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cal excretion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26초

로페로마이드로 유도한 변비랫드 모델에서 프락토올리고당 및 과채복합 추출물의 변비개선 효과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 and Fruit and Vegetable Complex Extracts on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s)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865-872
    • /
    • 2024
  • Loperamide에 의한 변비는 위 배출, 소장 및 대장 운동성을 감소시켰으며, 과채복합추출물(Fruit and vegetable complex extracts, FVCE)은 이러한 효과를 예방한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실험에서 로페로마이드(3mg/kg, sc, 14일)로 유발된 변비 수컷 Sprague-Dawley 쥐에 대한 프락토올리고당 및 과채복합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쥐를 무작위로 정상대조군 쥐(일반식이), 변비 쥐(일반식이 + 로페로마이드), 200mg FVCE(200mg/kg/day FVCE + 로페로마이드가 보충된 일반 식이)로 처리한 변비 쥐, 400mg FVCE로 처리한 변비 쥐(200mg/kg/day FVCE와 로페로마이드가 보충된 일반 식단)으로 시험군을 구성하였다. 대조군 쥐에 비해 로페로마이드로 처리된 쥐에서 대변 배설량이 적고 대변 수분 함량이 더 낮았다. FVCE을 경구투여 하면 분변배설량의 감소를 억제하고 로페로마이드로 처리된 쥐의 대변 수분 함량. 로페로마이드를 처리한 쥐에서는 대장선와세포의 점액 생성과 대변 및 점막표면의 점액 함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FVCE 처리군에서는 대장선와세포의 뮤신 함량이 증가하였고, Aclain blue로 염색된 점액층은 로페로마이드 처리군에 비해 FVCE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두꺼워졌다. 쥐 회장에서 로페로마이드는 회장 운동성을 억제한다. 이러한 결과는 FVCE가 로페로마이드에 의한 대장 연동 운동 억제 완화에 효과적이며 FVCE추출물이 변비 예방에 효과적 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무청분말이 콜레스테롤식이를 공급한 흰쥐의 장기능 및 분변 중 중성지질 및 Sterol 배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dish Leaves Powder on the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Fecal Triglyceride, and Sterol Excretion in Rats Fed a Hypercholesterolemic Diet)

  • 장현서;안정모;구경형;이순재;강신권;최정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258-126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콜레스테롤 흰쥐에 무청파우더를 공급함으로써 분변을 통한 지질배설과 장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와 그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간조직의 UDP-glucuronyl transferase 활성변화와 분변중의 지질 및 sterol류의 조성을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100 g내외의 Sprague-Dawley 종 수컷 흰쥐를 이용하였으며, 정상군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실험군으로 나눈 후 정상군은 다시 무청파우더를 공급하지 않은 군(N group), 무청파우더를 공급한 군(NR group)으로 나누고 고콜레스테롤 식이 실험군은 무청파우더를 공급하지 않은 군(HC group)과 무청파우더를 각각 2.5%(HRL group), 5%(HRM group), 10%(HRH group)씩 공급한 군으로 나누었다. 식이와 식수는 자유섭식 시켰으며, 4주 간 사육한 후 희생시켰다. 분변량은 무청공급군들에서 무청의 공급량이 증가할수록 많은 배변량을 보였다. 수분함량 역시 HC군에 비해 무청공급군들에서 많은 함량을 보였다. 분변중의 총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TG 함량은 HC군에 비해 무청공급 군들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분변중의 bile acid 함량은 HC군에 비해 HRM 및 HRH군에서 2.3배 및 2.7배씩 각각 증가되었다. 분변중의 중성 스테롤류인 cholesterol, coprostanol, coprostanone 함량은 HC군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간 microsome의 UDPGT의 활성은 HC군에 비해 HRH군에서 38% 유의적으로 증가되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무청은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간조직의 UDPGT 활성의 증가로 담즙산의 흡수를 지연시킴으로써 고콜레스테롤 섭취 시 분변중으로 총지질,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중성스테롤 및 산성스테롤인 담즙산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나타내었고, 따라서 장 기능 및 지질대사 개선을 위한 우수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옥수수 펩타이드가 흰쥐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rn Peptide on the Lipid Metabolism in Rats)

  • 이해미;장은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16-422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n peptide(CP) on lipid metabolism. Sprague-Dawley(S.D) male rats were assigned to three dietary groups {control diet(CD), high fat diet (HFD) & high fat com peptide diet(FCD)} and fed 4 weeks to examine the effects of CP.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the liver among the groups. However, triglyceride(TG) concentrations of the FCD & C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FD. Fecal excretion of neutral steroids & bile acids of the FC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D & HFD. Serum total cholesterol TG & LDL-cholesterol concentrations of the FCD & C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FD.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rovement of lipid composition in serum by CP might be inhibit of lipid absorption in intestine & increment of neutral steroids & bile acids excretion in feces.

