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igue test serviceability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6초

프리캐스트 바닥판 PSC 합성거더 교량의 거동 (Behavior of PSC Composite Bridge with Precast Decks)

  • 정철헌;현병학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A호
    • /
    • pp.873-88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수평전단 설계식을 적용하여 프리캐스트 바닥판 PSC 합성거더 교량을 설계, 제작하였다. 피로하중에 대한 바닥판과 거더 그리고 전단연결부의 내구성과 거동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피로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200만회 반복하중을 재하한 후 바닥판과 거더의 균열 및 잔류처짐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휨강성의 감소없이 선형거동을 나타냈다. 그리고 전단연결부의 손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정적실험을 수행하여 연결부의 거동과 설계식의 적용성을 평가하고, 극한하중 상태에서의 구조적 성능과 정적강도 등을 평가하였다. 프리캐스트 바닥판 PSC 합성거더 교량은 사용하중상태에서 균열에 대해 2.08의 안전율을 나타냈으며, 파괴 시 충분한 극한내력과 연성거동을 나타냈다. 수평전단 설계식을 프리캐스트 바닥판 PSC 합성거더 교량의 수평전단 설계에 적용할 경우 사용성 및 구조적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경제적이고 신속한 형태의 교량을 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RP 긴장재로 외부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피로거동 (Fatigue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Externally Strengthened using FRP Tendons)

  • 박상렬;홍성룡;김창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6A호
    • /
    • pp.809-817
    • /
    • 2008
  • 최근 사용되고 있은 구조물의 보강 방법 중 내력 및 사용성 향상효과가 타 공법에 비해 월등한 외부 긴장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외부 긴장재로 보강된 구조물에 대하여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 성능에 대한 평가가 부족하고 이에 대한 연구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RP 긴장재로 외부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반복하중에 따른 피로거동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외부 긴장공법의 안전성 및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연구에서는 비교 변수로 외부 긴장재의 종류(FRP 긴장재, Steel 긴장재)와 하중범위를 채택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하중은 FRP 보강 시험체의 항복강도를 기준으로 최소하중을 50%로 삼고 최대하중을 70~85%로 변경하여 4점 재하방식으로 sine파를 이용하여 3Hz의 주기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FRP 긴장재로 외부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한 피로 실험연구 결과로부터 FRP 외부 긴장 공법은 FRP 긴장재, deviator에서의 절곡부, 정착장치 등에서 피로에 대한 충분한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2거더 연속합성형교 요철형 루프이음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피로성능 (Fatigue Performance of Precast Decks using Ribbed Loop Joints in a Two-Girder Continuous Composite Bridge)

  • 이한주;여운영;신동호;김인규;박세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85-93
    • /
    • 2019
  • 프리캐스트 바닥판 공법은 바닥판간 이음부가 존재하며, 이음부의 연결성능에 따라 전체 교량 구조물의 성능이 좌우되므로 이음부의 연결성능 확보가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교량바닥판은 차량하중과 같은 반복하중을 받는 구조물이므로 피로하중에 대한 이음부의 거동 및 성능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요철형 루프이음을 적용한 2거더 연속합성형 교량을 제작하여 정적 및 200만회 반복하중의 피로실험을 통해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구조적 거동 및 균열양상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연결시스템은 균열 폭, 누수, 인장철근의 응력 등 충분한 피로성능 및 파괴강도를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리캐스트 바닥판 이음부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외부부착 보강된 교량 바닥판 균열폭의 반경험적인 예측 (Semi-Empirical Prediction of Crack Width of the Strengthened Bridge Deck with External Bonding Plastic)

