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ature

검색결과 16,258건 처리시간 0.067초

A METHOD FOR ADJUSTING ADAPTIVELY THE WEIGHT OF FEATURE IN MULTI-DIMENSIONAL FEATURE VECTOR MATCHING

  • Ye, Chul-So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772-775
    • /
    • 2006
  • Muilti-dimensional feature vector matching algorithm uses multiple features such as intensity, gradient, variance, first or second derivative of a pixel to find correspondence pixels in stereo image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method for adjusting automatically the weight of feature in multi-dimensional feature vector matching considering sharpeness of a pixel in feature vector distance curve. The sharpeness consists of minimum and maximum vector distances of a small window mask. In the experiment we used IKONOS satellite stereo imagery and obtained accurate matching results comparable to the manual weight-adjusting method.

  • PDF

초기 피춰벡터 설정을 통한 다중클래스 문제에 대한 최적 피춰 추출 기법 (Optimal Feature Extraction for Multiclass Problems through Proper Choice of Initial Feature Vectors)

  • 최의선;이철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47-650
    • /
    • 1999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ptimal feature extraction for multiclass problems through proper choice of initial feature vectors. Although numerous feature extraction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those algorithms are not optimal for multiclass problems. Recently, an optimal feature extraction algorithm for multiclass problems has been proposed, which provides a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feature extraction algorithms. In this paper, we improve the algorithm by choosing good initial feature vectors. As a result, the searching time is significantly reduced. The chance to be stuck in a local minimum is also reduced.

  • PDF

시맨틱 웹 기술을 이용한 특성 구성 검증 (Feature Configuration Validation using Semantic Web Technology)

  • 최승훈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07-117
    • /
    • 2010
  • 소프트웨어 제품들 사이의 공통된 개념과 서로 다른 개념들을 표현한 특성 모델과, 특정 제품에 포함될 특성들을 선택한 결과인 특성 구성은 소프트웨어 프러덕트 라인 개발 방법론에서 핵심 요소이다. 이들에 대한 정형적 시맨틱과 논리적 추론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시맨틱 웹 기술을 이용한 특성 모델 온톨로지 구축과 특성 구성 검증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와 시맨틱 웹 기술을 이용하여 특성 모델의 정형적 시맨틱을 정의하고 특성 구성을 검증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특성 모델과 특성 구성에 포함된 지식을 시맨틱 웹 표준 언어인 OWL(Web Ontology Language)로 표현하고 특성 구성을 검증하기 위한 규칙은 시맨틱 웹 규칙 언어인 SWRL(Semantic Web Rule Language)로 정의한다. 본 논문의 기법은, 특성 모델의 정형적 시맨틱을 제공하며 특성 구성 검증을 자동화할 뿐 만 아니라 SQWRL과 같은 다양한 시맨틱 웹 기술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특성 지향의 제품계열공학을 위한 애스팩트 구현 패턴 (Aspectual Implementation Patterns for Feature-Oriented Product Line Engineering)

  • 이관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1호
    • /
    • pp.93-104
    • /
    • 2009
  • 특성 지향 제품계열공학은 특성 관점에서 제품계열의 핵심자산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제품을 개발하는 접근방법으로서, 이를 위한 첫번째 단계는 하나의 특성을 하나의 모듈화된 단위로 구현하는 것이다.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은 특성 구현의 모듈화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하지만, 특성이 일반적으로 서로 독립적이지 않기 때문에 어떤 특성 구현 모듈의 변화는 다른 특성 구현 모듈에 변화를 일으키거나 원하지 않는 부작용을 야기시킬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특성이 제품에 결합되는 시점이 컴파일 시점에서부터 로드 시점, 실행 시점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으므로, 특성이 언제 제품에 결합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구현되어야 할지도 모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 특성 구현 모듈이 다른 모듈과 독립적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특성 구현 모듈로부터 특성 의존성 및 특성 결합 시점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애스팩트 패턴을 제안한다. 이러한 패턴들은 특성 구현 모듈이 특성의 선택에 따라서 다른 모듈에 영향을 주지 않고 유연하게 합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접근 방법을 예시하고 평가하기 위해 공학용 계산기 제품계열을 사용한다.

Recent Advances in Feature Detectors and Descriptors: A Survey

  • Lee, Haeseong;Jeon, Semi;Yoon, Inhye;Paik, Joonki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5권3호
    • /
    • pp.153-163
    • /
    • 2016
  • Local feature extraction methods for images and videos are widely applied in the fields of image understanding and computer vision. However, robust features are detected differently when using the latest feature detectors and descriptors because of diverse image environments. This paper analyzes various feature extraction methods by summarizing algorithms, specifying properties, and comparing performance. We analyze eight feature extraction methods. The performance of feature extraction in various image environments is compared and evaluated. As a result, the feature detectors and descriptors can be used adaptively for image sequences captured under various image environments. Also, the evaluation of feature detectors and descriptors can be applied to driving assistance systems, closed circuit televisions (CCTVs), robot vision, etc.

