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unistic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초

진도의 해산 연체동물상 (Faunistic Investigation for Marine Mollusks In Jindo Island)

  • 길현종;윤숙희;김원;최병래;손현준;박중기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5호
    • /
    • pp.29-46
    • /
    • 2005
  • 한국동물분류학회 창립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진도의 무척추 동물상에 관한 공동조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산연체동물상을 연구하기 위해 2004년 6월 29일에서 6월 30일까지 3개 지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모두 37과 77종의 연체동물 종이 채집, 동정되었다. 이들 중 18과 26종은 진도지역에서 처음으로 채집, 보고되는 종이었으며, 특히 Onchidella kurodai (Taki, 1935) 검은콩갯민숭이는 한국 미기록종으로 밝혀져 이에 대한 기재와 도판을 작성하였다. 과거의 문헌기록 등을 포함하여 본 연구로부터 새롭게 기록된 종들을 종합하면 진도 및 인근 지역에서 보고된 연체동물은 현재까치 총 43과 115종이 된다. 생물지리학적 특성의 관점에서 볼 때, 진도에서 발견된 일부 복족류 종들 (Bittium craticulatum, Macroschisma dilatatum, Cantharidus japonicus, C. callichroa, Homalopoma sangarense, Crepidula onyx)은 제주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남해 혹은 동해안 지역에서 이전의 연구를 통해 발견된 종들이었다. 진도지역에는 한반도 서해안 연안에 걸쳐 분포하는 연체동물의 많은 종이 서식하고 있다는 사실과 함께, 본 연구로부터 새롭게 얻어진 발견은 진도가 한반도의 남부 해안과 서부 해안 생물상이 중첩분포하고 있는 지역이라는 이전의 Kim and Kwon (1983)의 의견을 지지하는 또 하나의 증거가 된다. 향후 종합적인 생물상 연구가 수행될 경우 진도지역의 생물지리학적 특성에 관련된 새로운 정보는 물론. 보다 다양한 동물상이 추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A Faunistic Study on Cheilostomatous Bryozoans from the Shoreline of South Korea, with Two New Species

  • Seo, Ji-Eun;Min, Bum-Si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5권1호
    • /
    • pp.19-40
    • /
    • 2009
  • Seventy-one species of the order cheilostomatous bryozoans are reported from coasts of southern Korea. Among them, Callpora inaviculata and Integripelta meta are described as new species and the following eight species are reported as new records of Korea: Membranipora irregulata, Tegella crenulata, Beania regularis, Celleporaria brunnea, Exochella tricuspis, Calyptotheca parcimunita, Microporella borealis, Celleporina rostellata.

채집 방법과 시기 및 빈도에 따른 곤충의 다양성 비교 (Comparison of Insect Diversity in Relation to the Sampling Method, Time And Window)

  • 박근호;조수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75-383
    • /
    • 2007
  • 곤충의 채집방법, 횟수 및 시기와 채집된 곤충의 종류 및 개체수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충북대학교 내 4곳을 선정, 일 년간 봄부터 가을까지 매 2주마다 채집을 실시, 총 16회 조사를 하였다. 각 장소마다 light trap, net sweeping, pitfall trap, window trap의 4가지 채집방법을 병행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모두 14목 672종이 조사되었으며, 전체 종수의 75%인 501종이 채집된 유아등 채집(light trap)방법이 18% 또는 그 이하의 종수를 기록한 타 채집방법들에 비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채집시기에서 채집된 종이 2주 후의 채집에서 다시 채집되는 비율이 평균 30%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곤충다양성 조사에 있어서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채집방법과 함께 채집의 빈도(sampling window)를 높이는 것이 특히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Halicyclops Copepods (Cyclopidae, Halicyclopinae) from Korea

  • Lee, Jimin;Chang, Cheon 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9권1호
    • /
    • pp.36-50
    • /
    • 2013
  • As one of the serial faunistic studies on the brackish cyclopoids from Korea, taxonomic accounts of three species of Halicyclops from various brackish waters in South Korea are provided, with detailed illustrations of them: H. uncus Ueda and Nagai, 2009, H. setiformis Ueda and Nagai, 2012, and H. itohi Ueda and Nagai, 2012. Halicyclops uncus is newly recorded from Korea, and the latter two species are corrected from H. sinensis sensu Chang, 2009 and H. cf. rotundipes sensu Chang, 2009, respectively. As a result, a total of seven species of the genus are now recognized in Korea, and a revised key to the species is presented.

