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ation properties

검색결과 1,202건 처리시간 0.027초

담자균류를 이용한 폐기물연용 밭토양의 건전성 간이평가 (Soil healthy assesment of organic wastes-treated lysimeter by Basidiomycota)

  • 장갑열;원항연;최선규;권순익;김규현;공원식;유영복;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3-49
    • /
    • 2007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평가대상 토양을 증류수로 20배 희석하여 200rpm 으로 30분간 진탕한 후 PDA (감자추출배지)와 혼합하여 $121^{\circ}C$에서 20분간 살균한 후 Coriolus hirsutus (MKACC 50560) 균을 접종한다. 접종완료 후 $25^{\circ}C$에서 5일간 배양한 후 균사 생장을 측정하여 담자균의 균사 생장률 (목적토양에서의 균사생장/PDA 에서의 균사생장${\times}100$)을 계산한다. 이 기준에 따라 균사생장률이 60%이상이 되면 대상 토양은 작물 생육에 적합한 토양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토양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신속한 간이검사를 통하여 소량의 시료를 가지고 단기간 내 대량 분석을 가능하게 하여 토양 건정성 평가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유해균 억제능을 지닌 복합종균을 접종하여 제조한 된장에서 Bacillus cereus 억제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in Doenjang Fermented with Multiple Starters Showi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athogens)

  • 이재용;심재민;이강욱;조계만;김경민;신정혜;김정상;김정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54-260
    • /
    • 2016
  • Doenjang samples were prepared by inoculation of multiple starters consisting of two Bacillus spp., one yeast, and one fungus. Doenjang A was fermented with Bacillus amyloliquefaciens EMD17, B. amyloliquefaciens MJ1-4, Pichia farinosa SY80, and Rhizopus oryzae. Doenjang B and C were fermented with the same yeast and fungus but different Bacillus strains; namely, B. amyloliquefaciens EMD17 and B. subtilis CH3-5 for doenjang B, and B. amyloliquefaciens MJ1-4 and B. subtilis CH3-5 for doenjang C. Doenjang D was fermented with microorganisms present in rice straw (control). The doenjang samples were spiked with B. cereus ATCC14579 at two different levels, 104 CFU/g doenjang (I) and 107 CFU/g doenjang (II). All eight doenjang samples were fermented for 70 days at 25℃. Growth of B. cereus was inhibited in doenjang A, B, and C, with the bacterial cell count after 70 days being less than the initial 104 CFU/g added, whereas B. cereus was not inhibited in doenjang D. Doenjang B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 cereus, with a cell count of less than 103 CFU/g after 42 days, even when B. cereus was initially added at 107 CFU/g. Some properties of the doenjang samples, such as pH, TA, and amino-type nitrogen content, were similar to those of doenjang fermented with starters only. The results indicate that carefully selected starters can effectively prevent the growth of B. cereus during doenjang fermentation.

누룩 및 조효소제가 정치배양 현미식초의 유리아미노산과 휘발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ruks and Crude Amylolytic Enzyme on Free Amino Acid and Volatile Components of Brown Rice Vinegar Prepared by Static Culture)

  • 이수원;윤성란;김귀란;경현규;정용진;여수환;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70-57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누룩 및 조효소제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현미식초의 유리아미노산 및 휘발성 성분에 관한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AV에서는 130.06 mg%로 가장 낮았고, BV, CV, DV, EV는 190 mg% 전후로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효소제를 일부 첨가하여 제조한 현미식초(BV, CV, DV, EV)가 누룩만 첨가하여 제조한 현미식초(AV)에 비하여 필수아미노산 및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전자코분석 결과 발효 24일째 누룩 및 조효소제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발효시킨 AV 및 EV에서 뚜렷한 향기 패턴 차이를 보였고, 누룩 및 조효소제 혼합 비율로 발효시킨 BV, CV 및 DV가 유사한 향기 패턴으로 보였다. 누룩 및 조효소제의 첨가비율에 따른 현미 식초의 주된 휘발성분은 acetic acid, 3-methyl butyl acetate, acetoin, isomayl alcohol 등의 20종으로 검출되어졌다. Alcohol류는 phenylethyl alcohol, isoamyl alcohol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ester류는 ethyl acetate, 3-methyl butyl acetate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제로 누룩 및 조효소제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였을 때 조효소제를 일부 첨가하여 제조한 현미식초(BV, CV, DV, EV)가 누룩만 첨가하여 제조한 현미식초(AV)에 비하여 초산향의 상대적 농도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관능적으로 좋은 향의 상대적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조효소제만으로 발효시 이취성분들도 감소되어지거나 검출되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의 ${\beta}-galactosidase$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beta}-galactosidase$ activity in Lactobacillus plantarum from kimchi)

