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ty components

검색결과 872건 처리시간 0.021초

닭에서의 지방산(脂肪酸) 생합성(生合成)에 미치는 급여지방산(給與脂肪酸)의 영향(影響) (Fatty Acid Biosynthesis of Chicken Fed Various Long Chain Fatty Acids)

  • 고태송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13-319
    • /
    • 1978
  • 무지방사료(無脂肪飼料) 및 여기에 17:0, 18:0 혹은 18:2을 첨가(添加)한 사료(飼料)를 병아리에 급여(給與)해서 간장(肝臟) 및 혈장(血漿)의 각지질분획(各脂質分劃)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 미치는 급여지방산(給與脂肪酸)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그 결과(結果) 간장중(肝臟中)의 총지질함량(總脂質含量) 및 각지질분획(各脂質分劃)의 함량(含量)은 급여지방산(給與脂肪酸)에 의해서 영향(影響)받지 않았다. 그러나 17:0을 급여(給與)하면 간장(肝臟) 및 혈장(血漿)의 각지질분획(各脂質分劃)에 17:0 및 17:1 출현(出現)하고, 혈장(血漿)트리그리세라이드에서는 17:0이 또한 혈장(血漿)콜레스테롤에스텔에서는 17:1이 다른 분획(分劃)보다도 유의(有意)하게 높았다. 더욱이 간장(肝臟)에서는 각분획(各分劃)사이에 양지방산(兩脂肪酸)의 분포치(分布値)에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18:2의 급여(給與)도 17:0을 급여(給與)한때와 같이 간장(肝臟) 및 혈장(血漿)의 각지질분획(各脂質分劃)에 18:2이 출현(出現)하고, 특(特)히 간장인지질분획(肝臟燐脂質分劃)에서 18:2의 분포치(分布値)는 다른분획(分劃)보다도 유의(有意)하게 높았다. 그러나 18:0을 급여(給與)해도 이것이 간장(肝臟) 및 혈장중(血漿中)에 특별적(特別的)으로 증가(增加)하지는 않았다. 또한 17:0 및 18:2과 같은 외인성지방산(外因性脂肪酸)의 급여(給與)에 의하여 내인적(內因的)으로 합성(合成)되는 16:1 및 18:1의 분포치(分布値)는 간장(肝臟)에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 PDF

Creation of Multi-Functional Foods

  • Yamada, Koji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9권1호
    • /
    • pp.15-22
    • /
    • 2004
  • Foods contain various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nents which contribute to our health. As shown in Table 1, bioregulatory function of food components a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In the enhancement of biodefense system, dietary fibers (DF), unsaturated fatty acids (UFA), antioxidants are effective. These components are also, effective in other categories. This means that food components are multifunctional. To maintain our health, effective use of multi-functional activity of food components is essential. (omitted)

  • PDF

잣지질 성분의 분획정량 및 각 획분의 지방산 조성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ree Lipid Classes in Korean Pinenut)

  • 김명;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06-412
    • /
    • 1984
  • 잣(Pinus koraiensis S & Z)에서 얻은 총지질 성분을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로 분획 정량하고, 다시 이 분획된 성분을 thin layer chromatography 로써 재분리시켜 구성성분들을 분별하고 scanner에서 정량하였으며, 각 획분별 지방산 조성을 gas chromatography로써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잣지질의 구성은 중성지질이 총지질의 $95.9{\sim}96.7%$, 당지질이 $2.5{\sim}3.2%$, 인지질이 $0.8{\sim}0.9%$였으며, 중성지질에서는 triglyceride(80.8%), diglyceride(6.3%), free fatty acid(5.2%), sterol(4.6%) ,sterol ester 및 hydrocarbon 등이 분별 정량되었으며, 이 중 triglyceride가 주된 물질이었다. 당지질에서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 및 esterified sterylglycoside(23.5%), cerebroside 및 steryl glycoside(7.8%), digalactosyl diglyceride(2.3%) 등이 분별정량되였고, 인지질의 획분에서는 phosphatidyl cho-line(40.2%), phosphatidyl ethanolamine(19.4%), phosphatidyl inositol(7.3%), lysophosphatidyl choline(5.8%), phosphatidyl serine(2.6%) 등이 분별 정량되었다. 2) 각 분획된 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지질의 경우 linoleic acid(48.7%), oleic acid(28.8%), arachidic acid(14.4%), palmitic acid(5.7%), stearicacid(1.84%), linolenic acid(0.7%), myristic acid(0.1% 이하), lauric acid(0.1% 이하) 등이 분리 정량되었으며, 당지질과 인지질에서도 linoleic acid, oleic acid등이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인지질의 경우 palmitic acid(17.7%)와 stearic acid(6.0%)의 함량이 다른 지질획분에 비해 다소 많았다.

