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ation characteristic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18초

발효생강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Fermented Gingers)

  • 천용기;정하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49-254
    • /
    • 2011
  • 생강은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으나 자극적인 향미로 인하여 건강식품 소재로의 사용에는 제약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낙농제품 및 김치 유래 유산균으로 발효생강을 제조하고 요쿠르트에 첨가하여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 생강의 첨가는 플레인 요쿠르트의 맛과 전체적 선호도를 저하시켰으며, GSt, GLa, GLm(발효 생강)의 첨가도 저하시키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에 GLp 첨가구는 저하되지 않았다. 또한 모든 발효생강은 제조공정 중 생강의 특징적 향기성분이 감소하여 이들을 첨가한 요쿠루트의 향미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으므로 GLp 첨가는 건생강을 대신한 건강식품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생강의 생리활성 성분의 하나인 6-gingerol은 모든 발효생강에서는 발효 전에 비하여 감소하고 6-shogaol은 증가하였으나, GLp 발효생강에서는 6-shogaol 이 거의 검출되지 않은 점이 특이하였다.

A comparative study on chemical composition of total saponins extracted from fermented and white ginseng under the effect of macrophage phagocytotic function

  • Xiao, Dan;Xiu, Yang;Yue, Hao;Sun, Xiuli;Zhao, Huanxi;Liu, Shuyi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379-385
    • /
    • 2017
  • In this study, white ginseng was used as the raw material, which was fermented with Paecilomyces hepiali through solid culture medium, to produce ginsenosides with modified chemical composition. The characteristic chemical markers of the products thus produced were investigated using rapid resolution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RRLC-QTOF-MS). Chemical profiling data were obtained, which were then subjected to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systematic comparison of active ingredients in white ginseng and fermented ginseng to understand the beneficial properties of ginsenoside metabolites.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se components on biological activity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improvements in the phagocytic function of macrophages in zebrafish.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RRLC-QTOF-MS chemical profiling, the contents in ginsenosides of high molecular weight, especially malonylated protopanaxadiol ginsenosides, were slightly reduced due to the fermentation, which were hydrolyzed into rare and minor ginsenosides. Moreover, the facilitation of macrophage phagocytic function in zebrafish following treatment with different ginseng extracts confirmed that the fermented ginseng is superior to white ginseng. Our results prove that there is a profound change in chemical constituents of ginsenosides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whi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se compounds.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 제조(製造)에 있어서 장유(醬油)코오지와 시판(市販) 단백분해(蛋白分解) 효소(酵素)의 영향(影響) (Effects of Soy Sauce Koji and Commercial Proteolytic Enzyme on the Acceleration of Fish Sauce Production)

  • 채수규;이등관;신국좌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39-648
    • /
    • 1989
  • 최종 제품의 고유 풍미와 영양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 제조를 위하여 Aspergillus oryzae 가 접종된 장유(醬油)코오지와 시판 단백분해 효소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전갱이(아지)를 원료로 하여 장유(醬油)코오지 또는 시판 단백분해 효소를 첨가하는 등의 조건을 달리한 16종류의 어장유(魚醬油)를 제조하였고 각각 그들의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원료 전갱이에 장유(醬油)코오지를 첨가하고 초기에 10%식염을 가하여 48시간 유지한 후 다시 그 혼합물에 10% 식염을 더 가하여 제조한 어장유(魚醬油)가 아미노태 질소함량, 총질소에 대한 아미노태 질소 함량 비율 및 제품의 단백질 전환율 등에 있어서 기타 조건에서 제조된 모든 어장유(魚醬油)에 비하여 가장 우수하였다.