  • 강미선;이영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1호
    • /
    • pp.60-66
    • /
    • 1996
  •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 Lactobacillus(L.) plantarum 3 균주(strain No.49, No.61, No.75)의 ${\beta}-galactosidase$의 생성을 위한 최적 조건을 검토하고, 효소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효소 ${\beta}-galactosidase$의 최적 생성 조건은 strain No. 49의 경우 탄소원을 dextrose대신에 lactose를, strain No. 75 균주는 galactose를 1.0% 함유한 MRS broth에서, 초기 pH를 6.5로 하여 $30^{\circ}C$에서 48시간 배양하였을 때로 판명되었다. Strain No. 61 균주의 경우는 lactose를 3.0% 함유한 MRS 배지의 초기 pH를 7.5로 하여 실온에서 48시간 배양하였을때가 최적생성조건이었다. 효소의 최적 활성 온도는 $60^{\circ}C,\;37^{\circ}C,\;50^{\circ}C$로 3균주 모두 L. plantarum임에도 불구하고 각각 다른 온도에서 최고 활성을 보였다. 특히, strain No. 61, No. 75는 반응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활성의 감소가 관찰된 반면 strain No. 49는 $60^{\circ}C$의 높은 온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 높은 온도에서도 효소활성이 유지 되는 점은 주목할 만하였으며, 3균주 모두 $45^{\circ}C$까지 90% 이상의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효소의 최적 pH는 3 균주 모두 pH 6.5이었으며, pH 6.0에서 효소활성이 가장 안정하였다.

  • PDF

Probiotics와 Saccharomyces cerevisiae 를 이용한 starter 사용량이 발효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ount of Probiotics and Yeast as Start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 채동진;이광석;장기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652-2659
    • /
    • 2011
  • 생리활성, 물성 및 관능적인 특성 등이 개선된 발효빵의 개발을 위하여 복합 생균제와 제빵효모의 적정 사용량 규명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복합 생균제와 제빵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의 초기 사용량은 각각 1.5 : 0.1(Test 1군), 0.3 : 0.02(Test 2군), 0.15 : 0.01(g/g)(Test 3군)였다. 복합 생균제의 사용으로 반죽내의 생균제 균수는 44~642배 증가하였으며, 반죽의 pH는 산성화 되었다. 복합 생균제를 사용한 반죽의 pH와 비교시, 제빵효모를 사용하여 15시간 발효한 반죽의 pH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스타터균의 사용량을 달리한 세 가지 그룹들 중에서, 빵의 부피와 경도, 식빵껍질의 두께, 기공의 형태, 압박력 지수, 빵의 비용적 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관능평가에서는 발효빵의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Test 2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5). 결과적으로, Test 1군과 Test 3군들보다 Test 2군에서 우수한 제빵특성을 보였다.

