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doenjang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6초

Microbiological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Analysis of Fermented Sausage Using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Fermented Foods

  • Jeong, Chang-Hwan;Lee, Sol-Hee;Kim, Hack-Yo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928-941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microbiological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fermented sausage using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GK1, 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NK3, P. pentosaceus SMFM2016-NK3), Doenjang (D1, Debaryomyces hansenii SMFM2021-D1), and spontaneously fermented sausage (S8, D. hansenii SMFM2021-S8; S6, Penicillium nalgiovense SMFM2021-S6). The control was commercial starter culture. Nine treatments were applied [GD (GK1+D1), GS (GK1+S8), GDS (GK1+D1+S8), ND (NK3+D1), NS (NK3+S8), NDS (NK3+D1+S8), GND (GK1+NK3+D1), GNS (GK1+NK3+S8), and GNDS (GK1+NK3+D1+S8)] by mix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and S6 was sprayed. The microbial composition of fermented sausage was analyzed [aerobic bacteria (AC), Lactobacillus spp. (LABC), Staphylococcus spp. (STPC), and yeast and mold (YMC)], and pH and electronic nose and tongue measurements were taken. The AC, LABC, STPC, and YMC values of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tended to increase during fermentation (p>0.05). The STPC values of the GD, GS, ND, and GDS groups were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on day 3. The pH of the control on day 3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GD, ND, and GND groups (p<0.05). Higher levels of 4-methylpentanol, 2-furanmethanol, and propyl nonanoate, which provide a "fermented" flavor, were detected in the GD group compared to in the control and other treatment groups. GD and ND groups showed higher umami values than the control and other treatment group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GD can be valuable as a starter culture unique to Korea when manufacturing fermented sausage.

Phenolic acid가 Maillard 반응 모델액의 갈변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enolic Acids on Inhibition of Browning of Maillard Reaction Model Solutions)

  • 곽은정;임성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0-24
    • /
    • 2007
  • 된장모델로서 0.1M glucose-0.1M glutamic acid 모델을 선정하고 0.2mM $FeCl_{2}$의 존재 하에 갈변억제제인 50mM citric acid와 이의 synergist로 5종의 phenolic acids를 첨가하여 조제한 시료를 $4^{\circ}C$$30^{\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phenolic acids가 갈변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phenolic acids 첨가에 따른 갈변억제효과는$4^{\circ}C$의 저온에서보다 $30^{\circ}C$의 실온에서 저장시 pH의 변화 없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종의 phenolic acids 중에서 hydroxybenzoic acid는 갈변억제능이 가장 높아, 갈변억제능은 $30^{\circ}C$에서 4주간 저장후 phenolic acids 무첨가구보다 13%가 높았다. Caffeic acid와 protocatechuic acid와 같이 OH기가 2개 치환된 phenolic acid는 Maillard 반응의 촉매로 작용하는 철 이온과의 결합능이 높아 Maillard 반응이 보다 더 억제되어 3-DG 및 형광화합물과 같은 중간반응산물의 생성을 가장 억제하였으나, 이들 phenolic acids는 유색의 착체를 형성하여 동일계의 OH기가 0, 1개 치환된 phenolic acids보다 갈변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Hydroxybenzoic acid는 실제 된장에도 사용가능한 첨가물로서 citric acid를 갈변억제제로 사용시 이의 synergist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국산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전통 콩된장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Traditional Doenjang Supplemented with Extracts of Korean Herb Medicines.)

  • 박석규;정회정;김성희;권선화;이상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53-559
    • /
    • 2004
  • 국산 한약재를 이용하여 식품학적 품질 및 기능성이 증진된 전통된장을 개발할 목적으로 여러 종류의 국산 한약재를I∼IV군으로 조합하여 121$^{\circ}C$에서 2시간 동안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담금용 염수에 여러 농도로 첨가한 후 3개월 동안 자연발효시킨 한방 콩된장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한약재 첨가 된장의 일반성분 분석에서 대조구는 수분 61.9%, pH 5.50, 총산도 3.25 ml, 염도 12.6%를 나타내었으나 시험구는 수분 58.2% ∼61.9%, pH 5.32∼5.56, 총산도 3.07∼3.70 ml, 염도 11.7∼13.9%범위로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조단백, 조지방 및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대조구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지용성 갈변도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수용성 갈변도는 I군과 II군은 III군과 IV군에서 매우 높은 경향이었다. 한약재 첨가 된장의 색도 측정에서 명도(L)는 대조구 된장(31.72)에 비하여 I군과 II군의 된장이 낮은 수치(24.32∼27.71)를 나타내어 된장의 색깔이 검은 색을 띄었다. 적색도(a)는 제 I군을 제외한 나머지 된장에서는 대조구보다 약간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황색도(b)는 III군과 IV군의 경우 대조구 된장과 비슷하였으나 I군과 II군은 낮게 나타났다.

