion juice. From the initial screening test comprising more than 700 isolated LAB, 16 isolate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acid production rate. Among the selected isolates, the fermentation broth of KC-007 exhibited the highest electron donating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with values at pH 1.2 of 95.6 and 68.7%, respectively. From the overall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 finally selected the bacterium KC-007 as a fermentation starter. This bacterium was identified and named as Pediococcus pentosaceus based on its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carbon-utilization pattern (as assessed using an API 50CHL kit), and molecular genetic characteristics (as assessed u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16S rRNA gene). The optimal temperature, pH, and starter inoculation concentration (v/v) required for growth of the isolated strain were $40^{\circ}C$, pH 4.0-6.0, and 2%(v/v), respectively.

메주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JBE245 균주의 유전체 서열 분석 (Complete genome sequence of Lactobacillus plantarum JBE245 isolated from Meju)

  • 허준;엄태붕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44-346
    • /
    • 2017
  • 발효 식품에서 널리 발견되는 Lactobacillus plantarum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표현형 및 유전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사과 주스의 malolactic 발효를 위해 선발한 L. plantarum JBE245 (= KCCM43243) 유전체의 전체 염기서열과 주석을 보고한다. 유전체는 2907개의 암호화 된 영역, 45개의 위유전자, 91개의 RNA 유전자를 포함한 단일 원형 염색체로 구성되었으며 그 크기는 3,262,611 bp였다. 이 유전체는 4개의 malate dehydrogenase 및 3개의 malate permease 유전자들과 함께 다양한 종류의 plantaricins 합성 유전자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유전적 특성은 발효 동안 사과 주스의 부패 방지와 사과산(malate)의 젖산(lactate)으로의 효율적 전환이 요구되는 균주의 선발 기준과 잘 부합되었다.

Production of GABA (gamma amino butyric acid) by Lactic Acid Bacteria

  • Kook, Moo-Chang;Cho, Seok-Cheo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77-389
    • /
    • 2013
  • Gamma-amino butyric acid (GABA) is a kind of pharmacological and biological component and its application is wide and useful in Korea specially, becoming aging society in the near feature. GABA is request special dose for the purposed biological effect but the production of concentrated GABA is very difficult due to low concentration of glutamic acid existed in the fermentation broth. To increase GABA concentrate using fermentation technology, high content of glutamic acid is required. For this reason, various strains which have the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 and can convert glutamic acid to GABA, were isolated from various fermented foods. Most of GABA producing strains are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especially added monosodium glutamate (MSG) as a taste enhancer. Optimizing the formulation of culture media and the culture condition, GABA conversion yield and amounts were increased. Finally GABA concentration of fermentation broth in batch or fed batch fermentation reached 660 mM or 1000 mM, respectively. Furthermore formulation of culture media for GABA production developed commercially. Many studies about GABA-rich product have been continued, so GABA-rich kimchi, cheese, yogurt, black raspberry juice and tomato juices has been also developed. In Korea many biological effects of GABA are evaluated recently and GABA will be expected to be used in multipurpose.

유산균의 혼합배양에 의한 무주스의 저장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Radish Juice by Mixed Culture with Lactic Acid Bacteria during Storage)

  • 김정희;김종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56-462
    • /
    • 1999
  • 동치미에서 분리한 유산균 Leuconostoc mesenteroides와 Lactobacillus brevis를 무주스에 접종하여 $25^{\circ}C$에서 2일간 혼합 배양하여 $65^{\circ}C$와 8$0^{\circ}C$에서 각각 30분, 15분으로 열처리하여 25, 15, 5$^{\circ}C$에서 8주동안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처리한 무주스에서는 미생물이 전혀 검출되지 않아 모두 사멸되었음을 알수 있었으며 이화학적 품질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열처리를 하지 않은 무주스의 경우는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pH는 빠르게 감소하고 산소는 빠르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탁도는 열처리하지 않은 경우 5$^{\circ}C$에서는 발효가 지연되어 열처리한 무주스보다 탁도가 낮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를 보면 8$0^{\circ}C$에서 15분 처리한 무주스는 신선한 동치미향이 감소하고 익은맛이 증가하므로 가열살균조건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처리하지 않고 5$^{\circ}C$에서 저장한 무주스가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열처리하지 않은 무주스는 5$^{\circ}C$에서 8주 이상 저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

Anti-adipogenic Effects of Dongchimi Nano Juice in Mouse 3T3-L1 Adipocytes

  • Kong, Chang-Suk;Lee, Sun-Hyun;Seo, Jung-Ok;Park, Kun-Young;Rhee, Sook-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4호
    • /
    • pp.285-288
    • /
    • 2006
  • The anti-adipogenic effect of dongchimi nano juice prepared using a nano-filtering process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leptin and glycerol levels and the expression of 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PPAR\gamma)$ gene as indicators of lipid accumulation or lipolysis. Red pepper powder, seeds of red pepper, garlic, and ginger were added in the preparation of dongchimi. Dongchimi was fermented to reach the optimal fermentation period, followed by nano-filtration in the range of $0.0005\sim0.1\;{\mu}m$. The lactic acid bacteria of dongchimi nano juice were removed completely by a nano-filtering process. Treatment of dongchimi nano juice induced glycerol release in the 3T3-L1 adipocytes and decreased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PPAR\gamma$.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ongchimi nano juice may enhance lipolysis and modulate adipogenesis in 3T3-L1 cells.

