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garlic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64초

향미성 Natto의 Nattokinase, ${\gamma}-GTP$, Protease 활성도와 관능적 평가 (Nattokinase, ${\gamma}-GTP$, Protease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of Natto Added with Spice)

  • 김복란;이상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8-233
    • /
    • 1995
  • 일본의 전통 발효 식품인 Natto의 맛 개선을 위한 연구 목적으로 증자대두에 Bacillus natto(NN-1)를 접종하고 마늘 2%와 고추 oleoresin 0.2%를 각각 첨가한 후, $40^{\circ}C$에서 24시간 발효시켜 제조한 Natto에서의 nattokinase 활성은 전 시험구에서 발효 12시간 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4시간 발효하였을 때의 활성은 마늘과 고추 oleoresin 첨가에 의해 활성도가 약간 낮았다. ${\gamma}-GTP$ 활성은 24시간 발효하였을 때 전 시험구간에 활성도가 비슷하였으며 마늘 2%와 고추 oleoresin 0.2% 첨가에 의해 ${\gamma}-GTP$ 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Protease 활성은 마늘 첨가구에서 발효 8시간에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24시간에는 전 시험구간에서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맛에서는 oleoresin 첨가구와 마늘, 고추 oleoresin 첨가구가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므로 Natto를 제조할 때 고추 oleoresin 0.2%와 마늘 2%, 고추 oleoresin 0.2%를 혼합하여 Natto를 발효시키는 것이 한국인의 입맛에 적합한 Natto의 맛 개선에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산마늘 생즙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Fresh Juice of Wild-Garlic, Allium victorialis L.)

  • 권정은;백운학;정인창;손호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41-54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급 산나물로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울릉도 산마늘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을 위해 산마늘 생즙 및 열처리 생즙의 이화학적인 특성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산마늘은 우수한 영양성분을 가지며, 산마늘 생즙은 $4^{\circ}C$ 저장시 10일 이상 색차변화 없이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산마늘 생즙의 가열 처리시에는 brix, 환원당, total flavonoid의 변화는 미미한 반면, 총당은 25%, total polyphenol은 55% 감소하였으며, pH 감소와 함께 산도가 2배 증가되었다. 산마늘 생즙은 우수한 DPPH 소거능과 환원력을 나타내며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나, 가열처리된 산마늘 생즙은 미약한 환원력과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무처리 및 가열처리된 산마늘 생즙은 항혈전 활성과 $\alpha$-amylase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매우 미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산마늘이 우수한 항산화력 및 항균력을 가지며, 관련 활성성분은 휘발성, 또는 열에 약한 성분으로 추측되었다. 따라서 산마늘을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은 비열 처리공정의 제품으로 제안한다.

효소 발효 자이언트 흑마늘 페이스트를 첨가한 양갱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 (Antioxidative Capac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with Fermented Aged Black Giant Garlic (Allium ampeloprasum L. var. ampeloprasum auct.) Paste)

  • 박초희;김경희;김나영;김성환;육홍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14-102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효소 발효 자이언트 흑마늘 페이스트의 비율(0%, 3%, 6%, 9%, 12%)을 다르게 첨가하여 양갱을 제조하고,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을 평가한 결과, pH는 대조군이 6.79로 가장 높았고, 효소 발효 자이언트 흑마늘 페이스트의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은 대조군이 5.88%로 가장 낮았고, 첨가군이 7.7~11.98%로 효소 발효 자이언트 흑마늘 페이스트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환원당이 점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색도 측정 결과, L값과 b값은 효소 발효 자이언트 흑마늘 페이스트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기계적 조직감은 효소 발효 자이언트 흑마늘 페이스트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낮은 조직감을 나타내었고,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효소 발효 흑마늘 페이스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보였다. 기호도 평가 결과, 효소 발효 자이언트 흑마늘 페이스트 첨가 비율이 3~6%일 때, 모든 평가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9%를 초과함에 모든 기호도가 확연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효소 발효 자이언트 흑마늘 페이스트를 6%까지 첨가하여 양갱을 제조한다면 양갱의 관능적 품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기능성 식품으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천연보존료 복합 황금추출물이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저장성 및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as Natural Preservative on Efficacy and Storage of Lactic Acid-Fermented Garlic Extract)

  • 이희섭;이성진;손요한;유희종;조홍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0-17
    • /
    • 2017
  • 본 연구는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대해 천연보존료인 복합 황금추출물이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미치는 영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복합 황금추출물은 $H_2O_2$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대한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있어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acetaminophen에 의한 급성 간 손상 동물 모델에서 시료에 첨가된 복합 황금추출물은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손상 억제 효능에 있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 고찰할 때 복합황금추출물은 기능성 원료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액상제형 건강기능성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천연보존제로 판단되었다.

