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her's sex-role attitud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아동의 양성형 성역할 정체감 예측요인 (A Study of Predictors of Children's Dual Gender Identity)

  • 홍연란;최청숙;박지옥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13
    • /
    • 2005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ual gender identity, masculine gender identity, feminine gender identity, undifferentiated gender identity with related to Sex, home environments,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of warmth,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of control, role division of parents and determine predictors for dual gender identity. Method : Study subjects were $6^{th}$ grade of primary students with 2,118. Data was collected from Oct to Nov 2003 b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 ${\cdot}$ Among the children, 345 had masculine gender identity, 529 had feminine gender identity, 526 had undifferentiated gender identity, and 718 had dual gender identity. ${\cdo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sex, mother's age, father's age, mother's educational level, father's educational level, existence of mother's job, father's job, social economic status, sex of siblings, mother's job satisfaction, family structure, family atmosphere, child-rearing attitude(warmth and control), role division of parents($p{\leq}0.001$) among 4 groups. ${\cdot}$ The significant predictors for dual gender identity were children's sex (OR = 0,196, P =0.001), father's age(OR = 31.053, p = 0.020), mother's educational level(OR = 43,980, p = 0.001), father's job(OR=27.465, p = 0.001), social economic status(OR=O.941, p=0.001), sex of siblings(OR = 0.329, p = 0.005), mother's job satisfaction(OR = 0.673, p =0.001), family structure(OR = 0.887, p = 0.001), family atmosphere(OR = 23.786, p = 0.001),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of warmth(OR = 8.043, p = 0.001) and child-rearing attitude of control(OR = 0.666, p = 0.005), role division of parents(OR = 3.009, p = 0.001).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of broad understandings about factors which influence dual gender role, and construction of combinative model. Also they suggest parent education for establishment of children's dual gender identity.

  • PDF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양육참여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thers' Sex-Role Attitude and Parenting Involvement on Mothers' Parenting Stress: Focused on Parents with Young Children)

  • 최선화;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33-4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양육참여 및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 관계를 살펴보고,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양육참여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의 어머니와 아버지 383쌍이다.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양육참여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분석했으며,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아버지의 성역할태도가 근대적이고 양육참여에 많이 참여할수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근대적 성역할태도와 높은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해 아버지의 근대적이고 바람직한 성역할태도를 고취시키며 양육참여를 높이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문화 가정 부모의 성 역할태도가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s Sex-role Attitude on Parent-child Relationship in Multicultural Familie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71-179
    • /
    • 2017
  •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와 아버지의 성 역할태도가 부모-자녀관계의 질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서술적 인과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부모의 커플자료 분석을 위해 여성가족부의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대상 중 만 5세 이하 자녀를 두고,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남성으로 구성된 5,531쌍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0.0과 AMO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모형 검증 방법에 기초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성 역할태도가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평등한 성 역할태도를 가질수록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과 간 크기 비교 결과, 어머니보다는 아버지의 경우 성 역할 태도가 부모-자녀관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아버지의 성 역할태도는 어머니-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있는 반면, 어머니의 성 역할태도가 아버지-자녀관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상대방효과 보다는 자기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배우자의 성 역할태도 보다는 자신의 성 역할태도가 부모-자녀관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다문화 가정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 교육 시 평등한 성 역할태도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본 연구는 아버지의 경우에도 평등한 성 역할태도가 긍정적 자녀관계를 촉진할 수 있다는 경험과학적 증거를 확인했다는 의의가 있다.

남자 중학생들이 보고하는 부자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IDDLE SCHOOL BOY'S REPORT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RELATIONSHIPS WITH FATHERS)

  • 조선미;노경선;이호영;김현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1호
    • /
    • pp.113-120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중학생과 아버지 사이의 관계에 미치는 요소들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은 아버지에 대한 지각, 애착, 아버지의 나이와 음주력, 학력 등이 남자 중학생의 자기존중감, 기분, 성역할, 학업성취, 학교생활의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울감과 자기존중감, 아버지에 대한 태도 등에 관련된 자기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원시내 일 중학교를 통하여 대상군을 선정하였으며 196명에게 조사를 시행하였다. 남자청소년과 아버지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 성역할, 애착은 부자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버지의 학력, 음주력, 나이는 부자관계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아버지의 과보호는 남자중학생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제한점을 갖고 있다. 첫 번째로 표본집단이 아닌 소수의 일 집단이라는 점과 둘째로 선행연구가 부재하여 충분한 문헌비교와 고찰이 되지 않았다는 점이며 셋째로 원인분석이 아니라 상관분석이라는 점이다.

  • PDF

여고생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gh-school Girl’s Career Maturity and Its Related Variables.)

  • 이수정;현온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5
    • /
    • 1994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home-environment, mother´s vacational environment, vocational sense and the career maturity of their child in girls high school. Also the study tried to help the children find the proper vocation and to guide them in school. The subjects of this were 514 couple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in girl´s school (2nd grade) living in In-cheon.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are Frequency, Percentage, One-way ANOVA, DMR(Ducn´s Multiple Range Tes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To think of the career maturity of child in home-environment variable, it differed significant-ly by mother´s standard of education and father´s vocation. 2. According to the mother´s vocational environment variablees, career maturity of child differed significantly by work-state the degree of vocational satisfication. 3. To think of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view of vocation the attitude of choosing vocaion is independent whether mother has work or not. The attitude of work and sex-role is openhearted whether mother has work or not. The attitude of work-value is more important in the case of mother´s having work. The attitude of work-respect is formal in both case. In general whether mother has work or not there´s no difference in the mother´s vocational sense. 4. The corelations between the mother´s vocational sense and career maturity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 attitude of chdoosing vocation. 5.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 differed significantly whether they are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 or academic high school student. Based on th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e mother´s age the standard of education the degree of vocational satisfication and the view of vocation are more influenced on the child´s career maturity than the mother´s work itself.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