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ality rate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3초

동영상식 VMS로 사전정보제공시 터널 내 2차사고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Prior Information Given by Video type VMS on Reduction of Secondary Accidents in Tunnels)

  • 신소명;이수범;김형규;박민재;김경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56-62
    • /
    • 2019
  • Secondary accident is common type of accident which occurs in Korean highway tunnels. Fatality rate of secondary accidents in highway tunnels is six time higher than primary accidents. Video type VMS is a new way of providing information to road users which was recently introduced by Korean government to prevent secondary accidents in highway tunnels. In this study we compared changes in driver's behavior when information is provided by Text type and Video Type VMS. In addition to analyze effects of secondary accident reduction, driving behavior was analyzed based on providing advance information by video type VMS at tunnel entrance. Analysis showed that both text type and video type VMS has similar effect on driver behavior. Video type VMS showed positive effect on driver's behavior to prevent secondary accident when information is provided 1km ahead of accident. Considering there results and the short-term memory characteristics of driver, it was determined that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 at about 650m from the entrance of the tunn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stent with the requirement that VMS should be installed at least 500m ahead of tunnel and produce more accurate providing information points. 650m is also appropriate interval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tunnel to cope with an accident ahead.

COVID-19: "영양 아젠다" (Nutrition agenda during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 이명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1호
    • /
    • pp.1-9
    • /
    • 2021
  • This review describes the risk factors of the nutrition crisis in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nfections and suggests precision nutrition against long-term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ress. The mandatory quarantine and the social distancing are associated with an interruption of the lifestyle routine, resulting in psychological (i.e., boredom) and physiological stress. The stress with multiple causes and forms induces over-compensation of energy-dense food, such as sugary comfort food, and is defined as "food craving" because carbohydrates positively affect the psychological stability with serotonin secretion. The consumption of foods that promote an immune response against viral infections (vitamins & minerals; Cu, folate, Fe, Se, Zn, and Vit A, B6, B12, C, and D), reduce inflammatory cytokines (w-3 fatty acids, Vit D, fibers, and Mg), contain antioxidants (beta-carotene, Vit E, C, Se, and phenolics), and sleep-inducing proteins (serotonin, melatonin, and milk products) is essential. In addition, a reduced Vit D deficiency in winter due to less time spent outdoors under quarantine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viral infections. The case fatality rate of COVID-19 was significantly dependent on age, sex, race, and underlying health condition. To prevent malnutrition and cachexia in elderly people, weight loss and muscle wasting should be monitored and controlled. Inadequate protein intake, sedentary lifestyle, and inflammation a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sarcopenia. Moreover, relatively high intakes of fat or carbohydrate compared to low protein intake result in abdominal obesity, which is defined as "sarcopenic obesity." Keeping the food-safety guidelines of COVID-19, this study recommends the consumption of fresh and healthy foods and avoiding sugar, fat, salt, alcohol, and commercially frozen foods.

한탄바이러스 76-118을 이용한 치사 동물모델 확립 (Establishment of a Lethal Animal Model of Hantaan Virus 76-118 Infection)

  • 송영조;유치호;구세훈;허경행;정성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48-355
    • /
    • 2021
  • Hantaan virus(HTNV) causes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HFRS) with a case fatality rate ranging from <1 to 15 % in human. Hantavax is a vaccine against the Hantavirus, which has been conditionally approv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FDS). However, only 50 % of volunteers had neutralizing antibodies 1 year following the boost. Effective antiviral treatments against HTNV infection are limited. Hantaviruses generally cause asymptomatic infection in adult mice. On the other hand, infection of suckling and newborn mice with hantaviruses causes lethal neurological diesease or persistant infec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disease in humans. The development of vaccines and antiviral strategies for HTNV has been partly hampered by the lack of an efficient lethal mouse model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candidate vaccines or antivirals. In this report, we established a lethal mouse model for HTNV, which may facilitate in vivo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candidate drugs against HTNV. The median lethal dose value of HTNV was calculated by probit analysis of deaths occurring within two weeks. Five groups of ten ICR mice were injected intracranially with serial 2-fold dilutions (from 50 to 3.125 PFU/head) of HTNV. Mice injected with HTNV began to die at 8 days post-infection. The lethal dose required to kill 50 % of the mice (LD50) was calculated to be 2.365 PFU/head.

