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d stock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3초

뱀장어(Anguilla japonica) 적정 사육관리를 위한 양식기술 현황 (State of Aquaculture Management for Optimal Rearing of Eel Anguilla japonica)

  • 손맹현;김강웅;김경덕;김신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59-365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elver stocking, rearing facilities and rearing method of eel culture to determine aquaculture management conditions for optimal rearing of eel Anguilla japonica. The production of eel culture was evaluated by the proportion of eels from the main inland fin fish species production in Korea. Elver stocking was assessed by the elver stocking densities of pond and recirculation culture. Rearing facilitie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rearing tank size proportion of the pond and recirculation culture. We selected sample farms by region and by size. We visited sample farms and recorded the number of elvers stock for pond area, size of tanks, feed and feed quantity, and the size and number of harvest eels. The production capacity of Jeollanam-do and Jeollabuk-do were 71.9% and 21.3% respectively. This production quantity represented 93.2% of the total Korean eel production quantity. In Jeollanam-do, there are 236 eel farms, 202 pond farms, and 34 recirculation aquaculture facilities. The elvers' first density data by each aquaculture method revealed that elvers' first density varied more in recirculation system farms, as compared to pond aquaculture. In intensive pond farms, the elvers' first density decreased as the size of farm increase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size of tank(x) and the facility of a water wheel for dissolved oxygen in pond culture systems(y=0.022x-0.494; $R^2$=0.860). Another strong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weight of eel(x) and eel density(y) in pond culture systems(y=283.5x-0.27; $R^2$=0.992). Finally,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length of eel(x) and the weight of eel(y) in intensive pond culture(y=0.0005x-3.2783; $R^2$=0.9775). The final survival rat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pond sizes and culture types.

채난계의 개량현황과 전망 (The Performance of Layer Breeds and It′s Advance in the Future)

  • 한성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7-95
    • /
    • 1992
  • 본연구는 채난양계의 성공적인 경영을 위해서 국내외의 산란계 개량과정을 살펴보고 검정성적을 비교 검토하여 산란계 개량방향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간 산란수는 1930년 120개, 1940년 135개, 1950년 175개로 20년 간에 산란수는 46%가 증가되었다. 잡종강세를 이용한 닭의 육종방법은 1924년 시작되어 1950년에 실용화되었고, 양적형질에 대한 선발의 이논은 1951년에 Lerner에 의하여 정립되었다. 미국과 유럽의 산란계 경제능력 검정성적에 의한 연간 산란수는 1950년에 175개, 1960년에 213, 1970년에 219, 1985년에 277개였다. 한국의 산란계 경제능력 검정성적에 의하면 년간 산란수는 1960연에 196개, 1970연에 226, 1980연에 265개였다. 고난계 개량은 다수형질의 동시 선발로 생존율의 향상, 사료효율의 개선, 산란기간의 연장, 항병성 향상을 이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Forage Intake and Nutrient Requirements of Fallow Weaner Deer in Southern Australia

  • Ru, Y.J.;Fischer, M.;Glatz, P.C.;Wyatt, S.;Swanson, K.;Falkenberg,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5호
    • /
    • pp.685-692
    • /
    • 2003
  • Information on nutrient requirements and forage intake of fallow weaner deer i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feeding strategies during the year.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which 60 fallow weaner deer (grazing on medic and ryegrass based pastures) were supplemented with a concentrated diet at three levels. The diet contained 2% minerals, 30% lupin and 68% barley grain. Twelve deer from each treatment were dosed with commercial alkane capsules in May, June, July, September and October to predict nutrient intake. The relationships between body weight gain and intake of metabolisable energy and crude protein were established using a general linear models analysis. Dry matter intake from pastures ranged from 0.137 kg to 0.304 kg in May and June and increased to 1.2 kg in October. Nutrient intake from pastures was strongly influenced by amount of supplementary feed and gender. Digestible energy intake from pastures was 1.3, 3.8 and 6.1 MJ/day higher for males than females in July, August and October, respectively. The protein and energy intake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body weight gain. The energy requirement for maintenance were 7.3, 8.2, 10.2, 10.2 and 10.7 MJ DE/day and the DE required for each kg body weight gain were 19, 18, 29, 34 and 49 MJ in May, June, August and October, respectively. The protein requirement for maintenance was 12.2, 12.6, 15.0, 11.4 and $8.5g/W^{0.75}$ in May, June, July, August and October, respectively. The nutrient requirement defin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to assist farmers to explore the possible pasture and stock management practices under southern Australian conditions. However,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develop rapid and cheap methods for estimating dry matter intake, nutritive value of pastures and to quantify the potential growth rate of fallow deer in southern Australia.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정자의 냉동보존에 미치는 희석액과 동해방지제의 영향 (Effects of Diluents and Cryoprotectants on Cryopreservation of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igeli) Sperm)