  • PDF

차 음료가 카드뮴 섭취 흰쥐의 카드뮴 축적과 배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 Beverages on Cadmium Accumulation and Excretion in Rats Given Cadmium)

  • 김태경;박범호;이상일;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1-168
    • /
    • 2008
  • 말차, 오룡차, 홍차 및 보이차로 제조한 음료가 Cd에 중독된 SD계 흰쥐의 해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일반 물 추출물에 비하여 색상, 향, 맛에 대한 기호도가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며, 종합적 기호도는 오룡차 음료가 4.18점, 홍차음료가 4.14점으로 말차음료나 보이차 음료의 $3.74{\sim}3.88$점에 비하여 높았다. SD계 흰쥐를 정상군 (NC), Cd 대조군(Cd-Co), Cd투여 말차음료 15% 급여군 (Cd-Gt), Cd투여 오룡차음료 15% 급여군(Cd-Ot), Cd투여 홍차음료 15% 급여군(Cd-Bt) 및 Cd투여 보이차음료 15% 급여군 식이군(Cd-R)의 6군으로 구분하여 5주간 사육하였다. 차 음료 식이군의 체중증가량은 NC군에 미치지는 못하였으나 Cd에 의하여 감소된 현상을 상당히 개선하였다. 식이효율, 뇨량 및 분변량은 각 실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Cd의 투여는 간과 신장의 중량, 경골의 중량 및 대퇴골의 길이를 감소시켰으나 차 음료의 섭취로 다소 개선되었다. 혈청 AST 및 ALT 활성은 모두 Cd 투여군에서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차 음료 급여군에서는 5%수준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대퇴골의 조회분 함량은 Cd-Co군에서 40.72%, Cd 투여-차 음료 급여군에서는 $35.31{\sim}37.02%$로 차음료의 급여에 의하여 5%수준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퇴골의 조회분 함량은Cd-Co군에서 40.72%, Cd 투여-차 음료 급여군에서는 $35.3{\sim}37.02%$로 차음료의 급여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퇴골의 Cd함량은 NC군에서는 0.08 ppm이었으나 Cd-Co군은 123.28 ppm, 실험식이군에서는 $23.07{\sim}28.82 ppm$으로 차음료의 급여로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Ca 함량은 NC군에서 6700 ppm, Cd-Co군에서 3760 ppm, 실험식이군에서는 $4040{\sim}5420 ppm$이었다. 분변의 회분함량은 Cd-Bt군이 14.80%로 높았으나 기타 음료군은 Cd-Co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분변의 Cd 함량은 NC군 0.02 ppm, Cd-Co군 2.06ppm, 실험식이군 $4.38{\sim}5.35ppm$로 차 음료 급여군에서 높았으며, 이와 대조적으로 Ca함량은 차음료 급여군에서 낮았다. 이상의 실험결과, 말차, 오룡차, 홍차 및 보이차로 제조한 음료는 상호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으나 모두 섭취한 Cd를 체외로 배설시킴으로서 Cd에 의한 장기 손상을 경감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식이지방의 수준과 P/S 비율이 철쥐의 중성스베로이드 및 담즙산 배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vel and P/S Ratio of Dietary Fat on Fecal Neutral Steroids and Bile Acids Excretion of Rats)