키토와 갈라파고스 제도의 거미상 (Spider Fauna in Quite and Galapagos Islands from Ecuador)

  • 김주필
    • 환경생물
    • /
    • 제20권3호
    • /
    • pp.263-267
    • /
    • 2002
  • 에콰로르의 수도인 키도와 갈라파고스에서 2000년 8월 1일부터 18일까지 거미상을 조사한 결과 총 562개체를 채집하였으며, 그 중 22과 48속 50종을 동정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키토와 갈라파고스 제도에는 배회성 보다 정주성 거미류가 더 우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Gasteracantha cancriformis (Linnaeus 1758)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이에 Gasteracantha cancriformis를 재기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Four Unrecorded Species of Tubificid Oligochaetes (Annelida: Clitellata) in Korea

  • Lee, Jeounghee;Jung, Jongwo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0권4호
    • /
    • pp.240-247
    • /
    • 2014
  • Tubificid oligochaetes are common and frequently dominant in freshwater benthic habitats. They are so tolerant to water pollution that they are often used as biological indicators. Faunistic studies of Korean freshwater oligochaet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recently. The most well studied oligochaete family in Korea is the tubificids following the naidids. Nine species of tubificids have been reported so far. Nevertheless, many species of tubificids still remain to be discovered in Korea. In this study, we added four species of tubificid oligochaetes to the Korean fauna, including Linmodrilus profundicola (Verrill, 1871), Potamothrix heuscheri (Bretscher, 1900), Tubifex blanchardi $Vejdovsk\acute{y}$, 1891, and Ilyodrilus templetoni (Southern, 1909) based on specimens collected from three locations in Korea: Cheonan-si, Geoje-si, and Seocheon-gun. In particular, P. heuscheri was first reported in Asia.

Aquatic Beetles Fauna in Nohwa and Bogil Islands, and Copelatus parallelus (Coleoptera: Dytiscidae) and Scirtes sobrinus (Coleoptera: Scirtidae) New to South Korea

  • Jung, Sang Woo;Min, Hong Ki;Lee, Dae-Hy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2호
    • /
    • pp.128-138
    • /
    • 2020
  • A faunistic list and distribution of aquatic beetles were given with two newly records, Copelatus parallelus Zimmermann, 1920 (family Dytiscidae) and Scirtes sobrinus Lewis, 1895 (family Scirtidae) from Nohwa and Bogil islands in South Korea. As a result, a total of 30 species belonging to 24 genera and eight families were recognized: 12 Dytiscidae species, eight Hydrophilidae species, three Haliplidae species, two Scirtidae species, two Gyrinidae species, one Noteridae species, one Elmidae species, and one Psephenidae species. Composition and habitus photographs of all collected aquatic beetles, habitats, and the diagnostic characters of C. parallelus and S. sobrinus are provided.

Faunistic survey on freshwater annelids from Korea

  • Lee, Jeounghee;Jung, Jongwo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279-288
    • /
    • 2016
  • Aquatic oligochaete plays an important role in freshwater ecosystem. These worms, therefore, have already been extensively studied around the world. But compared to other countries with East Asia, only 48 species of aquatic oligochaetes have been recorded in Korea. This is because taxonomic study of aquatic oligochaete is in just beginning stages. Our specimens of this study had been collected from eighteen locations in Korean peninsula. Analyzing them we identified twenty unrecorded species including one species of aelosomatid: Paranais orientalis, Pristina breviseta, P. notopora, P. foreli, P. synclites, Bratislavia prosetosa, Allonais gwaliorensis, Aulodrilus pluriseta, Limnodrilus neotropicus, L. maumeensis, L. amblysetus, Tubifex ignotus, Potamothrix cf. bedoti, P. bavaricus, Peipsidrilus cf. pusillus, Psammoryctides albicola, Varichaetadrilus vestibulatus, Tasserkidrilus cf. acapillatus, Propappus volki, Aeolosoma japonic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