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shion brand store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22초

셔츠의 착용실태와 소재에 대한 주관적 선호감각 (The Wearing Conditions of Shirts and the Subjective Preferences for Shirt Fabrics)

  • 최종명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67-176
    • /
    • 2005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wearing conditions of shirts, and examine the preferred subjective sensation for shirt fabric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69 university students (male students $45.3\%$, female students $54.7\%$) in the Cheongju area, Korea. Frequency, descriptive analysis, $\x^2$ and t-tes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gardless of gender, most owned 4 shirts in the autumn, which were each worn once or twice week. Generally, patterned shirts were less favored than those with solid colors, regardless of gender, but the color of the shirts differed slightly according to gender. Most students gathered items from those displayed in the store as their source of information on shirts, and tended to purchase items worth $30,000\~50,000$ won at franchised stores with friends of the same gender. They almost always looked carefully at the size and brand, but the care label and fiber content were rather neglected during the purchase. While purchasing their shirts, the following elements were considered, in this order of importance: size; color; fitness; comfort; price; tactile sensation. Light, dense, soft, warm, wrinkle-free, dry and strong sensation of the shirt fabrics were the strongest preferences for a purchase.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sensation of shirt fabrics.

물질주의 성향과 의복행동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Materialism and Clothing Buying Behavior)

  • 박광희;서민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1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m and clothing buying behavior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use of information sources, store selection standards, purchase and purchase intention of imported clothing). The data were obtained from questionnaires completed by 400 women in the Taegu area whose age was 20 years and older. The SPSS/PC$^{+}$ package was used for data analysis which included a test of reliability,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t-test, and x$^2$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othing buying behavior between groups who had a higher tendency and a lower tendency toward materialism. In other words, those who had a higher tendency toward materialism enjoyed their shopping and pursued the world-known brands, imported brands, the latest fashions, and conspicious consumption more than those who had a lower tendency of materialism. The former put a greater focus on the latest fashion styles, brand image, and design then the latter when the\ulcorner bought clothing. Those who had a higher tendency toward materialism utilized more information sources than those who had a lower tendency. The former made purchases from the stores where they stock famous world-known brands and well-advertised stores, and had a greater purchase intention of imported clothing than the latter. In the purchase of imported cloth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s.

  • PDF

Development of Individual Stockout Response Index in the Online Fashion Products Shopping

  • Kim, Joo-Hyun;Lee, Jin-Hwa;Kwak, Young-Sik;Hong, Jae-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31-140
    • /
    • 2020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개인품절반응지수(ISRI) 개발에 대한 연구로, 온라인 쇼핑 시 품절 상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지적 반응, 감정적 반응 및 행동적 반응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ISRI는 선행연구인 Kim and Lee(2016/2018)의 인지, 감정 및 행동적 반응을 근거로 하여 개발하였다. 설문 조사는 인터넷 설문 조사 기관에서 2014년 07월에 2주간 진행되었으며 754명의 설문대상자 중 전체 질문에 응답한 회수된 설문지는 총 526부였다. 이 회수된 설문지를 본 연구의 조사에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5.0 Package를 이용하였다. 개인풉절반응지수(ISRI)는 정규분포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의 개인품절반응지수(ISRI)는 개인화, 맞춤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 소비자의 불편한 쇼핑상황인 품절 시 대안의 마련 근거로써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SPA 브랜드의 의류치수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arel Sizing System of SPA brands)