  • 임현숙;김성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3-109
    • /
    • 1988
  • Cholesterol의 주요한 대사산물인 중성steroids와 담즙산의 배설에 관한 내용은 cholesterol 대사를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식이지방이 steroids의 배설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아직 일치된 견해가 없어 본 실험에서는 식이지방의 수준(식이에너지의 15, 30 및 45% 과 P/S 비율(0.5 및 1.0)을 달리한 실험식이를 흰쥐에 4주간 급여하여 분변을 통한 총지질, 중성steroids 및 총담즙산배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변전율은 cholesterol이 섭취되지 않은 경우나 섭취된 경우 모두 P/S 비율에 관계없이 식이지방의 수준에 유의적인 영향을 받았다. 지질소화율은 cholesterol이 섭취되지 않은 경우나 섭취된 경우 모두 P/S 비율에 관계없이 식이지방의 수준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분변량, 총지질배설량, 중성steroids배설량과 그 조성 및 총담즙산배설량은 식이지방의 수준이나 P/S 비율에 따른 일관성 있는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Cholesterol의 섭취는 체중증가량과 식이변전율을 유의적으로 향상시켰으며, 총지질배설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 지질소화율을 증가시키고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중성 steroids배설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면서, coprostanol의 조성비율을 감소시켰고 coprostanone의 조성비율을 증가시켰다. 반면에 총담즙산배설량은 감소시켰다.

  • PDF

에스트로겐/칼슘 혼합요법이 난소절제 쥐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II. 칼슘, 인 및 질소대사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Combined Estrogen/calcium Therapy on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II. A Study on Metabolism of calcium, Phosphorus and Nitrogen in Ovariectomized Rats)

  • 이경화;오승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006-1015
    • /
    • 1996
  • 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에게 식이 칼슘염 형태, 에스트로겐 및 에스트로겐/칼슘 혼합요법이 칼슘, 인 및 질소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난소절제쥐를 이용한 총 9군으로 분류하여 6주간 사육한 후,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였고, 이로부터 흡수율과 평형상태를 구하였다.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의 칼슘 섭취량은 비슷하였으나 소변으로의 칼슘 배설이 난소를 절제한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난소절제 후 estrogen투여 및 estrogen/칼슘 혼합 투여군에서의 소변으로의 칼슘 배설량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대변으로의 칼슘 배설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난소절제 후 estrogen을 투여한 결과 대변으로의 칼슘 배설량은 감소하였다. 고칼슘을 투여한 군들 모두에서 대변으로의 칼슘 배설량이 현저히 높았다. 칼슘의 외견적 흡수율은 난소를 절제한 군에 비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난소절제 후 고칼슘을 투여한 군들에 비해 난소절제 후 estrogen을 투여한 군이 난소절제 군에 비해 외견적 흡수율이 증가하였다. 칼슘 평형은 난소절제 후 고칼슘을 투여한 군들에서 난소를 절제한 군 보다 유의하게 높은 양의 칼슘 평형상태를 보였다.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의 소변으로의 인 배설은 난소를 절제한 군이 다소 증가하였다. 난소절제 후에 고칼슘 투여, estrogen 투여, estrogen/칼슘 혼합 투여군에서의 소변으로의 인 배설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의 대변으로 인 배설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이 많았으며 난소절제 후 estrogen 투여군에서는 대변으로의 인 배설량이 다른 군 보다 적었다. 난소절제 후 고칼슘 투여군에서는 대변으로의 인 배설이 다소 증가한 경향이었다. 인의 평형상태도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난소절제 후 고칼슘 투여, estrogen 투여, estrogen/칼슘 혼합 투여 및 estrogen점진적 감소와 고칼슘 투여에 의한 효과로는 인의 평형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 비해서는 평형이 현저히 낮았다.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 소변으로의 질소 배설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에서 유의 하게 높았으며 난소절제 후 estrogen, estrogen/칼슘 혼합 투여, estrogen 점진적 감소와 칼슘 점진적 증가군에서 각각 배설량이 감소하였다. 대변으로의 질소 배설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Estrogen투여에 의해 대변으로의 질소 배설이 감소하였다. 고칼슘 투여군들은 대변으로의 질소배설이 높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난소절제로 인해 칼슘, 인, 질소 평형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낮아졌다. 난소를 절제한 군에 비해 난소절제 후 고칼슘 투여, estrogen/칼슘 혼합, estrogen 점진적 감소와 칼슘 점진적 증가군에서 칼슘 평형을 증가 시켰다. 그러나 인과 질소 평형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Effect of Glutinous Barley Intake on Lipid Metabolism in Middle-Aged Rats Fed a High-Fat Diet

  • Sohn, Jung-Sook;Hong, So-Young;Kim, Mi-K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1023-1028
    • /
    • 200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dietary glutinous barley (GB) affects lipid metabolism in middle-aged rats previously fed a high-fat diet. To induce obesity, 20 male 9-month-old Sprague Dawley rats were raised for 1 month on a diet containing 20%(w/w) lipid. The rats were allocated to 1 of 2 groups of 10 rats each and for the subsequent 2 months were fed an 8%(w/w) lipid diet containing well-milled rice (WMR) or GB powder. Rats fed the GB diet had significantly lower concentrations of plasma triglyceride, plasma total cholesterol, and liver cholesterol than rats fed the WMR diet. Fecal excretions of triglyceride and bile acids were significantly greater for the GB group than for the WMR group. In conclusion, dietary GB has positive effects on lipid metabolism: it decreases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 by increasing fecal excretion of bile acids.