  • 임한규;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7-75
    • /
    • 1998
  •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정자의 냉동 보존시 정자의 생리활성과 보존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순환여과 사육시스템에서 사육한 전장 $25.9{\pm}1.7$ cm, 체중$292.8{\pm}53.7$ g의 성어로부터 얻은 정액을 재료로 하여 희석액별, 동해방지제별 해동후 정자의 활성, 생존율 및 알에 대한 수정능력을 평가하였다. 희석액별 냉동보존에서 해동정자의 생존율은 3% sodium citrate에서 $80{\pm}1.4$%로 가장 높았으나, 수정률은 5.4% glucose에서 $63.4{\pm}4.4$%로 가장 높았다. 동해방지제별 냉동보존에서 해동정자의 수정률은 5~15% glycerol을 동해방지제로 사용하였을 때, 50.1~69.4%로 DMSO 보다 나은 효과를 보였다. 감성돔 정자의 냉동보존을 위한 적정 희석액과 동해방지제는 5% glucose와 5% glycerol이었다. 냉동하지 않은 감성돔 정자의 머리는 구형으로 직경 $1.5{\pm}0.1$ ${\mu}$m, 길이 $1.3{\pm}0.1$${\mu}$m였으며, 치밀한 핵질로 채워져 있었다. 편모는 전형적인 9+2 구조를 나타냈다. 그러나 냉동후 해동시킨 정자중에서는 염색질의 과립화, 세포막의 이탈에 의한 그 용적이 커지는 구조변화를 보였다.

  • PDF

식물성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에 대한 LCA 연구 현황 (State-of-the-art of Life Cycle Assessment for Biodiesel Production from Plant Biomass)

  • 서봉국;송승구
    • KSBB Journal
    • /
    • 제25권1호
    • /
    • pp.1-10
    • /
    • 2010
  • 기존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수송연료로서 바이오 디젤은 유해물질 배출을 줄일 수 있어 친환경 에너지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바이오디젤 관련 기술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제도적 지원을 위해서는 바이오 디젤의 친환경 특성 및 경제성 등에 대한 보다 정량적이고 정성적인 평가가 필요하며, 바이오디젤 생산과정에서 지구 온난화 지수, 에너지소비, 생산비용, 생산기술 및 feedstock에 대한 LCA 분석 연구를 통해 보다 체계적인 환경 및 경제성 평가가 가능하였다. Feedstock에서부터 연료사용에 이르기까지의 바이오 디젤 LCA 평가와 관련한 많은 연구에서 feedstock 생산과정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소비가 전체 환경 및 경제성 평가 수치의 50-80% 범위를 차지하여, 가장 큰 주요 기여 인자가 되었다. 경제성 측면에서는 초임계 메탄올 공정을 이용하여 폐식용유로부터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과정이 현실적으로, 기술적으로 가장 유리하였다. 향후, 바이오 연료 시장을 보다 확장하고 보다 광범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바이오디젤의 물성개선을 비롯하여 원료에 대한 식량과의 논쟁을 피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원료확보 관련 연구도 수행되어야만 할 것이다.