  • PDF

싸리종자(Lespedeza bicolor)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ipid Composition of Bush Clover (Lespedeza bicolor) Seed)

  • 김향란;고무석;양희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75-84
    • /
    • 1987
  • 싸리종자의 지질을 chlorform: methanol(2:1, v/v)로 추출한 후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로 분획한 다음 TLC와 GC로 분리,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싸리종자의 일반성분은 수분이 11.60%, 조단백이 20.10%, 조지방이 15.25%, 당질이 48.92%, 회분이 4.13%로 나타났다. 2. 싸리종자의 지질은 중성지질이 71.75%, 당지질이 23.26%, 인지질이 4.99%였다. 3. 중성지질 중에는 triglyceride 61.9%, free fatty acid 22.04%가 주성분을 이루었고 그 외에 free sterol, esterified sterol, diglyceride, monoglyceride 지질 성분이 존재하였다. 4. 당지질 중에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 38.19%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esterified steryl glycoside, steryl glycoside, digalactosyl diglyceride, cerebroside 등의 지질 성분이 비슷한 함량으로 존재하였다. 5. 인지질 중에는 phosphatidyl choline 36.46%, phosphatidyl inositol 21.52%, phosphatidyl ethanolamine 17.29%가 주성분이었고 lyso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serine과 1가지 미확인 인지질 성분이 존재하였다. 6. 전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36.83%, linolenic acid 19.65%, oleic acid 11.25, palmitic acid 9.61%였고 중성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55.36%, linolenic acid 19.40%, oleic acid 12.47%, palmitic acid 9.81%였다. 당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53.26%, linolenic acid 18.67%, palmitic acid 12.20%, oleic acid 11.39%였다. 인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53.86%, palmitic acid 27.83%, linolenic acid 9.51%, stearic acid 5.00%로 전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의 지방산 조성 pattern과는 차이가 있었다.

  • PDF

느타리버섯의 지방성분(脂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in Oyster Mushroom)

  • 권용주;엄태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5-180
    • /
    • 1984
  • 느타리버섯의 지방질을 chloroform methanol(2:1,v/v)로 추출한 후 관, TLC, GLC로 분리(分離), 정량(定量)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느타리버섯은 약 0.51%의 조지방질(粗脂肪質)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중 중성지질은 33.8%, 당지질은19.7%, 인지질은 46.5% 이었다. 2. 중성지질중에는 triglyceride (38.2%), freefatty acid (20%) free sterol (10%)가 주성분이었고 그 외에 diglyceride, monoglycerides, sterol-ester와 3가지 미확인 성분이 존재하였다. 3. 당지질 중에는 steryl glycosides (28.9%)와 esterified steryl glycoside (23.7%)가 주성분이었으며 이외에 digalactosyl diglyceride, monogalactosyl diglyceride와 2가지 미확인 당, 지질성분이 존재하였다. 4. 인지질중에는 phosphatidrl choline과 serine(48.2%), phosphatidyl ethanol amine (44.4%)이 주성분이었고 phosphatidyl inositol도 소량 존재하였다. 5. 중성지질의 주요지방산은 linoleic (34.2%), palmitoleic (21.7%), oleic (17.7%) 및 Palmitic acid(15.3%)였다. 당지질이 주요지방산은 linoleic(47.4%)과 Palmitic acid(15.7%)였으며, 인지질의 주요지방산 역시 linoleic (72.3%)과 Palmitic acid(16.5%) 였다.