쑥 및 엉겅퀴가 식이성 고지혈증 흰쥐의 간기능, 체지질 및 담즙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Circium Japonicum var Ussuriense on Liver Function, Body Lipid , and Bile Acid of Hyperlipidemic Rat)

  • 임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7호
    • /
    • pp.797-802
    • /
    • 1997
  • The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mugwort) and Circium japonicum var ussuriense (Unggungqui) on lipid metabolism was examined . Thirty rats of 5 experimental groups were fed with a diet containing 1% cholesterol and 0.25% sodium cholate(control diet) and 5% plant powder or its water soluble extract(experimental diet) for 4 weeks. The activity of enzymes related to liver function, lipid components of liver and principle organs, and fecal steroids were assayed. The activity of enzym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unggungqui and mugwort powder diet group than in control. Liver total cholesterol , free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Unggungqui powder diet groups that in the control.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in heart and kidney were comparatively low in the Unggungqui powder diet groups. In each plant powder diet group, the values of serum bile acid were significantly lowe ran the fecal steroid excretion was higher than in the control and the extract diet groups.

  • PDF

카페인과 칼슘의 섭취수준이 연령이 다른 암쥐의 체내 칼슘 이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ffeine and calcium iIn take Calcium Utilization in Female Ratsof Different Age)

  • 최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10호
    • /
    • pp.1160-1169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ffeine and calcium levels on calcium utilization in female rats of different ages. Calcium utilization was compared in female rats of different age( 4 weeks and 12 months) fed various levels of caffeine(0 and 7 mg/100g body weight) and calcium (50, 100 and 200% of requirement) for 3 weeks. Feed intake of the caffeine groups were lower than that of the no-caffeine groups. body weight gain was lowest in the high-caffeine and low-calcium group. Serum calcium levels of young rats were higher than those of adult ra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bial calcium content among the caffeine and calcium -groups. Fecal calcium excretion increased as the level of dietary calcium was increased. Urinary calcium excretion increased as the levels of caffeine and dietary calcium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dietary calcium , daily calcium retention was accelerated, but apparent calcium absorbability was dimin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affeine consumption promotes urinary calcium excretion. However, increase in dietary calcium resulted in higher calcium retention .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igh caffeine consumption may increase dietary calcium requirements.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supplementation of dietary calcium may counteract the negative effect of caffeine intake on calcium utilization.

  • PDF

식이지방 수준이 다른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대한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섭취 효과 (Effects of Indigestible Dextrin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Normal or High Fat Diet)

  • 우동호;강현숙;이연숙;박양자;이현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6호
    • /
    • pp.981-990
    • /
    • 1998
  • The effects of indigestible dextrin on lipids in serum, tissue, and feces were investigated in two experiments carried out with 64 male Sprague-Dawley rats for eight weeks. Experiment I diet(normal fat diet) containing 5% corn oil and experiment II diet(high fat diet) containing 18% fat(13% beef tallow and 5% corn oil) and 1% cholesterol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ith 0.5% cellulose(0.5CL : control), 10% cellulose(10CL), 10% Indigestible dextrin I(ID-I) and 10% indigestible dextrin II(ID-II), respectively. ID-I and ID-II diets produced a decrease in serum total lipid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both normal and high fat diets but more significantly in the groups fed high fat diet. ID-I, ID-II, and 10CL of high fat diet decreased serum glucose concentration. ID-I and ID-II diets also decreased liver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in rats fed normal and high fit diets. The fecal excretion of cholesterol in ID-II/high fat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0.5CL diet. Bile acid excretion was increased in the rats fed 10CL and ID-II diets of normal and high fat diets. These observations indicat the hypolipidemic and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indigestible dextrin on the rats. These effects are mediated by the increase of facal cholesterol and bile acid excretion. (Korean J Nutrition31(6) : 981-990, 1998)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