  • 이경화;조미나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5호
    • /
    • pp.139-15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information relating to research on the dimensions of clothing used in the sale of products via the internet that used to target global SPA((Special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brands sold in Korea. A total of 12 SPA brands including seven global SPA brands and five national. SPA brands were surveyed in this study. Brands were chosen net sales and consumer preferences the last three years. In all SPA brands, literal size designation such as S, M, L and numeric size designation such as 0, 2, 4 or 32, 34, 36 etc. were mixed, but in case of Jean, the size codes mark waist circumference were dominant. European size codes were more common in case of European brands while literal codes were more dominantly used for American size codes with in the US brands. By review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body and product size, the product measurement methods of UNIQLO, FOREVER 21 and TOPTEN were much more accountable and excellent than other brands. However, most of the others didn't offer proper information such as pictograms or figures about measurement methods relating body sizes and product sizes. In addition, most of global SPA brands offered size conversion chart which consumers could reference, however of none of the national SPA brands offered a conversion size chart on their website. Regardless of the type of clothing, the coverage of clothing size was higher than in global SPA brands such as H&M GAP compared to national SPA brands. In particular, 8seconds did not present apparel size ranges that fit consumers' individual clothes sizes.

의류점포 구성요인에 대한 소비자 지각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Consumer Perception toward the Components of Apparel Store)

  • 김관일;김미영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6권1호
    • /
    • pp.1-21
    • /
    • 2001
  • 서비스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서비스가 포함하는 범위가 점점 확장됨에 따라, 점포 속성의 하위차원으로 다루어지던 서비스에 대한 재정의와 범위 설정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점포속성을 상품 요인과 서비스 요인으로 구성된 의류점포 구성요인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론적 고찰을 통해 상품요인은 가격, 품질, 유행성, 디자인, 다양성, 상표로, 서비스 요인은 물적 서비스, 판매원 서비스, 정책적 서비스로 구성하였다. 의류점포 구성요인의 차원과 이에 대한 소비자의 중요도 지각의 차이를 밝히고 의복관여와 인구통계적 특성이 중요도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해 연구가 이루어 졌다. 연구 결과 서비스 요인은 크게 물적 서비스, 판매원 서비스, 교환/환불 태도 및 정책 서비스, 판촉정책 서비스, 편의정책 서비스로 밝혀졌다. 응답자들은 교환/환불 태도 및 정책 서비스를 가장 중요하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20대는 교환/ 환불에 대한 위험을 크게 지각함을 알 수 있었고, 판매원 서비스, 상품의 품질, 상품의 다양성 등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각 서비스 차원별 세부 내용의 중요도는 물적 서비스에서는 디스플레이, 판매원 서비스에서는 신속한 불만족 해결능력, 정책적 서비스에서는 교환/환불시 친절한 처리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의복관여와 인구통계적 특성도 중요도 지각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국 라이프스타일 샵의 VMD 구성요소 특성 분석 (Analysis of VMD Elements Characteristics of Chinese Lifestyle Shops)

  • 김현주;이민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267-278
    • /
    • 2021
  • 본 연구는 중국내 1인가구의 증가 및 소비패턴 등의 변화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샵이 급부상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중국의 라이프스타일 샵을 선정하여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화를 두었고 또한 VMD 구성요소 특성 분석을 통해 중국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라이프스타일 샵의 VMD전략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 라이프스타일 샵-GAROSU, CH'IN, NOME의 VMD의 진열적요소에서 집기와 소도구는 상품컨셉과 디자인에 따라 차별화된 형태 및 재질을 이용하고 있었고, 비주얼이미지의 정보내용, POP의 내용에 있어서 라이프스타일샵의 컨셉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연출적 요소에 있어서도 VP, PP, IP에 있어서 매장 상품군 및 상품의 진열량에 따라 VP의 형태와 PP, IP의 연출방법 등에 있어 차이가 있었다. 후속연구에서 국내 라이프스타일 샵에 관한 연구 및 중국과 국내 라이프스타일샵의 VMD 비교분석 연구를 진행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oduct Information in Online Jeans Shopping by Consumers' Evaluation Criteria