저식염멸치젓에서 분리한 단백질분해력이 강한 세균 및 생산된 단백분해효소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the Strong Proteolytic Bacteria Isolated from Low Salt Fermented Anchovy and of Protease Produced by that Strain)

  • 차용준;이응호;이강희;장동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1-79
    • /
    • 1988
  • 미생물에 의해 속성 저식염젓갈을 제조할 목적으로 저식염멸치젓(식염 $4\%$, KCl $4\%$, lactic acid $0.5\%$, 솔비톨 $6\%$ 및 고추가루 알코올추출물 $4\%$)에서 단백질분해력이 강한 미생물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숙성 40일경의 시료를 취하여 skim milk배지상에서 HC ratio 2.5이상인 단백질 분해력이 강한 균주를 선별하여 동정한 결과 A. anaeregenes, B. subtilis, S. saprophyticus 3균주이었으며 모두 pH 7.0, $30^{\circ}C$에서 균증식 및 효소활성이 양호하였다. 이들 균 중 B. subtilisrbs이 비증식속도는 $0.95hr^{-1}$, 12시간 배양후 $89\mu{g}-Tyr/hr.ml$의 효소환성을 나타내어 분리된 균주 중 활성이 가장 좋았으며 산업적 응용성이 기대되었다. 그리고 gel여과법으로 정제한 B. subtilis 프로테아제의 특성은 pH 7.0, $35^{\circ}C$에서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분자량은 23,000으로 추정되었다. 또 카제인을 기질로 하여 효소반응 속도를 측정한 결과 Km값이 $0.73\%$이었다. 효소저해제의 효과에서는 EDTA, o-phenanthroline에 의하여 거의 실활되었으며, 금속 이온으로는 $Fe^{2+},\;Ni^{2+},\;Cu^{2+}$ 이온등에 의해 강하게 저해되는 것으로 보아 metal chelator sensitive neutral protease로 추정되었다.

  • PDF

Aspergillus kawacchii 코지를 이용한 홍게(Chionoecetes japonicus) 어간장의 제조 및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and Processing of Fermented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Sauce using Aspergillus kawachii koji)

  • 김병목;임지훈;정지희;정민정;김동수;이광표;전준영;정인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644-654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quality of fermented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sauce with or without Aspergillus kawachii koji and added salt. Sampl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depending on whether koji was added and the amount of salt: RC15, 15% added salt, no koji; RC20, 20% added salt, no koji; RK15, 15% salt plus 10% koji; and RK20, 20% salt plus 10% koji. The samples were fermented at 20±2℃ for 4 months.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four types of sauce decreased while the crude ash and protein contents increased. The pH of the RK groups decreased and was lower than in the RC groups. The acidity of the RK groups increased and was higher than in the RC groups. Both the total nitrogen (TN) and amino nitrogen (AN) levels increased continuously and were higher in the RK groups than in the RC groups. The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increased rapidly and was higher in the RC groups than in the RK groups. The colo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four groups. The viable cell counts in the four groups increased and no coliforms were detected. The total free amino acid and glutamic acid contents were highest in the RK15 group and the main amino acids in RK15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leucine, phenylalanine, and lysine. Overall accept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RK groups than the RC groups and RK15 ranked highest among the four sauc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spergillus kawachii koji is beneficial for processing fish sauce made using red snow crab.

Aspergillus SP. 균주에 의한 Gluconic Acid 생산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onditions of the Gluconic Acid Production by a Mold isolated from the Soil of Seoul Area)

  • 양호석;김동훈;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3-102
    • /
    • 1980
  • 서울 근교의 토양과 나무잎을 시료로 체취하여 여기서 gluconic acid의 생산성이 우수한 Aspergillus SP. 로 동정된 잠정적으로 KUF-O4로 명명한 균주를 분리하여 여러가지 배양조건으로 gluconic acid 생산성을 연구하였다. 그 실험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양시간은 30시간에서 40시간 사이가 적합하였으며 40시간이 경과되면 오히려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2. CaCo$_3$는 10g/100ml의 Glucose를 배지에서 3g/100ml 이상이 첨가되어야 양호하였다. 3. 탄소원으로서는 Glucose의 chain이 갈수록 불량하였으며 glucose가 가장 적합하였다. 4. 질소원으로서는 NH$_4$태 질소가 NO$_3$태나 유기태 질소보다 우수한 결과이었으며 그 농도는 (NH$_4$)$_2$SO$_4$로서 0.1g/1,000m1 내지 0.5g/1,000ml이었다. 5. 무기염으로서는 KH$_2$PO$_4$와 MgSO$_4$를 소량 첨가시키는 편이 생산성을 향상시켰으며 그 농도는 전자는 0.1g/1,000ml이고 후자는 0.5g/l,000ml 이었다. 한편 미량첨가물로서 Vitamin와 amino acid는 별다른 효과를 인지할 수 없었다. 이상과 같이 KUF-04 균주를 잘 이용한다면 앞으로 gluconic acid를 공업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양하를 첨가한 김치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Yangha (Zingiber mioga Rosc))