문서 분류 알고리즘을 이용한 한국어 스팸 문서 분류 성능 비교 (Comparing Korean Spam Document Classification Using Document Classification Algorithms)

  • 송철환;유성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C)
    • /
    • pp.222-225
    • /
    • 2006
  •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많은 인터넷 사용자를 가지고 있다. 이에 비례해서 한국의 인터넷 유저들은 Spam Mail에 대해 많은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다양한 Feature Weighting, Feature Selection 그리고 문서 분류 알고리즘들을 이용한 한국어 스팸 문서 Filtering연구에 대해 기술한다. 그리고 한국어 문서(Spam/Non-Spam 문서)로부터 영사를 추출하고 이를 각 분류 알고리즘의 Input Feature로써 이용한다. 그리고 우리는 Feature weighting 에 대해 기존의 전통적인 방법이 아니라 각 Feature에 대해 Variance 값을 구하고 Global Feature를 선택하기 위해 Max Value Selection 방법에 적용 후에 전통적인 Feature Selection 방법인 MI, IG, CHI 들을 적용하여 Feature들을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Feature들을 Naive Bayes, Support Vector Machine과 같은 분류 알고리즘에 적용한다. Vector Space Model의 경우에는 전통적인 방법 그대로 사용한다. 그 결과 우리는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TF-IDF Variance Weighting(Combined Max Value Selection), CHI Feature Selection 방법을 사용할 경우 Recall(99.4%), Precision(97.4%), F-Measure(98.39%)의 성능을 보였다.

  • PDF

자질 기하학과 측음화 (Lateral Assimilation in a Feature Geometry)

  • 이해봉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33_34호
    • /
    • pp.71-89
    • /
    • 1997
  • In the framework of linear representation which allows for no internal structure within features, there is no way to represent nonlinear phonological phenomena such as complex segments. This paper shows how we carl solve some problems of the linear feature theory in relation to the hierarchical feature the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lateral assimilation under hierarchical feature representation. Although arguments for the position of classes of distinctive features have been made the position of (lateral) remains the issue of debate. Sagey(1988) argues that the feature [lateral] is structurally dependent on the root node. In contrast Rice & Avery (1991) put the feature (lated) under the spontaneous voicing. I have discussed previous studies of feature hierarchy and I propose a revised model of feature representation. Within this model I have shown how well feature geometry describes lateralization as feature spreading.

  • PDF

A METHOD OF IMAGE DATA RETRIEVAL BASED ON SELF-ORGANIZING MAPS

  • Lee, Mal-Rey;Oh, Jong-Chul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9권2호
    • /
    • pp.793-806
    • /
    • 2002
  • Feature-based similarity retrieval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issue in image database systems. The features of image data are useful to discrimination of imag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highspeed k-Nearest Neighbor search algorithm based on Self-Organizing Maps. Self-Organizing Maps (SOM) provides a mapping from high dimensional feature vectors onto a two-dimensional space. The mapping preserves the topology of the feature vectors. The map is called topological feature map. A topological feature map preserves the mutual relations (similarity) in feature spaces of input data. and clusters mutually similar feature vectors in a neighboring nodes. Each node of the topological feature map holds a node vector and similar images that is closest to each node vector. In topological feature map, there are empty nodes in which no image is classified. We experiment on the performance of our algorithm using color feature vectors extracted from images. Promis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in experiments.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k-최근접이웃 분류기 (Optimal k-Nearest Neighborhood Classifier Using Genetic Algorithm)

  • 박종선;허균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7권1호
    • /
    • pp.17-27
    • /
    • 2010
  • 분류분석에 사용되는 k-최근접이웃 분류기에 유전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의미 있는 변수들과 이들에 대한 가중치 그리고 적절한 k를 동시에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실제 자료에 대하여 기존의 여러 방법들과 교차타당성 방법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Sculptured 포켓 가공을 위한 가공특징형상 추출 (Manufacturing Feature Extraction for Sculptured Pocket Machining)

  • 주재구;조현보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5-459
    • /
    • 1997
  • A methodology which supports the feature used from design to manufacturing for sculptured pocket is newly devlored and present. The information contents in a feature can be easily conveyed from one application to another in the manufacturing domain. However, the feature generated in one application may not be directly suitable for another whitout being modified with more information. Theobjective of the paper is to parsent the methodology of decomposing a bulky feature of sculptured pocket to be removed into compact features to be efficiently machined. In particular, the paper focuses on the two task: 1) to segment horizontally a bulky feature into intermediate features by determining the adequate depth of cut and cutter size and to generate the temporal precedence graph of the intermediate features and 2)to further decompose each intermediate feature vertical into smaller manufacturing features and to apply the variable feed rate to each small feature. The proposed method will provid better efficiency in machining time and cost than the classical method which uses a long string of NC codes necessary to remove a bulky fec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