  • PDF

정어리젓 가공에 있어서의 항산화제 처리 효과 및 제품의 정미성분 (The Effect of Antioxidants on the Fermented Sardine and Taste Compounds of Product)

  • 이응호;조순영;차용준;전중균;김세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01-211
    • /
    • 1981
  • 항산화제처리가 정어리젓 숙성 중의 지질의 산패방지에 미치는 효과 및 정어리젓의 정미성분을 분석하였다. 정어리젓을 실온($25\pm3^{\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 대조구는 숙성 31일째까지 지질의 산화가 급속히 진행되었으나 BHA 및 Tenox-Ⅱ를 처리한 것은 모두 지질의 산패방지 효과가 있었다. 항산화제 처리농도는 BHA, Tenox-Ⅱ 모두 $0.01\%$ 첨가한 것보다 $0.02\%$ 첨가한 것이 더욱 효과가 좋았다. ATP 관련물질은 숙성 31일만에 거의 inosine 및 hypoxanthine으로 분해되었다. 그리고, 유리아미노산 중 함량이 많은 것은 leucine, glutamic acid, isoleucine, alanine, valine 및 Iysine으로서 전유리아미노산에 대하여 $59.4\%$를 차지하였다. 특히 lysine이 $7.2\%$나 함유되어 있어 영양학적 의의가 크다고 생각된다. 정어리젓 중의 5'-IMP, betaine, TMAO 및 충 creatinine 등은 엑스분에 대하여 $1.0\%$, $0.02\%$$10.8\%$로서 비교적 적은 양이지만 유리아미노산과 함께 정어리젓의 맛에 보조적인 구실을 할 것이라고 추정된다.

  • PDF

명태육을 기질로 한 풍미물질 발효균주의 선발 (Screening of Suitable Mold Strains for Production of Taste Materials from Alaska Pollack Flesh)

  • 신동화;김영명;김동수;이병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1-226
    • /
    • 1990
  • 어육을 발효하여 정미성분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명태육에 전분을 첨가한 발효기질에 8종의 곰팡이를 접종, 발효하여 성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균주는 모두 어육발효 배지에서 왕성히 증식하였고, $30^{\circ}C$에서 48시간 배양 이후 특징적인 포자를 형성하였으며, 냄새는 균종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을 보였다. 발효어육의 $NH_2-N$ 함량은 명태육에 비하여 25-26배, Ex-N은 6-15배 증가하였고, 명태육으로부터 ADP 생성능력이 높은 균주는 IMP와 GMP 생성능력도 높았다. 발효어육 중의 유리아미노산은 사용균주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lysine 함량이 가장 높고 arginine, glutamic acid, leucine, alanine 순이었다. 발효어육 추출액의 관능검사한 핵산 관련물질, $NH_2-N$ 및 Ex-N의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때 어육발효에 비교적 우수한 균주는 Aspergillus oryzae KFCC 11371, Asp. oryzae KFCC 32343, Penicillium roqueforti KFCC 11269 및 Asp. quercinus KFCC 11956이었다.

  • PDF

고온성 알콜발효 효모의 Alcohol Dehydrogenase의 특성

  • 예상수;임시규;손호용;진익렬;이인구;김영호;서정훈;박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86-390
    • /
    • 1997
  • The characteristics of alcohol dehydrogenase (ADH, EC 1.1.1.1, alcohol:NAD oxidoreductase) of thermotolerant alcohol-producing yeasts, Saccharomyces cerevisiae RA-74-2 and Kluyveromyces marxianus RA-912, were compared with that of mesophilic S. cerevisiae D, an industrial strain. Under anaerobic culture condition, both S. cerevisiae RA-74-2 and D had similar level of ADH activity at 30$\circ$C, and the activity of S. cerevisiae RA-74-2 at 37$\circ$C was the same level at 30$\circ$C. However, the level of ADH activity of S. cerevisiae D at 37$\circ$C decreased about 70% of that at 30$\circ$C. The level of enzyme activity of K. marxianus RA-912, which showed lower alcohol productivity than S. cerevisiae RA-74-2 and D, was about 43% of those strains at 30$\circ$C, and decreased somewhat at 37$\circ$C. The results showed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alcohol productivities and the level of ADH activities of these strains grown at 30$\circ$C and 37$\circ$C. And the higher heat stability of ADH of S. cerevisiae RA-74-2 than that of S. cerevisiae D seemed to reflect the ability of high temperature fermentation. Despite of its fermentation ability even at 45$\circ$C, however, the ADH of K. marxianus RA-912 showed lower heat stability than that of S. cerevisiae D. Both S. cerevisiae RA-74-2 and D showed similar patterns of two bands of ADH isozyme, and the low band of S. cerevisiae RA-74-2 moved slightly faster than that of S. cerevisiae D. The staining intensity of the bands of S. cerevisiae D at 37$\circ$C was weaker than those at 30$\circ$C. However, S. cerevisiae RA-74-2 showed no differences in total intensity of the bands of 30$\circ$C and 37$\circ$C. As the patterns of cellular proteins and ADH isozyme of K. marxianus RA-912 were different from S. cerevisiae RA-74-2 and D, K. marxianus might have its own characteristic ADH system.