밤 용액의 젖산발효 (Lactic Acid Fermentation of Chestnut Broth)

  • 진효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62-168
    • /
    • 2001
  • 분변과 요구르트에서 10주의 젖산균을 분리하여 이중 6주는 Bifidobactria로 4주는 Lactobacilli로 동정하였다. 이들은 이용하여 8% 증숙밤용액을 발효시켰을 때 발효액의 산도는 요구르트보다는 낮았으나 두유를 비롯한 식물성 요구르트보다는 2배이상 높았다. 산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Yeast extract 와 tryptone peptone를 첨가할 때 0.2%와 0.4%의농도에서 가장 높았다. 포도당을 0.5-0.8% 범위의 첨가하였을 때 lactobacilli에 의한 발효액에서는 산생성이 촉진되었으나. bifidobacteria 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시험된 과일과 채소즙 중에서는 당근즙의 첨가가 가장 큰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25% 밤용액에서는 고지추출액에 의한 가수분해는 젖산생성을 크게 촉진하였으나 가수분해하지 않은 8% 밤용액에서는 젖산생성량과 비교하였을 때 산생성 순증가량은 그다지 크지 않았다.

  • PDF

김치에서 분리한 저온성 젖산균의 배양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sychrotroph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소명환;김영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06-515
    • /
    • 1995
  • 저온발효된 김치에서 분리되어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Leu. paramesenteroides, Leu. lactis, Lactobacillus bavaricus 및 Lac. homohiochii로 각각 동정된 저온성 젖산균 60주에 대하여 여러 조건에서의 배양특성들을 조사하였다. 모든 균주들이 $5^{\circ}C,\;10^{\circ}C$$37^{\circ}C$에서 증식하였고, $45^{\circ}C$에서는 증식하지 못하였다. 최적 증식 온도는 Leu. mesenteroides의 균주들은 $33{\sim}34^{\circ}C$이었고, Lactobacillus속의 균주들은 $34{\sim}36^{\circ}C$이었다. Leu. mesenteroides와 Lactobacillus속의 균주들은 모두 초기 pH 4.8 및 4.2에서 증식하였으나 4.0에서는 증식하지 못하였다. Glucose broth에서의 최종 pH는 Leu. mesenteroides의 균주들은 $3.85{\sim}4.10$이었고, lactobacillus속 균주들은 $3.82{\sim}3.99$이었다. 60균주 모두 litmus milk에서 우유를 응고시키지 못하였고, litmus를 환원시키지도 못하였다. Leu. mesenteroides와 Lactobacillus속의 균주들은 모두 에탄올 7% 함유배지와 NaCl 6.5% 함유배지에서 증식하였고, 에탄올 15% 함유배지와 NaCl 10% 함유배지에서는 증식하지 못하였다. 모든 균주들이 pH 3.5인 인공위액과 40%의 담즙액에서 내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Leu. mesenteroides의 균주들은 모두 pH 3.0인 인공위액에서도 내성을 나타내었다. 본 젖산균들의 생리적인 특성은 여러 점에서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에 기재된 내용들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더욱 정밀한 조사를 실시하여 분류학상의 위치를 정확히 밝혀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수박 및 참외 쥬스 제조에 대하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Watermelon and Cantaloupe Melonjuice)

  • 신동화;구영조;김정옥;민병용;서기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5-223
    • /
    • 1978
  • 연간 생산량이 $11{\sim}17$만톤이나 되며 다른 야채류와 같이 생산 기간이 짧고 저장성이 극히 좋지 않은 수박 및 참외를 음료원으로 이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고 아울러 유산 발효 가능성도 시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박 및 참외의 착즙 수율은 각각 56.2% 65.8%였다. 2. 참외 쥬스는 현탁액이 안정하나 수박은 극히 불안하여 24시간 이내에 액즙 분리 현상이 일어났다. 3. 수박 및 참외 쥬스의 선택은 $100^{\circ}C,$ 5분 처리에서 색도에 변화가 없었으며 관능적으로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4. 수박 및 참외 쥬스의 최종 당함량은 $11{\sim}13\;Brix$가 적당하다. 5. 수박 및 참외 쥬스에 영양원의 첨가 없이 유산 발효가 가능하며 저온 살균한 ($90^{\circ}C$ 10분) 쥬스도 잡균의 방해없이 유산 발효를 유도 할 수 있다. 6. 유산 발효 제품에 대한 기호도 조사 결과 수박, 참외 제품 모두 조사자의 60% 정도가 현재 과실 넥타와 비슷하거나 우수 하다고 응답하였으나 향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반응이었다. 7. 유산 발효 제품 보다 수박 및 참외의 천연 쥬스가 더 좋은 반응을 보였다. 8. Peroxidase activity는 일반 적으로 참외가 수박보다 높고 참외에 있어서는 육질부 보다는 씨가 있는 부위가 높다. 9. 수박 및 참외 쥬스에는 heat labile peroxidase와 heat stable peroxidase가 존재하며 수박에 있는 heat stable peroxidase의 z value는 $11^{\circ}C$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