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shion archives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1초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작품을 통한 패션디자인 창작 (Creation of the Fashion Design in Roy Lichtenstein's Works)

  • 전용옥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287-296
    • /
    • 2007
  • 최근 우리나라 여성들의 패션경향은 단순히 유행을 따르던 시대를 지나 자신만의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미를 살리려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패션 디자인에 있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해야 함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본 연구는 1960년대 팝 아트의 대표적인 작가인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작품세계를 연구하고 이를 현대적 감각에 맞는 의상과 접목시킴으로써 예술세계의 실용화와 더불어 의상세계의 예술화를 추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이 리히텐슈타인은 만화를 비롯한 인쇄 매체물에 환등기의 기계적인 기법을 도입하여 벤데이(Ben Day)점들을 창안해 내었다. 본 연구는 그의 작품을 응용하여 의상을 제작함에 있어 그 작품의 특징 중 벤데이 점과 사선, 삼원색의 기본색 사용, 단순화된 평면 형태에 주목하였다. 둘째, 그의 작품의 대표적인 특징인 벤데이 점은 의상에 응용하여 다양한 모양과 크기와 색의 다트(Dot) 문양으로 응용하여 표현하였다. 그리고 그의 사선은 다양한 크기와 색의 스트라잎(Stripe) 문양으로 표현하였다. 셋째, 그의 작품에 사용된 삼원색과 무채색을 의상의 기본 색상으로 사용하였으며, 단순화된 평면 형태의 조형적 특징을 활용하여 단순하고 대담한 스타일의 의상을 디자인 하였다.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만화적 이미지의 이용, 망점 스크린과 사선, 강렬한 색채 등은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어지고 미래 많은 패션 디자이너에게도 무한한 디자인 영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디지털 환경에 따른 패션분야의 디자인 교육방향 연구 I (A Study for an Educational Direction in Fashion Design Subjected to Digital Environment I)

  • 이미량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33-44
    • /
    • 1999
  • 다음시즌을 예측하는 트렌드와 유행 경향은 이미 오래 전부터 디지털 환경과 사이버 환경을 패션의 요소로 지적해왔으며 패션분야의 디지털 환경뿐 아니라 패션에서 접하게 되는 모든 디지털환경은 미래패션의 존재 상황임과 동시에 패션의 감각으로 추구해야 할 대상이며 요소가 된다. 한편 디지털 환경과 관련한 첨단기술, 사회의 변화는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현장에서 교욱 방법뿐 아니라 교육의 내용까지도 변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디지털 환경속에서 미래사회를 대비한 패션디자인 교육의 방향은 모색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 확산에 영향 받는 패션분야의 환경변화를 패션디자인교육의 환경 차원에서 연구하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미래사회에서 패션의 중추인력으로 활동하게 될 미래패션디자인의 전문가를 위한 교육방향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미래사회를 위한 패션분야의 디자인전문가 교육은 디지털 환경이 주축을 이루는 미래사회를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디지털마인드를 포함한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CAD 프로그램을 비롯한 컴퓨터, 디지털 매체에 대한 경험이 필수적이고, 디지털매체에 대한 교육은 매체사용기능 훈련만을 위한 측면 보다는 패션분야의 교육과 연계되어 경험되는 CAI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시간적 효율성과 전문분야의 응용력을 높인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하겠다. 21세기 미래사회는 지식의 창의력이 가치 창출의 원천이 되고 국가 경쟁력의 원동력이 되는 사회 패션분야의 디자인 전문가를 위한 교육은 미래사회으 ㅣ환경적 특징을 긍정적 방향으로 수용하며 미래를 대비한 교육에 심도 깊게 반영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있었다.하였다. 본 연구는 흰쥐 유선에서 LH subunit들과 수용체 유전자가 발현됨을 최초로 보고한 것으로서, 흰쥐 유선이 LH의 생성처이면서 동시에 작용처이며 유선에서 합성된 GnRH의 조절하에 국부적인 인자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f variation)가 10% 내외로 만족할 만한 범위에 들었다. 본 실험 방법을 타액과 혈청내 testosterone 농도 측정에 응용하여 RIA의 결과와 비교하여 본 바 상관관계가 타액에서 r=0.969, 혈청에서 r=0.990으로 두 결과가 잘 일치하였다. 본 실험에서 측정된 한국인 여성의 타액내 testosterone농도는 107.7$\pm$12.0 pmol/l이었고, 남성의 타액내 농도는 274.2$\pm$22.1 pmol/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정립된 EIA 방법은 RIA를 대신하여 소규모의 실험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또한 상실기 이후 배아에서 합성되며, 발생시기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고 팽창과 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 PDF