  • Choi, Eun-Ha;Chun, Jong-Suk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13권1호
    • /
    • pp.42-5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differences in evaluation criteria and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jeans products consum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women age of 19 to 30 years. This study was implemented by descriptive survey method using questionnaires. A total 18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grouped by the evaluation criteria of purchasing jeans through an online shopping. Finding of the study showed that, Group 1 was high involvement group. They conscious of both style feature and practicability of jeans when they bought jeans. Group 2 was low involvement group. They are not conscious of those features. The important factors were different by groups.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purchasing jeans for Group 1 were fashion trend and practicality. Pric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Group 2. They bought jeans at extremely low or high price. On the other hand, Group 1 bought jeans of diverse prices range. The popular shopping sites were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 department store was the most important place purchasing jeans for both groups. The second important place was specialty stores for Group 1, and online shopping for Group 2. The usefulness of product informations were also examined when they evaluated the jeans at online shopping. The most useful product informations were leg cut style and rise length. Fit information was very important for Group 1. Group 1 considered that the function of zoomming the picture image was important. The material characteristic and name of brand were also useful than Group 2. But the size and care instruction were not highly useful.

  • PDF

수입자동차 시장의 소비요인, 만족, 행동의도, 추천의도 간의 관계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ption Factors,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 and Recommended Intention in the Imported Car Market)

  • 김현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18-12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폭발적 성장을 하고 있는 한국 수입 자동차 시장의 구매요인을 선행연구에서 규명된 명품소비요인을 통해 만족, 행동의도, 추천의도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명품소비요인인 브랜드 품질, 유행, 자기과시, 매장분위기가 독립변수로 종속변수인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독립변수들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다만 매장분위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은 행동의도에 강한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행동의도는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은 채택 되었다. 연구결과를 해석하면 소비자들은 수입차 구매 시 심리적 요인에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재구매나 타인에게 추천할 때에도 소비자들은 심리적 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수입자동차 소비요인을 기존의 명풍소비요인을 이용해 실증분석한 것이다. 실무적 시사점은 수입차 실무자들에게 마케팅 전략의 근거를 제시한 것이다. 수입차 시장에서 품질과 서비스에 관한 연구는 많지만 심리적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기에 이번 연구결과가 이론적 실무적 가치를 가진다.

전남지역 청소년기 여학생의 쇼핑유형과 의류제품의 윤리적 소비행동 연구 (The Ethical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of Female Adolescents in Jeollanamdo Area by their Shopping Orientation)

  • 위은하;박우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7-71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기 학생들의 소비행동을 분석하여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여학생들의 쇼핑성향에 따른 하위요인을 도출하고 이 하위요인에 따른 쇼핑유형을 분류하였다. 이 쇼핑유형의 집단에 따른 청소년 여학생의 의류제품의 윤리적 소비행동 즉 구매, 사용, 처분행동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쇼핑성향의 하위요인이 의류제품의 윤리적 구매, 사용, 처분행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청소년기의 여학생 의류제품의 윤리적 구매, 사용, 처분행동의 경향이 보통보다 낮아 교육이 필요함이 시사되었다. 그리고 쇼핑성향의 하위요인인 충성적 성향, 향유적 성향, 충동적 성향, 모방적 성향, 독립적 성향에 따라 즐거움추구 유형, 중간 유형, 독립추구 유형의 세 쇼핑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즐거움추구 쇼핑유형은 상대적으로 의류제품의 윤리적 사용행동을 가장 많이 하였고, 독립추구 쇼핑유형은 윤리적 구매행동과 윤리적 처분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쇼핑자체를 즐기는 욕구만족의 성향이 낮을수록 혼자서 의사결정을 신중하게 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그리고 구매상표와 점포에 대한 신뢰가 강한 능동적인 성향이 높을수록 의류제품의 윤리적 구매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반면 욕구만족의 성향과 독립적인 성향을 모두 가진 경우 윤리적 사용행동은 더 많이 하였다. 그리고 혼자서 구매의사결정을 하는 독립적 성향만 높을수록 윤리적 처분행동은 높아졌다. 소비단계와 쇼핑성향에 적합한 세분화된 소비자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