  • 심종성;오홍섭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231-238
    • /
    • 2002
  •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은 건조수축 및 온도변화 등에 의하여 초기 1차균열이 발생하고, 사용기간 동안 반복되는 차량하중의 크기와 철근 간격 등에 의하여 초기 균열이 이방향 균열로 점차 발전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균열 예측식이 일방향 부착-슬립이론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철근과 보강재의 간격에 따라 변화되는 교량 바닥판의 균열폭을 예측하고 보강된 바닥판의 사용성을 평가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험결과에 기초하여 성능향상된 바닥판의 균열 메카니즘을 구명하였으며, 이로부터 사용성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균열예측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균열예측식은 기존 균열식에 비하여 예측결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철근 항복 이후 철근과 보강재의 변형률이 급격히 증가할 때 오차범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보다나은 균열예측을 위해서는 피로 하중하에서의 철근 항복이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횡방향 새그를 가진 자정식 현수교의 공탄성 거동(I) -주형의 거동을 중심으로- (Aeroelastic Behaviors of Self-anchored Suspension Bridge with Lateral Sag of Main Cable(I) -Focused on the Behavior of Girder-)

  • 권순덕;장승필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통권31호
    • /
    • pp.259-267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주 케이블에 횡방향 새그를 가진 자정식 현수교의 내풍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풍동실험을 수행하고, 주형의 거동을 중심으로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등류와 난류하에서 수행한 부분 모형 실험에서 가장 내풍안정성이 뛰어난 단면을 최종단면으로 선정하고, 전교 모형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차후 연구를 위한 플러터 계수를 측정하여 제시하였다. 교량의 사용성과 피로문제를 검토하기 위하여 버페팅 응답을 조사하였지만, 공학적 관점에서 만족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형의 항력계수가 상당히 큼에도 불구하고 횡방향 변위가 매우 작게 나타났는데, 이는 주 케이블의 횡방향 새그가 주형의 변위를 구속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연성포장의 예방적 유지보수공법에 대한 현장 적용성 연구 (A Study on Field Application of Preventive Maintenance Method for Flexible Pavements)

  • 김낙석;진정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4D호
    • /
    • pp.565-569
    • /
    • 2011
  • 본 연구는 예방적 유지보수공법의 한가지 방법으로서 최소단면 보수공법을 제안 하였다. 최소단면 보수공법은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종방향 파손(소성변형, 종방향 균열)에 대한 보수공법으로 차량의 주행특성을 통계적 분석으로 추론하여 최소 유효보수범위를 70cm로 산정하였으며, 포장도로의 파손 정도에 따라 유효보수범위 변화를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소단면 보수공법의 현장 적용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시험포장을 하였으며, 시험포장 결과 일정 수준의 공용성을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최소단면 보수공법의 적절한 활용은 연성포장의 합리적 보수공법 중 한 가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연성 포장의 유지보수 및 관리에 대한 장기적 측면에서 볼 때 포장수명 연장과 유지보수비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Fracture resistance of implant- supported monolithic crowns cemented to zirconia hybrid-abutments: zirconia-based crowns vs. lithium disilicate crowns

  • Elshiyab, Shareen H;Nawafleh, Noor;Ochsner, Andreas;George, Roy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0권1호
    • /
    • pp.65-72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racture resistance under chewing simulation of implant-supported posterior restorations (crowns cemented to hybrid-abutments) made of different all-ceramic materials. MATERIALS AND METHODS. Monolithic zirconia (MZr) and monolithic lithium disilicate (MLD) crowns for mandibular first molar were fabricated using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then cemented to zirconia hybrid-abutments (Ti-based).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n=10): (A) control group, crowns were subjected to single load to fracture; (B) test group, crowns underwent chewing simulation using multiple loads for 1.2 million cycles at 1.2 Hz with simultaneous thermocycling between $5^{\circ}C$ and $55^{\circ}C$.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with one-way ANOVA and a Post-Hoc test. RESULTS. All tested crowns survived chewing simulation resulting in 100% survival rate. However, wear facets were observed on all the crowns at the occlusal contact point. Fracture load of monolithic lithium disilicate crown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monolithic zirconia crowns. Also, fracture load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of the all-ceramic materials after exposure to chewing simulation and thermocycling. Crowns of all test groups exhibited cohesive fracture within the monolithic crown structure only, and no abutment fractures or screw loosening were observed. CONCLUSION. When supported by implants, monolithic zirconia restorations cemented to hybrid abutments withstand masticatory forces. Also, fatigue loading accompanied by simultaneous thermocycling significantly reduces the strength of both of the all-ceramic materials. Moreo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fine potentials, limits, and long-term serviceability of the materials and hybrid abutments.