콩발효식품에서의 장구균과 항생제 내성특성 (Isolation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Enterococcus spp. from Fermented Soy Paste)

  • 강태미;박종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714-720
    • /
    • 2012
  • 콩 발효식품인 청국장과 된장에서 분리한 $Enterococcus$의 항생제 내성을 평가하고자 31개의 청국장과 17개의 된장으로부터 $Enterococcus$를 분리, 동정한 후 항생제 내성특성을 분석하였다. 모든 청국장 시료에서 119균주, 된장시료에서 4균주, 총 123개의 $Enterococcus$를 분리하였고 가장 많이 분리된 종은 청국장에서는 $E.$ $faecium$ 69균주, $E.$ $faecalis$ 20균주 등이며 된장시료에서 분리한 4균주는 모두 $E.$ $faecium$으로 동정되었다. 총 123개의 $Enterococcus$는 ampicillin, chloramphenicol, penicillin, tetracycline에 내성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erythromycin, ripampin, streptomycin 등에게는 내성이 높은 것으로부터 민감성이 있는 것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청국장에서 분리된 $Enterococcus$의 vancomycin MiC 범위는 0.25~8 ${\mu}g/mL$로 나타났으며, MiC 8 ${\mu}g/mL$ 정도의 낮은 내성균 17균주가 $E.$ $faecalis$, $E.$ $faecium$, $E.$ $gallinarum$, $E.$ $casselifalvus$ 등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모든 분리균주에서 고농도 vancomycin 내성유전자인 $van$A, $van$B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Enterococcus$는 자연환경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만큼 가공식품에는 항생제 내성균주와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가 존재할 수 있으나 이들 청국장, 된장 등의 콩 발효식품 $Enterococcus$에는 주요 항생제에 내성정도가 높지 않아 항생제 안전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제조방법이 다양한 시판 재래 및 양조 간장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Commercial Soy Sauce)

  • 이다연;정서진;김광옥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40-650
    • /
    • 2013
  • Soy sauce, a basic ingredient in Asian cuisine, is made of fermented soybeans, salt, water, and barley or wheat flour.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are not only determined through its main ingredients but also by various flavor compounds produc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ensory attributes of five different commercial soy sauce samples that differ in Meju types (traditional Meju or modified Meju) and usage types. Thirty three sensory attributes, including appearance (1), odor (16), flavor (14), and mouthfeel (2) attributes, were generated and evaluated by eight trained panelis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alysis of variance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nsities of all sensory attributes among the soy sauce samples. Soy sauce made with traditional Meju had high intensity of fermented fish, beany, musty odors and salt, Cheonggukjang, fermented fish flavors. Whereas two soy sauces made with modified Meju were strong in alcohol, sweet, Doenjang, roasted soybean flavors. Two soy sauces for soup made with modified Meju had medium levels of briny, sulfury, fermented odors and bitter, chemical flavors and biting mouthfeel characteristic.

위생캔으로 제조한 상엽첨가 Asp. Rhi. Bac.속 발효된장의 품질평가와 금속물질 함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Quality Evaluation and Metal Content of Asp. Rhi. Bac. sp. Fermented Denjang added Mulberry Leaves in Sanitary Canned.)

  • 허윤행
    • 환경위생공학
    • /
    • 제19권1호
    • /
    • pp.42-49
    • /
    • 2004
  •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fermented soybean, that is, Doenjang with strain ,mold and bactea, added mulberry leaves powder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s follows. 1. The water content of samples was 38.51-50.10%, pH value 5.44-6.21 and total acidity, 2.42-3.13 2. The reducing sugar of content for samples was 7.01-7.24% on contrast mulberry added sample was 8.34-12.11%, Amino-N as contrast 5.96-7.63% mulberry added, 8.34-12.11% 3. In sensory evaluation test, excellent results was 2% added sample than others. 4. The heaby metals analyzed form samples cans, iron, tin and lead content of samples were 5.63-6.03 ppm, 31.70-35.53 ppm and trace.

Flavor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fermented soybean pastes

  • Da-Na Lee;Kyung-Min Lee;Sung-Eun Lee;Tae-Oh Kim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74-384
    • /
    • 2024
  • Soybean paste is a staple food used to make doenjang (DE), cheonggukjang (CGJ), and miso (MI). In this study, solid-phase microextraction follow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as used to identify volatile components in DE, CGJ, and MI,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ir correlation between soybean pastes. Esters and hydrocarbons accounted for more than 55% of the total volatile components. PCA showed that ester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DE; pyrazines were correlated with CGJ; and alcohol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MI. Because DE, CGJ, and MI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ir overall volatile content tended to be similar. However, the main volatile components and fragrances were different. These findings will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to promote quality improvement of soybean-based fermented foods in Korea and Japan.