흑마늘 발효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ermented Black Garlic)

  • 탁현민;강민정;김경민;강다원;한선규;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527-1534
    • /
    • 2014
  • Lactobacillus rhamnosus로 발효시킨 흑마늘 발효물의 항염증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LPS로 염증 유도된 RAW 264.7 cells를 이용하여 관련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100, 200, 400 및 $800{\mu}g/mL$ 농도에서 세포독성은 유발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은 증가하였다. LPS에 의해 염증 유도된 RAW 264.7 cells에서 흑마늘 발효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NO와 $PGE_2$의 생성 감소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lpha}$, IL-$1{\beta}$ 및 IL-6의 단백질 생성을 감소시켰다. 또한 iNOS, COX-2, NF-${\kappa}B$$I{\kappa}B$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HO-1의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흑마늘 발효물은 염증에 의한 NF-${\kappa}B$의 활성과 TNF-${\alpha}$, IL-$1{\beta}$와 IL-6의 생성을 억제시키고, iNOS 및 COX-2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메커니즘을 통해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혈관내피세포에 부착하는 THP-1에 대한 발효마늘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Fermented Garlic Extract on Adhesion of THP-1 Cells to Bovine Aortic Endothelial Cells)

  • 권오성;송지나;유휘종;박헌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53-560
    • /
    • 2017
  • 마늘은 전통적으로 cycloalliin을 포함한 기능성 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혈관계에서 발효마늘추출물이 어떤 효능을 갖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발효마늘추출물이 내피세포의 단핵구 부착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농도 변화에 따른 실험결과, 발효마늘추출물을 0.1 또는 $1{\mu}g/ml$ 농도로 전처리 하면, LPS에 의하여 촉발되는 소 대동맥 내피세포에 달라붙는 THP-1의 부착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핵구의 내피세포 부착이 염증반응 초기단계에 진행되는 과학적 근거를 고려하면 이와 같은 결과는 발효마늘추출물이 혈관 염증을 저해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세포신호전달물질의 활성변화를 관찰한 결과, 발효마늘추출물이 소 대동맥 내피세포에서 eNOS와 Akt의 활성을 유도함을 알았다. eNOS의 인산화 반응은 발효마늘추출물을 처리한지 10분 후에 최대로 상승되었으며, 이와 유사하게 Akt도 발효마늘추출물을 처리하고 10분 후에서 인산화 반응이 최대로 상승되었다. 산화질소 양 변화 측정에서도 발효마늘추출물은 산화질소의 생성을 상승시켰다. 한편, 산화질소 생성을 저해하는 억제제 처리는 발효마늘추출물에 의해 나타나는 세포부착 저해능력을 감소시켰다. eNOS와 Akt를 매개로 하는 LPS 유도 세포 부착 정도가 발효마늘추출물에 의하여 억제된다는 것은 산화질소가 세포부착에 중요 매개물임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발효마늘추출물은 염증관련 질환을 예방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발효주정 첨가 저염 미더덕(Styela clava) 양념젓갈의 제조 및 품질 (Processing and Quality Analysis of Seasoned Low-salt Fermented Styela clava Supplemented with Fermentation Alcohol for Extended Shelf-life)