조선시대 연화대무 동기복식 고증 및 재현 (The Costume of Young Girls Damcers is Yon Wha Dae Moo of Chosun Dynasty)

  • 김경실
    • 복식
    • /
    • 제52권6호
    • /
    • pp.1-13
    • /
    • 2002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stumes of young girl dancers in Yon wha dae moo(연화대무: Lotus Stage dance) which were documented on the Ak-hak-guae-bum(악학궤범: Protocol of music) and the Jin-yeon-eui-guae(진연의궤: Archives of Royal Feast). The fashion of the costumes can be changed into three phases, based mainly on the changes of Hap-rip(합립: silk hat), Dan-eui(단의: long jacket) and Sang(상: apron type skirt). In the first phase the costume consisted of Hap-rip, round neck-line Dan-eui and tiered skirt decorated with pleat and Yu-so(유소: decorated cords). In the second phase. it consisted of Hap-rip, v-shape neck-line Dan-eui and skirt without pleat. In the third phase, it consisted of Yeon-wha-gwan(연화관: Lotus shape cap), round neck-line Dan-eui of later era and skirt with pleat and Yu-so. Yon-wha-dae dance appears to be adopted from Ja-ji-mu( 자지무: chinese dance) that originated in West and Central Asia. In both dances. young girl dancers danced mainly jump and spin. The costume of round neck-line Dan-eui seems to have been affected by the fashion in Dang Dynasty when young girls loved to wear Dan-ryung(단령: male coat with round neckline). And it satisfied the need of mobility for the dance which was Performed mainly with jump.

유리 반전 전완피판술을 이용한 수지부 결손의 치료 (Reconstruction of the Finger Defect with Free Vascularized Reversed Radial Forearm Flap)

  • 정덕환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7권2호
    • /
    • pp.122-128
    • /
    • 1998
  • Radial forearm flap is one of the most useful skin flap in hand reconstructuion with distally based reverse pedicled or free vascularized fashion. Athors modified that flap into reverse pedicled and free vascularized flap which has advantages of both methods. The modification composed with harvesting flap on recipient side distal forearm just as free flap, than apply it as reverse distal pedicled flap fashion with microvascular anastomosis with distal vascular stump of donor radial vessels. We underwent this method in 5 cases in finger reconstruction from 1996, all of the cases had sucessful results. The advantages of this method are: 1. Thin flap which is compatible to finger skin can harvest from distal forearm with very long vascular pedicle that can be passed under the subcutaneous tunnel which avoid additional skin incisions on the hand. 2. The vessels of donor site and recipient site are same vessel in effected side of forearm, which can preserve contralateral side forearm and hand keep intact. 3. The flap can cover the defects on distal portion of the fingers which is difficult in conventional reversed radial forearm pedicled flap because of limited mobilization of flap due to limitation of pedicle length reach to tip of the fingers.