  • PDF

Identific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ordyceps Militaris

  • Park, Mi-Ae;Lee, Won-Koo;Kim, Man-S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1호
    • /
    • pp.18-22
    • /
    • 1999
  • Flavor characteristics of raw Cordyceps militaris significatntly different from those of dried one. In the case of raw Cordyceps militaris , major flavor components were composed of 5 alcohols, 3 ketones, 4 phenols, 9 alkanes , and 3 alkenes. The major alcohol was 1-octen-3-ol(22.56%, 1147.3% ng/ml), which con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 green flavor. Ketones (3-ocatone, inparticular )were present in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raw Cordyceps militaris . In contrast, major flavor components of dried Cordyceps militaris were composed of 4 alcohols, 4 ketones, 3 furans, 4 pyrizines, 2 dithiazines, 5 phenols , 8alkenes , 17 alkanes, and 8 fatty acids. Dried Cordyceps militaris had unique sweet aroma of sesame as wella s a milky flavor. Green or fruit flavor were rarely detected . In alkanes , 10 cosanes, component fo wax were present. Typical flavor components of alkanes such as $\beta$-caryophyllen and Δ-cadinene were also detected. Fatty acids of dried Cordyceps militaris ranged from myristic acid (14 :0) to linoleic acid (18 ; 2). The sweet aroma of dried Cordyceps militaris was mostly due to pryazines, dithaiazines, and furans. Two dithaizines were identified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flavor components was a roasted bacon flavor. Strong antibacterial acitivity was observed toward Vibrio spp. such as V. vulnificus, V.cholerae, V. parahaemlyticus. Relatively high antibacterial acitivity was shown toward Bacillus subtilis , B,cereus, Staphyllococcus aureus, and Corynebacterium xerosis.

  • PDF

도라지 및 더덕 첨가식이가 흰쥐의 혈청 및 간장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ing Platycodon grandiflorum and Codonopsis Ianceolata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erum and Liver in Rats)

  • 김소영;김한수;김성희;김희숙;서인숙;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24-530
    • /
    • 1993
  • 도라지 및 더덕과 들깨유 및 홍화유의 혼합 급여가식 이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및 간장의 지방산 조성을 구명하기 위해 Sprague-Dawley계 숫 흰쥐에게 cellulose 5%와 돈지 10%를 대조군으로 하고 도라지 및 더덕 5%씩, 그리고 들깨유 및 홍화유 10%씩을 혼합한 식이를 급여하여 3주간 실험사육한 후 혈청 및 간장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한 결과, 혈청 지질의 총지방산, 인지질,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지방산 조성에 있어 PUFA중 linoleic acid의 함유비가 가장 높아 주요 지방산을 이루었고, 특히 인지질성분을 제외한 여타성분에서는 홍화유를 급여한 5, 6군에서 linoleic acid의 함유비가 현저히 높았으며, 시험유지의 지방산 조성이 크게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의 총지방산, 인지질,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지방산 조성에서 PUFA중 모두 linoleic acid의 함유비가 높아 주요 지방산을 이루었고, 특히 인지질 성분에서는 arachidonic acid와 eicosapentaenoic acid (EPA)의 함유비가 비교적 높았다. 이상의 결과, 혈청 및 간장 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는 linoleic acid의 비율이 가장 높아 시험유지의 지방산 조성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 마의 지질 성분의 분리 및 분석 (Fraction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Lipid Components in Korean Yam (Dioscorea) Tubers)