Development of a model for animal health monitoring system in Gyeongnam I. Design, data and frequencies of selected dairy cattle diseases

  • Kim, Jong-shu;Kim, Yong-hwan;Choi, Min-cheol;Kim, Gon-sup;Kim, Chung-hui;Park, Jeong-hee;Hah, Dae-sik;Heo, Jung-ho;Jeong, Myeong-ho;An, Dong-wo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730-737
    • /
    • 1999
  • A national animal health monitoring system(NAHMS) in Gyeongnam area was started from 1997 to develop statistically valid data for use in estimating disease frequencies in dairy cattle, and the associated cos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 (1) discribe what was done to implement and maintain the system in Gyeongnam ; (2) present selected disease frequencies ; (3) discuss the epidemiological consideration of what was done and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obtained. Veterinary Medical Officers(VMOs-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from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Faculty of Gyeongnam Livestock Promotion Institute, and Clinic veterinarians) served as data collectors. After training on current disease and management problems of dairy cattle, interview techniques, sampling methods, and data collection instruments, the VMOs participated in selection of the sample herds and data gathering. Forty of 167 dairy herds were selected randomly and the VMOs visited farms once a month for 12 months to collect data about management, disease, inventory, production, preventive treatment, financial and any other relevant data. Strict data quality control devices were used. Specific feed-back was developed for the producers and data collectors. Of the three age groups studied, cows had the greatest number of disease problems. The six disorders found most frequently were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breeding problems, clinical mastitis, birth problems, gastrointestinal problems. metabolic problems, and lameness. In young stock, respiratory, multiple system, breeding problems, and gastrointestinal problems were pre dominant, whereas in calves, gastrointestinal, respiratory, and integumental problems were major.

  • PDF

서스펜션 플라즈마 용사법을 이용한 7.5 wt% Y2O3-ZrO2 열차폐코팅 제조 및 평가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7.5 wt% Y2O3-ZrO2 Thermal Barrier Coatings Deposited by Suspension Plasma Spray)

  • 이원준;오윤석;이성민;김형태;임대순;김성원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98-604
    • /
    • 2014
  • Considerable research efforts have been explored attempting to enhance the thermal durability of thermal barrier coatings (TBCs) at the high operating temperatures of gas turbines. In this study, the suspension plasma spray (SPS) process was applied to produce TBCs with a segmented structure by using an yttria-stabilized zirconia (YSZ) suspension. Four different experiment sets were carried out by controlling the ratio between surface roughness of the bond coat and feed stock size ($R_a/D_{50}$)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R_a/D_{50}$ ratio on the microstructure of SPS-prepared coatings. When the $R_a/D_{50}$ had a high value of 11.8, a deposited thick coating turned out to have a cone-type columnar microstructure. In contrast, at the low $R_a/D_{50}$ values of 2.9 and 0.18, a deposited thick coating appeared to have a dense, vertically-cracked microstructure. However, with the very low $R_a/D_{50}$ value of 0.05 the coating was delaminated.

토종 부모계통 종계 간 교배 실용계의 경제능력 검정 (Economic Performance Test of Commercial Chickens (CC) Crossbred with Parent Stock (PS) of Korean Native Chicken (KNC))

  • 차재범;홍의철;김상호;김종대;허강녕;추효준;오기석;강보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07-212
    • /
    • 2016
  • 본 시험은 국내 실정에 맞는 토종 실용계 생산을 위한 13교배종의 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토종 순종계를 이용하여 생산된 종계 부계통 2종(A, B)과 모계종 6종(1, 2, 3, 4, 5, 6)을 교배하여 생산된 12종(1A, 1B, 2A, 2B, 3A, 3B, 4A, 4B, 5A, 5B, 6A, 6B)과 일반 토종닭 교배종('한협3호', HH)의 총 13종, 종당 100수씩 총 1,300수를 암수 합사하여 공시하였다. 시험사료는 0~7일령까지는 육계초이사료(CP 22.0% ME 3,150 kcal/kg), 8일령부터 체중 800 g까지는 육계전기사료(CP 19.0% ME 3,150 kcal/kg), 체중 800 g~12주령까지는 육계후기사료(CP 18.0% ME 3,150 kcal/kg)를 급여하였다. 주요 조사항목은 수정률과 부화율, 체중, 균일도, 사료요구율, 생산지수 그리고 경제성 등이었다. 수정률은 1B종이 가장 높았으며, 6B와 HH종이 낮게 나타났다. 수정란 대비 부화율은 87.5~89%, 입란대비 부화율은 76.9~92.3%로 나타났으며, 4B와 6B종이 낮은 수치를 보였다. HH종의 주령별 체중은 다른 교배종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체중의 CV가는 12.5~18.2%로 13종 모두 12%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2B, 3B, 5B, HH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누적 사료요구율은 6, 8, 10, 12주령에 각각 1.7~2.3, 2.1~2.5, 2.4~2.7 및 2.7~3.2로 나타났다. 주령별 생산지수는 2A, 3A, HH종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주령이 경과함에 따라 생산지수는 감소하였다. kg 증체당 사료비는 육계초기 1,069~1,255원, 육계전기 1,100~1,263원, 육계후기 1.468~1,696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기존 토종닭보다 생산성이 우수하고 경제성을 갖춘 새로운 토종 실용계 선발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사육 밀도가 육계 생산성, 면역 수준 및 계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cking Density on the Growth Performance, Immune Status and Breast Meat Quality of Broiler)