  • PDF

Use of the cross-leg distally based sural artery flap for the reconstruction of complex lower extremity defects

  • Liang, Weihao;Tan, Bien Keem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6권3호
    • /
    • pp.255-261
    • /
    • 2019
  • Cross-leg flaps are a useful reconstructive option for complex lower limb defects when free flaps cannot be performed owing to vessel damage. We describe the use of the extended distally based sural artery flap in a cross-leg fashion for lower extremity coverage in three patients. To maximise the viability of these extended flaps, a delay was performed by raising them in a bipedicled fashion before gradual division of the tip over 5 to 7 days for cross-leg transfer. Rigid coupling of the lower limbs with external fixators was critical in preventing flap avulsion and to promote neovascular takeover. The pedicle was gradually divided over the ensuing 7 to 14 days before full flap inset and removal of the external fixators. In all three patients, the flaps survived with no complications and successful coverage of the critical defect was achieved. One patient developed a grade 2 pressure injury on his heel that resolved with conservative dressings. The donor sites and external fixator pin wounds healed well, with no functional morbidity. The cross-leg extended distally based sural artery flap is a reliable reconstructive option in challenging scenarios. Adequate flap delay, manoeuvres to reduce congestion, and postoperative rigid immobilization are key to a successful outcome.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패션 제품의 이미지 선호도(제 1보) -35$\sim$59세 중년 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Image Preferences of Fashion Product According to Life-Style Groups -Focused on Middle-Aged Women between 35 and 59 Years Old-)

  • 심정희;연명흠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143-154
    • /
    • 2007
  • 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사회학, 심리학 및 마케팅 분야 등에서 행해져 왔으나 각 분야의 연구의도나 목적에 맞는 이미지 개념을 적용시켜 왔기 때문에 이미지에 대한 공통적인 개념을 규정하기는 쉽지 않다. 최근 감성공학에서 출발한 감성평가를 통해 제품의 이미지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려는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년 여성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후, 이에 따른 패션제품에 대한 이미지 선호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선행 자료의 분석을 통한 문헌연구와 설문지법을 통한 실증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35$\sim$59세 여성으로, 총 352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11.0과 SAS for program 8.1 version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그 결과 패션 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품위성, 대담성, 실용성, 여성성의 4개 인자로 하였다. 또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을 전통보수형, 소극정체형, 적극생활형, 외모중시형의 4개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패션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 본 결과 전통보수형은 품위 있으며 실용적인 이미지의 패션 제품을 선호하였고, 소극정체형은 모든 패션 제품에 흥미를 보이지 않으나 여성스러움을 다소 추구하였다. 적극생활형은 대담한 이미지의 패션 제품을 선호하였으며, 외모과시형은 여성스러우며 다소 품위 있고 대담한 이미지를 선호하였다.

  • PDF

복식에 표현된 청색 이미지의 고찰 (Study on the Image of Blue in Apparel Design)

  • 강병희;김영인
    • 디자인학연구
    • /
    • 18호
    • /
    • pp.87-96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청색을 대상으로 하여, 청색이 전달하는 이미지의 색채표현 특성을 파악한 후, 색채관련 문헌자료의 고찰을 통하여 상징적 측면에서 청색이미지를 분류하였다. 또한, 20세기 이후의 복식 룩(look)을 중심으로 하여 복식에 나타난 청색이미지를 고찰하였고 국내 의류제품에 사용된 청색의 색채경향을 파악하여 복식에 주로 사용된 청색과 그 이미지를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청색은 한색, 후퇴 색, 진정 색이라는 청색의 색채표현 특성에 의하여 긍정적인 이미지로서는 신성함, 고귀함, 무한함, 정신, 낭만, 깨끗함, 차가움의 이미지를 전달하였고 부정적인 이미지로 우울함, 반항, 악마 등의 이미지를 전달하였다. 현대 서구 여성복식에서는 회색 띤 색조를 제외한 다양한 청색 조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복식에서는 클래식 룩과, 워크웨어 룩, 밀리터리 룩, 마린 룩 등에서 어두운 청색이 주요한 이미지 요소로 작용하여 전통적인, 보수적인, 남성적인, 딱딱한, 절제된 이미지를 나타내거나 흰색과 배색되어 산뜻한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최근 국내 의류제품에 사용된 청색의 색채경향 분석결과에서는 보라 띤 청색의 주로 연하거나 어두운 색조가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97/'98 F/W까지의 유행 예측 색으로서의 청색에서는 녹색 띤 청색과 보라 띤 청색의 연하고 밝고, 탁한 색조가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결합 유리피판을 이용한 상지 복합결손의 재건 (Combined Free Flaps in Reconstruction of Upper Extremity)

