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ation degree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8초

Caecal Fermentation, Blood Biochemical Profile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Broiler Rabbits Fed Graded Levels of Neem (Azadirachta indica) Seed Kernel Cake

  • Vasanthakumar, P.;Sharma, K.;Sastry, V.R.B.;Sharma, A.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30-34
    • /
    • 2001
  • The expediency of promoting rabbit production on underutilized by-product feedstuffs prompted the current investigation of caecal fermentation pattern, blood biochemical profile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vital organs in 48 broiler rabbits fed diets containing 0, 5, 10 and 20% level of neem seed kernal cake (NSKC) for 6 weeks and subsequently sacrificed. The NSKC incorporation in the diet did not exert any adverse effect on caecal fermentation although the weight of caecum and its contents was significantly (p<0.01; p<0.05) lower in rabbits fed the diet containing 20% NSKC. Except for blood glucose concentration, none of the blood biochemical constituents (serum urea nitrogen, creatinine, total protein, haemoglobin) and the activities of different enzymes (alanine aminotransferase, asparatate aminotransferase, alkaline phosphatase) varied significantly due to NSKC feeding. A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vital organs (liver, kidney, heart, spleen, lungs, intestine and stomach) revealed a variable degree of villus atrophy in the intestine and degenerative changes in the liver and tubular epithelium of kidney in some rabbits when NSKC was fed at levels above 10%.

Comparison of Digestive Function Among Rabbits, Guinea-Pigs, Rats and Hamsters. II. Digestive Enzymes and Hindgut Fermentation

  • Yu, Bi;Chiou, Peter Wen-Shyg;Kuo, Chung-Y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1호
    • /
    • pp.1508-1513
    • /
    • 2000
  • The aim of this trial was to study the response of laboratory animals including omnivores (rats) and herbivores (rabbits, guinea pigs and hamsters) to the same level of dietary fiber on their digestive enzymes and hindgut fermentation. Ten weanling animals of each of four species, rabbits, guinea-pigs, rats and Syrian hamster, were fed a basal diet of 18% crude protein and 10% crude fiber for six weeks. The digesta and tissue of each intestinal segment were collected to measure the activity of digestive enzymes. Rabbits contained the highest secreted pepsin activity in the stomach, whereas rats contained the highest protease and ${\alpha}-amylase$ activity in the small intestine, and lower fibrous hydrolases in the hindgut than rabbits, guinea pigs and hamsters. The total VFA productions in the caecum and colon were highest in rats, followed by hamsters and rabbits, while the guinea pigs contained the lowest VFA and a different pattern of VFA molar ratio from the other laboratory animals. The degree of hindgut fermentation in these laboratory animals was in reverse to the trend for their fiber digestion.

Highly Time-Resolved Metabolic Reprogramming toward Differential Levels of Phosphate in Chlamydomonas reinhardtii

  • Jang, Cheol-Ho;Lee, Gayeon;Park, Yong-Cheol;Kim, Kyoung Heon;Lee, Do Yup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6호
    • /
    • pp.1150-1156
    • /
    • 2017
  • Understanding phosphorus metabolism in photosynthetic organisms is important as it is closely associated with enhanced crop productivity and pollution management for natural ecosystems (e.g., algal blooming). Accordingly, we exploited highly time-resolved metabolic responses to different levels of phosphate deprivation in Chlamydomonas reinhardtii, a photosynthetic model organism. We conducted non-targeted primary metabolite profiling using gas-chromatography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ic analysis. Primarily, we systematically identified main contributors to degree-wise responses corresponding to the levels of phosphate deprivation. Additionally, we systematically characterized the metabolite sets specific to different phosphate condition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culture time. Among them were various types of fatty acids that were most dynamically modulated by the phosphate availability and culture time in addition to phosphorylated compounds.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추출물이 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

  • 이신호;최우정;임용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9-234
    • /
    • 1997
  • Shizandra chinensis(SC) and Pinus regida(PR)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3 strains(B-5, D-1, A-1) of lactic acid bacteria(LAB) isolated from kimchi among eight kinds of plant extracts such as Shizandra chinensis, Phellodendron amurense, ornus officinalis, Pinus regida, Allium tuberosum, Machilus thunbergii, Cyperus rotundus and Schizonepeta tenuifloia. The growth of LAB was inhibited apparently in modified MRS broth containing 1% Schizandra chinensis at $35^{\circ}C$. Pinus regida showed weaker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isolated LAB than Shizandra chinensis. pH of SC added kimchi did not change greatly compare with control during 25 days of fermentation. Degree of titratable acidity change and ratio of reducing sugar utilization in control were more higher than in SC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Growth of total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was inhibited about 1 to 2 $log_10$ cycle by addition of SC extracts during kimchi fermentation for 10 days at $10^{\circ}C$. Fermentation of kimchi was delaved about 5 to 7 days by addition of 1 or 2% of SC. extract, but sensory quality (falv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SC added kimchi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p>0.05).