  • 황영숙;이현진;황석민;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8
    • /
    • 2021
  • In order to develop value-added low-salt fermented seafood with a long shelf-life, we prepared seasoned low-salt fermented Mideoduck (Styela clava) supplemented with fermentation alcohol (SME). The SME was produced by washing and dewatering shelled Mideoduck, followed by cutting and salting for 24 h at 0℃. The salted Mideoduck was seasoned and fermented with ingredients, including garlic, ginger, monosodium glutamate, red pepper, sesame, sorbitol and sugar, for 7-8 days at 0℃. After adding 3-5% fermentation alcohol, the Mideoduck was packed in a polyester container. The salinity, volatile basic nitrogen, and amino nitrogen content of the SME was 4.5%, 20.9 mg/100 g and 92.0 mg/100 g,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the addition of 3-5% fermentation alcohol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decreased freshness, texture degradation, and growth of residual bacteria. Additionally, the SME had good storage stability and organoleptic qualities when stored at 4±1℃ for 40 days. Therefore, it is suitable for commercialization as a seasoned low-salt fermented product with a long shelf-life.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the SME was 11,774.5 mg/100 g, majorly comprising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arginine, and leucine, and the free amino acid content was 506.4 mg/100 g, majorly comprising hydroxyproline, taurine, and glutamic acid.

침채류의 Textur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연화 방지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Texture of Salted Vegetables and Prevention of Tissue Softening)

  • 이영남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3-169
    • /
    • 1992
  • The changes in the various chemical compositions and textural properties of salted vegetables during salting and fermentation were reviewed with 25 papers published from 1981 to 1991 The changes in the texture of vegetables were largely affected by the properties of pectic substances, and additional factors such as salt type, salt concentration, salting time, temperature, preheating treatment, enzyme, salt mixtures, salt-fermented fish and garlic contents, were concerned complexly.

  • PDF

사료 내 마늘 추출액 첨가가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비특이적 면역반응 및 질병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Garlic Extract on Immune Responses and Diseases Resistanc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승민;전려진;여인규;전유진;이경준;정현도;정준범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5-4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1% 마늘 추출액을 사료에 첨가하여 항균력 시험, 혈액학적 분석 및 어류질병 원인체들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ibrio anguillarum, Streptococcus iniae, Edwardsiella tarda)에 대한 비특이적 면역반응을 조사하였다. 사료에 1% 마늘 추출액을 첨가하여 4주간 넙치에 섭이시킨 후 V. anguillarum, S. iniae, E. tarda을 인위 감염시켜 2주간 누적 폐사율을 관찰하였다. 공격 실험 결과 E. tarda를 제외한 모든 시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낮은 누적 폐사율이 관찰되었다. Hematocrit, glucose, total protein, lysozyme activity 및 macrophage activity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관찰하였다. 3가지 어병세균 (V. anguillarum, S. iniae, E. tarda)을 이용하여 마늘 항균력 및 MIC를 측정한 결과, 이전에 보고된 마늘 분말보다 1% 마늘 추출물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마늘 추출물이 넙치의 V. anguillarum, S. iniae, E. tarda에 대한 비특이적 면역반응 및 질병저항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효소 처리와 유산균 배양에 의한 흑마늘의 항산화 활성 향상 (Improvement of Antioxidative Activity by Enzyme Treatment and Lactic Acid Bacteria Cultivation in Black Garlic)

  • 채희정;박동일;이성철;오철환;오남순;김동청;원선임;인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60-664
    • /
    • 2011
  • 마늘에 가장 많이 함유된 당류를 이용하여 유산균을 배양하기 위하여 흑마늘을 분해하여 당과 폴리페놀 함량을 최대로 증가시키는 상업용 탄수화물 분해효소로 Celluclast를 선별하였다. 또한 김치로부터 흑마늘 효소분해물에서 생육과 산 생성이 우수한 유산균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Lactobacillus pentosus로 동정되었으며, L. pentosus 310-7로 명명하였다. L. pentosus 310-7 균주를 흑마늘 효소분해물에 접종한 후 pH, 적정산도, 젖산균수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분석하였다. 배양액의 pH는 배양 15시간까지 pH 4.24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적정산도는 배양 15시간에 0.35%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젖산균수는 접종 후 7.08 log CFU/g에서 15시간에 7.54 log CFU/g까지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효소처리가 유산균의 증식에는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효소처리 후 L. pentosus 310-7 균주로 15시간 발효시킨 발효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7.23\;{\mu}g$/g에서 $11.47\;{\mu}g$/g으로 약 60%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DPPH radical 소거활성도 향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