  • 김석원;이준복;이성준;설철환;서동완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3권1호
    • /
    • pp.1-6
    • /
    • 2004
  • Advances in microvascular techniques and refinements in microsurgical tissue transfers have enabled surgeons to combine different tissue components and reconstruction into a single-stage operation in extensive or composite defect following injury. Some problems and consideration for extensive or composite defects are form, shape, function, and dimension of the defect sites. Therefore combination of two or more flaps is required to reconstruct extensive or composite defect. This paper presents our clinical experience of four cases of combined free flaps with or without sequential microanastomosis in reconstruction of upper extremity based on peroneal flowthrough, thoracodorsal, and dorsalis pedis vascular system.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without flap loss and complications. The free flaps were combined in th following fashion; two cases by bridge fashion, one by chimeric microanastomosis and one by simple chimeric fashion. The median follow-up time on all patients was 21.7 months. Donor site morbidity was minimal. Extensive soft tissue or composite defects can be effectively covered by various combined flaps. Even though the risk for complication exists, the options of combination with or without sequential microanastomosis can add a functional or sensory dimension to reconstruction of complex wounds.

  • PDF

유리 중족-족지관절 이식술을 이용한 주관절 전치환술 (Biologic Arthroplasty of Elbow with Free Metatarso-Phalangeal Joint Transplantation)

  • 정덕환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9권2호
    • /
    • pp.154-157
    • /
    • 2000
  • Author report a case of double metatarso-phalangeal joint transplantation to the elbow joint in the 31 years old female patient who have large bone defect associated with skin and soft tissue defect. The donor joints were second and third metatarso-phalangeal joint as double joint transfer fashion to enhance stability of graft. The graft based on dorsalis pedis vessel to anastomosed with radial artery of recipient site. The result is unsatisfactory because of long lasting lateral instability of reconstructed elbow joint in spite of 40 degree flexion motion and fair axial stability. We can conclude that joints from foot can not be an effective donor for biologic joint arthroplasty of elbow joint even though double metatarso-phalangeal joint were harvested.

  • PDF

접기 기법의 입체적 조형이 도입된 복식 디자인 연구-접기 기법의 표현 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shion Design of Threedimensional Modeling-Paper Folding Expression-)

  • 김지희;양취경
    • 디자인학연구
    • /
    • 18호
    • /
    • pp.75-84
    • /
    • 1996
  • 모든 예술적 표현 활동은 서로 깊은 연관을 지니고 있으며, 복식 디자인 역시 예술적 표현 활동의 한 분야로서, 현대에 이르러 복식은 단순히 입는다는 개념을 탈피한 하나의 조형 예술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예술적 표현 활동은 조형 제작 활동의 주체인 인간이 예술적 표현의 의지를 사물로 객체화하는 과정에 있어서, 그 재료와 재료의 가공 기법을 통해 표현되는 활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근자에 이르러 종이는 예술표현 활동에 있어서 진정한 표현 매재로 간주되고 있으며, 특히 종이를 예술적 표현을 위한 피동적 표면이라는 재료로서의 고정된 관념에서 탈피하여 입체적 조형이 시도되고, 이러한 종이의 입체로의 성형 가능성에 대한 발견은 조형 매체로서의 종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종이 조형에 의해 표현되는 조형성을 복식에 적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종이를 통한 조형성 표현의 여러 방법 중 특히 접기의 방법을 응용하여, 접기 기법의 조형요소로서의 특성과 인체와 결합하여 복식으로 이루어졌을 때 새로운 조형물로 인식되어질 수 있는 복식의 형태를 시도하였다. 작품은 접기 기법에 의해 형성되는 조형성을 복식을 응용하여, 복식에 대한 기하학적 조형성과 함께 새로운 실루엣과 이미지를 창출하며, 복식의 새로운 표현 영역의 확대를 위한 실물 작품으로 제작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