  • 김현순;강순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00-407
    • /
    • 2017
  • 본 연구는 양하의 항산화성 활성과 양하를 첨가하여 $4^{\circ}C$에서 21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양하를 첨가한 농도는 5%, 10%, 및 15%를 김치를 제조할 때 첨가하였다. 양하를 첨가한 김치의 품질특성을 보고자 pH, 염도, 무기질 농도, 유산균 함량, 색도변화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양하 1g에는 $3.85{\mu}M$ quercetin 당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양하 1 g에는 $0.49{\mu}M$ quercetin 당량으로 관찰되었다. 양하를 첨가한 김치의 유산균수는 양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특히 10% 첨가한 김치에서 가장 높은 유산균 수를 관찰하였다. 명도의 값은 양하를 첨가할수록 밝기가 밝아지면서 수치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Redness는 양하 첨가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10%와 15% 첨가구에서는 양하 첨가에 의하여 붉은 색은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관능검사에서는 전반적 기호도, 맛, 풍미 및 색의 기호성은 10% 첨가군에서 유의하게 좋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결과 양하는 천연항산화제로서 양하를 첨가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호도를 증가시키는 소재로서 활용가치가 있다.

국산(國産)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의 부식조성(腐植組成) 및 분광학적(分光學的) 특성(特性) (Chemical Properties and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Humic Fractions Isolated from Commercial Organic Fertilizers)

  • 김정제;양재의;신영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4-52
    • /
    • 1996
  • 시판(市販)되고 있는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17 가지를 수거(收去)하여 부식특성(腐植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에 함유(含有) 되어있는 내용물(內容物)의 종류(種類)는 다양(多樣)하였다. 예(例)를 들면 어박(魚粕), 유박(油粕), 주정박(酒精粕), 세르코-D, 부식토(腐植土), 톱밥.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나무 껍질, 돈분(豚糞), 계분(鷄糞), 우분(牛糞), zeolite, 골분(骨粉), 토룡분(土龍糞), 낙엽(落葉), 아미노산 발효(發酵) 부산물(副産物), 석회(石灰), 가축(家畜) 부산물(副産物), 농산(農産) 부산물(副産物) 등등이었다. 물리화학(物理化學) 및 분광학적(分光學的) 특성(特性)은 다음과 같았다. 1.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의 비료가(肥料價)는 유기질비료종류(有機質肥料種類)에 따라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2. 내용물중(內容物中)에는 부식화(腐植化)가 완전(完全)히 이루어지지 않은 유기물(有機物)이 있는 경우(境遇)도 있었다. 이것은 높은 C/N값으로 나타났다. 3. 대체(大體)로 한 가지 시료(試料)에서 추출(抽出)되는 humic acid의 양(量)이 fulvic acid의 양(量) 보다 많았다. 4. 부식화(腐植化)의 진전(進展)에 따라 humin의 상대적(相對的)인 양(量)도 증가(增加)하였다. 5. Total acidity는 phenolic hydroxyl group과 밀접(密接)한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carboxyl group은 hydroxyl group과 alcoholic hydroctyl group과 유의성(有意性) 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6. Humic acid와 fulvic acid의 UV 및 visible light absorption spectrum은 거의 같은 모양이었다. 7. 추출(抽出)된 humic acid의 종류(種類)는 B, P 그리고 Rptype이었다. Humic acid 중(中) 2가지는 B type, 3가지는 P type, 그리고 나머지 12가지는 모두 Rp type에 속(屬)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