도로 CCTV 데이터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 차량 이상 감지 (Deep Learning-based Vehicle Anomaly Detection using Road CCTV Data)

  • 신동훈;백지원;박찬홍;정경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6
    • /
    • 2021
  • 현대사회에서는 차량을 소유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교통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고속도로 교통사고 문제는 발생률이 낮지만 치사율은 높다. 따라서 차량의 이상을 탐지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이 중에는 딥러닝을 이용한 차량 이상탐지 기술이 있다. 이는 사고 및 엔진고장으로 인한 정차차량 등의 차량 이상을 탐지한다. 그러나 도로에서 이상이 발생할 경우 운전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야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 CCTV 데이터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 차량 이상 감지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먼저 도로 CCTV 데이터를 전처리한다. 전처리는 배경 추출 알고리즘인 MOG2를 이용하여 배경과 전경을 분리한다. 전경은 변위가 존재하는 차량을 의미하며 도로 위에서 이상이 존재하는 차는 변위가 없어 배경으로 판단된다. 배경이 추출된 이미지는 이상을 탐지하기 위해 YOLOv4를 이용하여 객체를 탐지한다. 해당 차량은 이상이 있음으로 판단한다.

국토 교통 공공데이터 기반 블랙아이스 발생 구간 예측 모델 (Black Ice Formation Prediction Model Based on Public Data in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Domain)

  • 나정호;윤성호;오효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7호
    • /
    • pp.257-262
    • /
    • 2021
  • 매년 동절기 블랙아이스(Black Ice)로 인한 사고는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치사율은 다른 교통사고에 비해 매우 높다. 따라서 블랙아이스 발생 구간을 사전에 예측하기 위한 체계화된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질(heterogeneous)·다형(diverse)의 데이터를 활용한 블랙아이스 발생 구간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국토 교통 공공데이터와 기상 공공데이터 42종의 12,574,630건을 수집하여, 결측값을 처리하고 정규화하는 등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뒤 최종 약 60만여 건의 정제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수집된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블랙아이스 예측에 유효한 영향을 주는 21개 요인을 선별, 다양한 학습모델을 조합하는 방법을 통해 블랙아이스 발생 예측 모델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예측 모델은 최종적으로 노선별 블랙아이스 위험지수 도출에 사용되어 블랙아이스 발생 경고 서비스를 위한 사전 연구로 활용될 것이다.

FGI에 근거한 건설기술용역사업자 안전관리 수준평가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Improvement direction of safety management level evaluation on construction technology service providers by FGI)

  • 서재신;윤영근;이재윤;오태근;원정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351-358
    • /
    • 2022
  • 건설업의 사망만인률은 더이상 줄어들지 않고 답보상태에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발주, 설계, 시공, 건설사업관리 등 다양한 건설참여자 주체의 노력이 있다. 정부에서는 타 산업 대비 높은 건설업의 중대재해를 줄이기 위해 건설참여자들의 안전수준을 평가하고 이를 공표하여 경각심을 갖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관리 수준평가의 항목, 기준, 절차에 있어서 현장 상황에 맞지 않는 점들이 나타나고 있어 이들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관리에 가장 열악한 상황에 있는 건설기술용역사업자에 대한 안전관리 수준평가의 개선을 위해 기존 안전관리 수준평가 결과분석, 평가자 및 피평가자 심층인터뷰(FGI)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평가의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시스템안전 관점에서의 건설안전 사고분석 정책의 효과성 및 타당성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Accident Analysis Policy for Construction Safety from the Perspective of System Safety)

  • 이선진;이훈기;신동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46-160
    • /
    • 2023
  • 연구목적: 건설업은 복합공정이 동시에 진행되는 복잡한 메커니즘으로 사고 발생 빈도 와 강도가 다른 산업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고 사망만인율 또한 전 산업의 50% 이상 차지하고 있다. 이런 사고 감소를 위해 정부의 재해조사 방법에 대해 시스템 안전 관점에서 한계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정부의 중대 재해조사에 대한 주요 내용을 파악하고, 시스템 안전 관점에서 효과성/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법규 위반 및 준수에 맞춰진 재해조사 및 분석기법은 근원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기에 한계가 있었으며, 안전 제약, 제어, 계층별 상호작용을 접목할 때 시스템 전체의 구성 요소별로 사고 예방을 위한 대안 제시가 가능했다. 결론:현재의 사고분석 방법에서 시스템 안전 관점의 재해조사 및 분석 방법을 접목할 때 계층별 상호작용의 문제점과 의사소통 과정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어 통합적 관점에서 사고 예방을 위한 대안 제시가 가능하다.