  • PDF

길경을 첨가한 영덕밥식해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 of Yeongdeok Bobsikhae to which a natural substance (Bellflower) was added)

  • 배만종;김수정;조민석;엄영빈;배명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0-356
    • /
    • 2014
  • 본 연구는 도라지차, 가자미, 생강, 마늘, 엿기름을 1차로 숙성한 후 쌀과 조를 동량 혼합하여 지은 밥, 무채, 고춧가루를 다시 혼합하여 완성한 밥식해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를 30일간 저장하면서 발효 특성을 실험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을 제외한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에서 도라지차 영덕밥식해가 다소 더 높게 나타났다. pH는 밥식해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 모두 점차 감소하는 것에 비하여 산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밥식해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의 유산균수는 0일차에서 3일차까지 밥식해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저장 7일차부터 도라지차 영덕밥식해의 유산균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세균수의 경우 밥식해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숙성 15일차부터 현저한 증식을 보였다. 저장 8일차에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맛에서 새콤한 맛을 제외한 전체적인 맛, 달콤한 맛, 짠 맛, 매운 맛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색을 제외한 전체적인 기호도, 맛, 향기, 식감은 도라지차 영덕밥식해가 밥식해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도라지차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식해의 발효와 맛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백포도주 양조에 있어서 포도주 효모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ine Yeast Strains for White Wine Making)

  • Seoktae Jeong;Nami Goto;Park, Jonguck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26-330
    • /
    • 2001
  • 샤르도네 품종을 이용한 포도주 양조용 효모의 발효 특성은 다음과 같다. S6U 균주는 다른 균주에 발효속도는 느렸지만 발효 종료시점에 완전히 발효되는 특징을 보였다. W-3 균주는 발효중 산 생성량이 적었으며 (0.75%), UCD530과 AC- 균주로 발효된 포도주에는 산류 extract 함량이 각각 3.26 mg/L 및 3.22 mg/L로써 다른 균주에 비해 많았다. CEG와 CS2 균주로 발효된 포도주는 특히 황색도 값이 높았으며, EC1118 균주는 다른 와인 효모에 비해 아세트알데하이드(49.9 mg/L)을 많이 생성하였다. 효모의 알콜 내성 특성을 나타내는 methylene blue dyeing ratio에 있어서, EC1118 및 CY3079 균주는 약 15% 미만의 낮은 methylene blue dyeing ratio을 나타내어 이 두 균주가 다른균주에 비해 높은 알콜 내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글리세롤 함량에 있어서 UCD530 균주는 다른 균주에 비해 극히 많은 생성능을 보였고 또한 succinic acid 및 lactic acid 생성량도 높아 전형적인 S. bayanus 특징을 나타내었다. 포도주의 Acetic acid 함량에 있어서 UCD530, EC1118, AC-, CY3079, W-3 균주로 발효된 것은 170 mg/L 이하로 비교적 낮았으며 S6U, CEG, CS2로 발효된 포도주는 350 mg/L 정도로서 높았다.