  • PDF

김치 발효중 Aspartame의 분해 (Changes of Aspartame during the Fermentation of Kimchi)

  • 유주현;유효상;김명희;유행준;문동상;황규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5-51
    • /
    • 1989
  • 김치 담글 때 감미료로 설탕대신 aspartame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김치에 aspartame을 0.1% 첨가하여 $25^{\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경시적으로 aspartame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첨가된 aspartame의 80%가 김치를 담근 후 20시간 만에 aspartylphenylalanine과 phenylalanine으로 분해되었다. 김치 발효시 aspartame의 분해는 배추 중에 존재하는 효소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젖산균이나 pH에 의한 영향은 10% 이하였다. 그러나, aspartame의 분해는 NaCl의 농도를 높임에 따라 억제되었다.

  • PDF

Aspartame이 김치의 숙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partame on the Quality and Fermentation of Baechu Kimchi)

  • 이강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7-84
    • /
    • 1996
  • 김치의 감미료로서 아스파탐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아스파탐의 첨가량을 0.01-0.08% 범위로 첨가한 후 1$0^{\circ}C$에서 25일까지 숙성시키는 동안 pH, 산도, 텍스쳐, 색상 및 관능검사를 행하였다. 아스파탐 첨가김치는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pH를 보였고, 0.01-0.04%를 첨가한 경우 L값이 대조구보다 높았다. 아스파탐 첨가김치의 a값은 대조구보다 낮았으나 0.06-0.08% 첨가한 것은 높았다. b값은 첨가구 모두가 대조구보다 높았다. 감미와 종합적인 맛은 아스파탐을 0.02% 첨가한 경우가 양호하였으며 산미를 떨어뜨려 가식기간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김치 숙성 중에 아스파탐의 분해에 의 한 감미도 감소보다 산미를 감소시키는 율이 더욱 높았다.

  • PDF

밴댕이 액젓의 숙성 중 성분변화 (Changes of Components in Salt-Fermented Big Eyed Herring, Harengula zunasi Sauce during Fermentation)

  • 임영선;이근우;김건배;최영준;이인수;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88-492
    • /
    • 2001
  • 밴댕이 액젓을 재래식의 방법으로 18개월 동안 숙성시키면서 $2\~3$개월 간격으로 성분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밴댕이육의 가 수분해도는 숙성 5개월까지는 $51.8\%$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분해속도가 둔화되어 숙성 18개월 후에는 $71.5\%$이었다. 총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숙성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숙성기간에 따른 총질소함량의 증가속도에 비하여 아미노태 질소함량의 증가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숙성 6개월 이후 액젓중의 ATP 관련물질은 거의 대부분 ($81.7\sim90.1\%$)이 Hx와 요산이었고, ATP 관련물질 총량은 숙성기간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HxR+Hx 함량과 요산량이 교차하는 숙성 13개월 부근은 가수분해도 $66.6\%$로 높은 분해율을 보이는 지점으로서 경제적인 출하 시점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18개월간 숙성시킨 밴댕이 액젓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8,090.5mg/100mL으로 원료육 총 아미노산 함량 (21,538mg/100g)의 약 $38\%$ 정도였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20.0\%$), aspartic acid ($10.4\%$), alanine ($9.9\%$), lysine ($9.4\%$), threonine ($6.2\%$) 등의 순이었다.

  • PDF

베도라치액젓의 숙성 중 성분변화 (Changes of Components in Salt-Fermented Blenny, Enedrias nebulosus Sauce during Fermentation)

  • 임영선;유병진;이근우;김건배;이인수;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97-301
    • /
    • 2002
  • 베도라치액젓을 옥외의 자연조건 ($25\pm5^{\circ}C$)으로 18개월 동안 숙성 시키면서 2$\~$3개월 간격으로 성분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베도라치육의 가수분해도는 숙성 6개월까지는 $75.6\%$로 큰 폭의 증가를 보였으나, 그 이후에는 분해속도가 둔화되어 숙성 18개월 후에는 약 $89\%$의 질소화합물이 육으로부터 액으로 이행되었다. 액젓중의 총질소 및 아미노산성질소함량, 그리고 ATP 관련물질 총량은 숙성기간에 비례하여 일정하게 증가하였으며, 숙성 2개월부터 ATP 관련물질은 거의 대부분 (80.1$\~$$90.5\%$)이 Hx과 요산이었다. HxR+HX 함량과 요산량이 교차되는 숙성 6.8개월 부근은 $76.5\%$의 높은 분해율을 보여 경제적인 출하시점으로 판단된다. 18개월간 숙성시킨 베도라치액젓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6,096.9mg/100mL으로 원료육 아미노산 총량 (7,555.6mg/100g)의 약 $81\%$ 정도였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16.3\%$), alanine ($10.9\%$), Iysine ($10.8\%$), valine ($9.9\%$), leucine ($9.4\%$) 등의 순이었다.