추락 방지용 보조로프의 고정 매듭법과 옥외 노출 환경에 따른 강도저하 평가에 관한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Strength Degradation according to Fixed Knot Method and Outdoor Exposure Environment of Auxiliary Rope for High Altitude Work)

  • 송상민;김태선;김건엽;김송미;권오헌;박우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0-19
    • /
    • 2023
  • Fall accidents account for the highest accident fatality rat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addition, wearing and using a safety belt is the most realistic and important preventive measure to reduce fall accidents. Safety belts are protective devices worn by individual workers; they prevent workers from falling and allow for time to rescue the workers. However, the legal standards for safety belts only stipulate the materials, specifications, and strength of parts; there is no provision for an auxiliary rope fixing method to fix the safety belts safely. Due to this reason, workers in industrial sites arbitrarily fix and use the auxiliary rope. Currently, the most used method to fix the auxiliary rope is to tie a knot, which significantly lowers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compared to the standard strength. Moreover, many construction sites are located outdoors, so the strength of the materials used in the auxiliary rope is inevitably reduced due to various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Therefore,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of the auxiliary rope for fixing the safety belt and the knot-tying method for the auxiliary rope. In this study, the exposure conditions for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moisture were set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for standards establishment and the safe use of the auxiliary rope for safety belts in actual field applications.

수소연료전지선박의 탱크 내 누출시나리오에 따른 영향분석 (The Impact Analysis of the Leakage Scenario in the Tank of Hydrogen Fuel Cell Vessel)

  • 임상진;이윤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22
    • /
    • 2023
  • 현재 통용되고 있는 화석연료로부터 발생되는 환경오염에 대한 대안으로써 대기오염이 발생하지 않는 수소를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까지도 수소 누출에 의한 화재 및 폭발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특수한 환경인 선박에서 수소를 상용화하기 위해 안전에 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소저장탱크가 설비된 수소연료전지 추진선박이 울산 장생포항을 운항하던 중 누출사고가 발생할 경우의 계절별 대안 시나리오와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였다. 또한, 환경변수를 고려하기 위하여 기상청 2021년도 연평균 기상자료와 통계청 지리정보 자료를 토대로 ALOHA와 프로빗 분석을 통해 피해 영향 범위를 도출하였다. 복사열이 대안 시나리오와 최악의 시나리오 모두에서 과압과 화염의 피해 영향범위 보다 넓은 피해범위가 나타났고 프로빗 분석 결과 가정한 모든 구역에서 99%의 사망률을 확인하였다.

대구광역시 교통약자 보행자 교통사고 공간 군집 분석 (Spatial clustering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in Daegu)

  • 황영은;박성희;최화빈;윤상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75-83
    • /
    • 2022
  • OECD 국가 중 보행자 사망 비율이 가장 높은 대한민국은 보행자 중심으로 법령이 제정하면서 안전한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는 노인 인구와 학원이 밀도가 높은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보행자 교통사고 클러스터를 포아송분포를 이용한 스캔통계량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어린이와 노인에 관한 교통사고의 대중 인식을 수집하여 워드클라우드로 살펴본 결과 어린이는 정부와 기업인의 캠페인을 중심으로 노출되고 있고, 노인은 사고감소를 위한 정책연구를 중심으로 노출되고 있었다.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의 상대적 위험성은 공단이 많은 평리·내당·용산동에서 높았고, 학원 밀집도가 높은 만촌·봉무·범어동에서 낮았다.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의 상대적 위험성은 도심에 가까운 용산·죽전·두류·내당동에서 높았고, 범어·삼덕·팔공·봉무동에서 낮았다. 대구광역시 내당동과 용산동은 어린이와 노인 보행사고 위험성이 높아 보행 안전 취약지역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스캔통계량이 교통사고 위험 지역 탐색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