천일염으로 제조한 된장의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 (Growth-inhibitory Effect of the Solar Salt-Doenjang on Cancer Cells, AGS and HT-29)

  • 이선미;장해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664-1671
    • /
    • 2009
  • 된장제조 시 사용되는 소금의 종류(천일염, 정제염)를 달리하여 제조한 된장을 각각 2개월, 16개월 동안 숙성시켜 소금의 종류 및 발효기간에 따른 된장의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다. 소금의 종류를 달리한 2개월 숙성 된장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모두 정상세포 BJ에 대해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고 오히려 세포성장효과를 지니는 반면 2종의 암세포에 대해서는 높은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최대 처리농도인 1 mg/mL에서 AGS의 경우 천일염된장의 물 추출물은 41%, 메탄올 추출물은 29%의 억제율을 보였고, 정제염된장은 물 추출물에서 29%, 메탄올 추출물은 32%의 억제율을 보였다. 동일 농도에서 HT-29의 경우 천일염된장의 물 추출물은 40%, 메탄올 추출물은 26%의 억제율을 보였고, 정제염된장의 물,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24%, 27%의 억제율을 보여 AGS와 HT-29에 대해 천일염된장의 물 추출물은 억제효과가 매우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천일염과 정제염을 첨가하여 제조한 16개월 숙성 된장의 각각의 추출물의 경우도 모두 정상세포 BJ에 대해 세포성장효과를 보였으며 특이적으로 암세포 AGS와 HT-29에 대해서는 성장억제효과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소금의 종류에 따른 된장추출물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비교해 보기 위하여 최대 처리 농도인 1 mg/mL로 비교해 보면 AGS의 경우 천일염된장의 물 추출물은 50%, 메탄올 추출물은 36%의 억제율을 보였고, 정제염된장의 물 추출물은 32%, 메탄올 추출물은 42%의 억제율을 보였다. 동일 농도에서 HT-29의 경우 천일염된장의 물, 메탄올추출물은 각각 44%, 30%의 억제율을 보였고, 정제염된장의 물,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32%, 35%의 억제율을 보여 16개월 숙성 된장의 경우 천일염된장의 물 추출물이 암세포 성장억제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2개월 숙성 된장에 비교해 16개월 숙성 된장의 추출물이 항암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AGS에 각 된장의 물 추출물을 최대 1m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apoptosis 유발 여부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교해 모든 실험구에서 apoptosis를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천일염된장의 물 추출물(7.00${\pm}$1.15cells)이 정제염된장의 물 추출물(3.00${\pm}$1.15 cells)보다 AGS에 대한 억제효과 및 apoptosis 유발이 더 높게 나타나 위결과로 볼 때 천일염된장이 매우 뛰어난 항암효과를 지님을 알 수 있었다.

장양(藏釀) 기술이 사용된 전통 고숙성 된장에서 유래한 o-Dihydroxyisoflavone 유도체의 생리활성 (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from Highly Aged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by Jang Yang Process and Its Biological Activity)

  • 김동현;박준성;박녹현;문은정;유선혜;김덕희;김한곤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3-208
    • /
    • 2009
  • 된장은 한국의 독특한 발효 식품이며 장양이라 불리는 전통적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숙성 된장에서 새롭게 생성된 성분과 그것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5년 숙성된 된장으로부터 새로운 o-dihydroxyisoflavone인 7,3',4'-trihydroxyisoflavone과 기존에 알려진 두 가지의 o-dihydroxyisoflavone을 각각 분리하여 다른 isoflavone과의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를 비교 측정하였다. Diphenyl-1-picrylhydrazyl (DPPH) 활성 저해 효과는 7,8,4'-trihydroxyisoflavone (compound 1), 7,3',4'-trihydroxyisoflavone (compound 2) 그리고 6,7,4'-trihydroxyisoflavone (compopund 3)은 각각 $21.5{\pm}0.2$, $28.7{\pm}0.4$ 그리고 $32.6{\pm}0.6$ ($IC_{50}$)을 나타낸 반면 daidzein은 이들에 비해 약한 DPPH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Superoxide 소거 효과는 L-ascorbic acid에 비해 compound 1 ($IC_{50}=18.10{\pm}0.2{\mu}M$)과 2 ($IC_{50}=10.54{\pm}0.4{\mu}M$)가 보다 효과적인 반면 compound 3과 daidzein은 이들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melan-a cells에서 o-dihydroxyisoflavone 유도체들의 티로시나제 활성과 멜라닌 생성을 비교 측정하였다. 특히 Compound 1 ($IC_{50}=11.21{\pm}0.2{\mu}M$), 2 ($IC_{50}=5.23{\pm}0.6{\mu}M$)의 경우 compound 3과 daidzein에 비해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또한 멜라닌 생성을 50 % 억제할 때의 결과에서 이들 화합물은 각각 $12.23{\pm}0.7{\mu}M$ (1), $7.83{\pm}0.7{\mu}M$ (2)과 같이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고숙성 된장에서 유래한 7,3',4'-trihydroxyisoflavone은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써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