발효 시간에 따른 소엽종(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 차의 아미노산 함량 변화 및 관능 특성 (Changes in Free Amino Acids and Sensory Evaluation of fermented Tea (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rmentation)

  • 조은자;황지희;양미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911-918
    • /
    • 2007
  • 발효 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차의 일반 성분과 pH, 색도를 측정하고, glutamic acid, arginine, GABA, theanine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관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 찻잎의 일반 성분은 조단백질 32.9%, 조지방 0.9%, 조회분 6.4%, 탄수화물 59.8%였다. pH는 모든 시료에서 발효시간이 길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6시간 발효 시료(S6)와 8시간 발효 시료(S8)는 6.34, 6.25로 낮아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찻물의 색도에서 L값은 발효 시간이 길어질수록 현저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a값은 SN, S4, S6, S8이 각각 -2.25, -2.15, -2.01, -0.21로 측정되어 발효 시간이 긴 시료일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찻잎의 glu. Arg, GABA함량은 발효에 의해 증가 경향이었으며, theanine은 감소 경향이었으나, 발효 정도가 높은 경우에도 잔존량은 발효하지 않은 시료의 69%이었다. 기능성 성분으로서 GABA는 hand rolling 과정이 거듭될 수록, 또한 발효 시간이 길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발효차 제조시 기호적으로 감칠맛을 내는 theanine 함량을 높게 하려면 발효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생리활성(기능성)을 중요시 할 경우에는 발효 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발효 찻잎을 우려낸 찻물의 관능 평가는 S8이 맛과 향에 있어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높게 분석된 아미노산 함량과 관련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포도주(葡萄酒) 제조방법(製造方法)에 관(關)한 비교연구(比較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Red Wine)

  • 변상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3호
    • /
    • pp.139-144
    • /
    • 1980
  • 포도주(葡萄酒)의 제조방법(製造方法)과 품종(品種)에 따른 제품(製品)의 물리(物理)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또 그들의 기호성(嗜好性)에 대(對)한 관능검사(官能(檢査)를 하므로서 평가(評價)한 몇가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원료포도(原料葡萄)의 성분(成分)에서 수분함량(水分含量)은 $90.70{\sim}90.82%$로서 품종간(品種間)에는 차별(差別)이 없고 Brix 당도(糖度) 및 당분함량(糖分含量)은 Muscat Bailey A>Alden>Campbell Early의 순(順)이였다. 적정산도(滴定酸度)는 Muscat Bailey A Alden>Campbell Early의 순(順)이였고 PH 는 Campbell Esrly>Muscat Bailey A Alden의 순(順)이였다. 2) 발효(醱酵)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포도주(葡萄酒)의 비중(比重)은 약간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었다. 3) 포도주(葡萄酒)의 주정도(酒精度)는 초기(初期)에는 효모첨가배양구(酵母添加培養區)>비세척자연발효구(非洗滌自然醱酵區)>세척자연발효구(洗滌自然醱酵區)의 순(順)이였으나 숙성(熟成)이 됨에 따라 차(差)는 적어졌다. 4) 발효액(醱酵液)의 PH는 효모첨가배양구(酵母添加培養區)에 비(比)하여 자연발효구(自然醱酵區)가 약간 낮으나 숙성(熟成)됨에 따라 차(差)가 적어졌다. 5) 총(總) Ester 양(量)은 발효(醱酵) 초기(初期)에는 효모첨가배양구(酵母添加培養區)가 자연발효구(自然醱酵區) 보다 약간 높았으며 발효(醱酵)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전반적(全般的)으로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을 보인다. 6) 발효성(醱酵性)에 따른 관능검사(官能檢査)의 결과(結果) 발효조건(醱酵條件)에 따라서는 효모첨가구(酵母添加區)>비세척자연발효구(非洗滌自然醱酵區)>세척발효구(洗滌醱酵區)의 순(順)이였고 품종(品種)에 따라서는 Alden>Muscat Bailey A>Campbell Early 순(順)으로 우수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