  • 정혜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509-515
    • /
    • 1994
  • 한국산 마의 주요 품종인 Dioscorea batatas, D. aimadoimo and D. japonica 3가지 품종의 시료들을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만든 다음 지질의 추출,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지질의 분획, thin layer chromatography에 의한 지질의 분리 및 gas chromatography에 의한 지방산 조성 등을 행하였다. 총지질의 함량은 D. japonica가 다른 마에 비해 적은 편이었으며, 지질을 분획한 결과 3가지 품종 모두 중성지질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당지질, 인지질 순으로 나타났다. 분획한 각 지방의 구성 지질로는 중성지질이 sterolester, triglyceride, 1,3-diglyceride, 1,2-diglyceride 및 monoglycerid였고, 당지질에서 acylsterylglycoside, sterylglycoside, digalactosyldiglyceride 및 sulfolipid였고, 인지질에서 phosphatidylethanolamine, phosphatidylcholine 및 phosphatidylinositol 이었다. GC에 의한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팔미트산과 리놀레산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포화지방산 함량보다 많았다. 또한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도 총 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 조성과 같은 양상을 보여 주었다.

  • PDF

녹두발아(綠豆發芽)중 지방질성분(脂肪質成分)의 변화(變化) (Changes in Lipid Components During Germination of MungBean)

  • 최갑성;김재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1-275
    • /
    • 1985
  • 녹두(綠豆)를 7 일간(日間) 발아(發芽)시키면서 2 일(日)간격으로 자엽부(子葉部)와 배축부(胚軸部)의 조지방량(粗脂肪量), 구성지방질(構成脂肪質) 및 구성지방산(構成脂脂酸)의 변화(變化)를 연구(硏究)한 결과(結果) 녹두발아(錄豆發芽)중 자엽부(子葉部)와 배축부(胚軸部)의 조지방질(粗脂肪質)은 다 같이 감소(減少)하였는데 감소(減少)정도는 자엽부(子葉部)에서 더 심하게 나타나며 자엽부(子葉部)의 triglyceride는 계속 감소(減少)하였고 free fatty acid의 함량(含量)은 계속 증가(增加)하였으나 배축부(胚軸部)에서는 반대(反對)경향을 보였다. sterol은 자엽부(子葉部)에서 증가(增加)했고 배축부(胚軸部)에서는 약간씩 감소(減少)경향을 나타냈으며 인지질은 배축부(胚軸部)에서 약간의 증가(增加) 현상(現狀)을 나타냈고 자엽부(子葉部)에서는 계속적으로 감소(減少)하였다. 발아(發芽)중 자엽부(子葉部) 및 배축부(胚軸部)의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은 불규칙하게 변화(變化)했고 자엽부(子葉部)에서는 linoleic acid가 배축부(胚軸部)에서는 stearic acid가 주요(主要)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으로 나타났다.

  • PDF

발아의 경과에 따른 참깨 종실내 주요성분의 변화 (Changes of Major Componets During Germination of Sesame (Sesamum indicum L.) Seeds)

  • 김현경;정대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7-144
    • /
    • 1998
  • These studies were undertaken to investigate changes of major components occuring during germination of sesame (Sesamum indicum L.) seeds, Changes of total lipid and protein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determined. Also, the correponding values of various components in cotyledons, hypocotyls and roots were measured according to germination stag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During germination, total lipid and protein contents decreased. In particular, protein contents rapidly decreased to the 3 days after gemination(DAG), and then total lipid contents rapidly decreased. In changes of total lipid and protein of cotyledons, hypocotyles and roots detected at the 10, 15 and 20 DAG, some variations were determined. The contents of lipid and protein in hypocotyls rapidly decreased, but since than no changes were observed. In contract, in roots similar changes patterns were observed, while since 15 DAG a rapidly increase was wxamined.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 ,saturatedmfatty acids such as palmitic acid increased during the germination. On the other hand, unsaturated fatty acid such as olic acid and linoleic acid de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s. In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 of cotyledons, hypocotlys and roots,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increased during the germination. However, linoleic acid decreased during the same germination suggesting that this may be due to the rapid degradation. However, linoleic acid de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s. According to SDS-PAGE analysis, there was no detectible polypeptide bands on the gel before seed germination suggesting that this may be due to the rapid degradation of the storage peotein in the mature seed by hydrolytic enzymes during the stag. As germination continued polypeptide bands, one with 40KD, two with 32∼34Kd and one with 24KD, were detected on the g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