  • 김희진;전진주;김현수;손지선;김광열;유아선;홍의철;강보석;강환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3-22
    • /
    • 2021
  • 본 연구는 육계의 사육 밀도가 사양 성적, 혈액 구성, 면역 및 계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육계(Ross 308)를 385수를 공시하여 4개의 사육 밀도(26, 22, 19, 16 birds/㎡)를 두어 완전 임의 배치하여 실험하였다. 사료와 물은 자유 급이하였다. 면역 글루불린(Ig) 및 corticosterone을 평가하였으며, 증체량, 혈액 성분 및 가슴육 품질을 분석하였다. 전체 사육 기간 동안 증체량, 사료 섭취량은 사육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그러나, 초기에는 사육 밀도가 증가할수록 사료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및 혈액 생화학 조성은 사육 밀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스트레스 지표(H/L 비율 및 cortico- sterone), IgA, IgM은 사육 밀도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IgG는 사육 밀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육계 가슴육 pH, 보수력, 가열감량은 사육 밀도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전단력은 사육 밀도 16 birds/㎡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결론적으로 고밀도에서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16 birds/㎡의 사육 밀도에서는 육계의 전단력과 육계의 IgG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고밀도 사육은 지양해야 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산란전용 토종 실용계를 생산하기 위한 2원교배 종계의 육성 능력 검정 (Performance of Growing Period of Two-way Crossbreed Parent Stock for Producing of Laying-Type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s)

  • 홍의철;추효준;김학규;김종대;허강녕;이명지;손보람;서옥석;최희철;강보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7-182
    • /
    • 2012
  • 본 시험은 산란형 토종닭 생산을 위한 2원교배 종계의 육성기 성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에서 생산된 종란을 인수하여 부화시킨 2원 교잡종 암컷이다. 4가지 교배 조합으로 생산된 480수의 암평아리들을 4반복으로 반복당 30수씩 완전임의배치 하였다. 4개의 교배 조합은 A) 토착종C계통${\times}$토착종Y계통, B) 토착종C계통${\times}$토착종L계통, C) 토착종C계통${\times}$토착종G계통, D) 토착종C계통${\times}$토착종W계통이다. 4주령의 체중은 D교배종이 가장 낮았으며(P<0.05), 8주령에서는 A교배종의 체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12과 16주령의 체중은 A와 B교배종이 C와 D교배종에 비해 높았다(P<0.05). 주령에 따른 증체량은 A와 B교배종에 비해 C와 D교배종이 낮았으며(P<0.05), 0~20주령의 증체량은 B교배종의 증체량이 다른 교배종에 비해 높았다(P<0.05). 주령에 따른 사료 섭취량은 0~12주령, 0~16주령 및 0~20주령에 D교배종이 다른 교배종들에 비해 낮았다(P<0.05). 주령에 따른 사료 요구율은 C교배종이 가장 높았다(P<0.05). 이런 결과들은 산란형 토종 실용계 생산을 위한 2원교배 종계의 육성기 성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