이음철근이 보강된 반단면 프리캐스트 판넬 이음부의 강도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the Precast Half Deck Pannel Joints Reinforced by Connection Rebar)

  • 황훈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40-47
    • /
    • 2019
  • The Half-depth precast deck is a structural system that utilizes pre-cast panels pre-built at the factory as formwork at the construction stage and as a major structural member at the same time after completion. These systems have joints between segments, and the detail and performance of the joints are factors that have a very large impact on the quality, such as the construct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bridge decks. In this study, strength performance evaluation was performed for improved joints using connecting rebar by experimental method. Static loading tests were conducted on the test specimen with improved joint, those with existing joint and those without joint. The test results of the specimen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and the flexural strength required by the design was compared. The flexural strength required in the design was present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It has been shown that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specimens with joints were more than twice that required by the design. But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specimen with existing joint was about 84% of that without joint.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specimen with improved joints was a nearly similar degree of that compared to the specimen without joint. And a comparison of the moment-deflection relationship curves of the two specimens also shows a very similar flexural behavior. It is confirmed that improved joint has sufficient flexural strength. In addition to strength, the bridge decks require serviceability, such as deflection and cracking, and in particular, fatigue resistance due to repetitive live loads is an important performance factor. Therefore, further verification studies are required.

형강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복공판 기술개발 (Development of Steel-Concrete Composite Lining Board using Section Shape Steel)

  • 오수철;양해술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67-75
    • /
    • 2008
  • 본 논문은 형강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복공판 기술개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롤포밍 단면을 배제하고 형강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강합성 단면을 구성함으로써 제작성과 경제성을 확보하고, 전단연결재의 개선을 통해 합성성능 뿐만 아니라 차후 콘크리트와 강재의 분리에 용이한 구조를 개발하였다. 성능검증 실험결과 기존의 전단연결재만으로는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거동을 이루는데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개발 복공판은 설계하중대비 5배 이상의 극한 내하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200만회 피로성능시험에 대해서도 손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우수한 구조성능을 나타냈다. 따라서, 형강을 이용한 합성단면 구성을 통해 구조성능 확보뿐만 아니라 기존 합성복공판 대비 약 27% 정도의 강재량 감소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형 데크 플레이트 중공형 슬래브의 구조성능 및 사용성능 (Structural Performance and Usability of Void Slab Established in T-deck Plate)

  • 홍은애;정란;백인관;윤성호;조승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77-684
    • /
    • 2012
  • 최근 들어 건축물의 LCC 분석 결과에 따른 건축물에 대한 수명연장기술 즉, 건축물의 장수명화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건축물의 장수명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요구되어지는 공간의 다변화에 따른 대응이 필요하게 된다. 건축물의 장수명화를 위해서는 라멘구조가 필수요소이며 이와 더불어서 장스팬 구조 또한 필수적 요소가 되는 것이다. 또한 건축물의 고층화, 대형화, 모듈화 되어감에 따라 장스팬 구조의 필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실현을 위해서는 구성하고 있는 부재의 경량화가 기본 조건이 된다. 이에 콘크리트 슬래브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한 채 부재의 단면2차모멘트를 극대화 시켜 휨 저항에 유리한 I형 구조로 형성된 중공 슬래브로 개발한 T형 데크 플레이트와 경량성형재 조립체를 사용한 중공슬래브의 휨 및 진동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 분석을 통하여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현행기준의 공칭강도에 대한 규정을 사용하여 경량성형재를 사용한 중공슬래브의 휨 강도 설계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