  • PDF

Evaluating the Headspace Volatolome, Primary Metabolites, and Aroma Characteristics of Koji Fermented with Bacillus amyloliquefaciens and Aspergillus oryzae

  • Seo, Han Sol;Lee, Sunmin;Singh, Digar;Park, Min Kyung;Kim, Young-Suk;Shin, Hye Won;Cho, Sun A;Lee, Choong 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8호
    • /
    • pp.1260-1269
    • /
    • 2018
  • Production of good Koji primarily depends upon the selection of substrate materials and fermentative microflora, which together influence the characteristic flavor and aroma. Herein, we performed comparative metabolomic analys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primary metabolites for Koji samples fermented individually with Bacillus amyloliquefaciens and Aspergillus oryzae. The VOCs and primary metabolites were analyzed using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HS-SPME) followed by gas chromatography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GC-TOF-MS). In particular, alcohols, ketones, and furans were mainly detected in Bacillus-fermented Koji (Bacillus Koji, BK), potentially due to the increased levels of lipid oxidation. A cheesy and rancid flavor was characteristic of Bacillus Koji, which is attributable to high content of typical 'off-flavor' compounds. Furthermore, the umami taste engendered by 2-methoxyphenol, (E,E)-2,4-decadienal, and glutamic acid was primarily detected in Bacillus Koji. Alternatively, malty flavor compounds (2-methylpropanal, 2-methylbutanal, 3-methylbutanal) and sweet flavor compounds (monosaccharides and maltol) were relatively abundant in Aspergillus-fermented Koji (Aspergillus Koji, AK). Hence, we argue that the VOC profile of Koji is largely determined by the rational choice of inocula, which modifies the primary metabolomes in Koji substrates, potentially shaping its volatolome as well as the aroma characteristics.

미강 첨가량에 따른 단기숙성 간장의 제조 및 특성 분석 (Characteristic Analysis and Production of Short-Ripened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dded with Rice Bran)

  • 정수지;신미진;정성엽;양희종;정도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50-556
    • /
    • 2014
  • 미강은 우수한 영양과 기능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지만 식미를 떨어뜨리고 저장성이 매우 낮아 효과적인 활용에 어려움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간장의 원재료인 대두와의 혼합을 통한 다양한 맛 추구와 전분 및 단백 분해력이 높은 균주를 활용해 낱알형태의 콩알메주를 제조해 총 질소 함량의 증가를 통하여 약 12개월의 간장 제조 기간을 약 1개월로 단축하고자 콩알메주와 미강을 5:5, 7:3, 9:1, 10:0의 비율로 25%의 염수에 담구고 발효하면서 특성을 비교하였다. pH의 변화는 발효 0일 평균 pH 5.82에서 2주간 발효 후 pH는 평균 6.01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당도는 초기 $21{\sim}22^{\circ}Brix$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제조한 간장 모두 $30{\sim}32^{\circ}Brix$로 높아졌고, 염도 또한 발효기간 중 모든 실험구에서 20% 이하로 일정 수준을 유지하며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총 질소의 경우 발효 2주차에 1.62%로 9:1과 10:0 비율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고,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비율별 실험구에서 48.02~62.95 mg%으로 발효기간에 따라 증가 하였으며, 발효 2주 후에는 448.84~625.52 mg%를 나타냈다. 바이오제닉 아민 중 히스타민과 티라민 함량은 앞서 보고된 일반 전통간장(히스타민; 225.9 mg/kg, 티라민; 241.6 mg/kg) 및 양조간장(히스타민; 129.8 mg/kg, 티라민; 594.5 mg/kg)에 비해 본 연구에서 제조한 간장이 히스타민 35.85~72.81 mg/kg, 티라민 41.04~75.31 mg/kg으로 적게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9:1의 비율의 처리구가 8,804.03 mg/kg으로 가장 높았으며, 구수한 맛을 내는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의 함량 역시 각각 504.25 mg/kg과 1,262.25 mg/kg으로 높았고, 단맛을 내는 serine과 alanine의 경우에도 각각 49.50 mg/kg과 518.75 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관능평가 결과 총 질소, 아미노태 질소, 바이오제닉 아민,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에서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던 9:1의 비율로 제조한 간장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