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rinograph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18초

인삼첨가 Long Life 면의 조직감과 관능적 특성 (Effects of Ginseng on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Long Life Noodles)

  • 심창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23-528
    • /
    • 1999
  • The influence of ginseng on the paste or gelatinization properties by amylograph and mixing properties by farinograph of wheat flour and on quality properties color cooking quality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and reducing microbial population of LL(Long Life) noodles was studied. The contents of ginseng used were from 5% to 10% based on flour weight. The viscosity property of wheat flour with ginseng was increased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but the amylograph peak viscosity were decreased in vice versa. The farinograph absorption stability and breakdown were increased by ginseng. The whiteness of Ll nodles manufactured with ginseng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The shear extrusion force and hardness of LL noodles manufactured with ginseng were shown much higher value than those of control. At cooking quality examination of LL noodles manufactured with ginseng weight of cooked LL noodles was decreased but volum was appeared in ice versa,. Extraction amounts of LL noodles manufactured with ginseng during cooking were much smaller than those of control Total count of microorganism of Ll noodles manufactured with ginseng were decreased during storage at 3$0^{\circ}C$ Sensory properties of cooked LL noodles which was manufactured with ginseng showed quite acceptable. Based on the cooking and sensory evaluation test addition of 7.0% ginseng to wheat flour may be suitable for processing LL noodles.

  • PDF

누룽지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with Nurungji Powder)

  • 최익준;김도연;정장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59-166
    • /
    • 2017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added Nurungji, scorched rice. Nurungji powder at the level of 5% (N5), 10% (N10), 15% (N15), 20% (N20) was mixed with flour to make the bread. The overall effects of nurungji powder in pan bread were examined by investigating fermentation rates, volume change, farinograph and TPA analysis, color and preference evaluation. A control showed the highest fermentation rate by 60 mi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samples. Farinograph analysis showed that the water absorption rate was the lowest in control and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nurungji powder. In contrast, in dough development time, control was the shortest and the N20 was the longest. Dough stability showed the best with control, N20 showed the lowest value, and Dough weakness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rice powder was increased. According to TPA analysis it had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dness and chewiness in the bread with Nurungi. Volume and specific volume tended to decrease as the amount of rice powder added increased.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texture of bread had the highest with control, and the overall preference such as color, taste, and flavor showed the best with N15.

클로렐라 첨가량을 달리한 반죽의 물성과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extural Properties of Dough of White Pan Bread with Added Chlorella Powder)

  • 김영호;한명륜;윤성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81-691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and the rheology of flour dough containing chlorella powder(0%, 0.5%, 1.0%, 1.5%, 2.0% and 2.5%). In the farinograph test, the addition of chlorella powder changed water absorption, development time and mixing tolerance index for making bread. As the amount of chlorella powder increased, the water absorption increased, mixing tolerance index and the development time decreased. In the extensograph test, the degree of extension and resistance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chlorella powder content. In the amylograph test, the maximum viscosity was sligh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chlorella powder contents. The colors of L value in bread crumb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chlorella powder addition. After fermentation treatment, The dough with 2.5% chlorella powder showed the lowest dough raising power compared to the other doughs. The addition of the chlorella powder had significant effect on bread texture. The bread consisting of 0.5% chlorella powder showed the highest volume of loaf and specific volume. Therefore, high quality of bread can be achieved by adding chlorella powder.

홍국 발효액종이 식빵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quid Broth Cultured with Red Koji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White Pan Bread Dough)

  • 김영은;백현동;김수영;이정훈;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35-239
    • /
    • 2011
  • 홍국 배아미 5%와 10% 벌꿀용액으로 제조한 홍국 발효액종을 10-40% 첨가하여 밀가루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으로 falling number, RVA(rapid visco analyzer), farinograph, alveograph 등을 분석하였다. 홍국 발효액종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falling number 값이 낮아졌으며 10% 첨가시 $363{\pm}7.8s$, 20% 첨가시 $318{\pm}2.1s$이었다. 호화도 특성에서 홍국 발효액종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초기점도 온도와 breakdown은 상승하였고, 최고점도와 set-back값은 낮아졌다. Farinograph에서 대조구와 시험구간에 흡수율은 64.3-65.0%로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반죽형성시간은 발효액종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빨라졌고, 안정도는 저하되어 20% 첨가시는 9.3 min, 40% 첨가시는 3.0 min이었으며 약화도도 빨라졌다. Alveograph에서 $P_{max}(mm)$는 대조구가 158.0 mm이었으나 발효액종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여 40% 첨가시 190.0 mm이었다. 그러나 L, G, W 등의 값은 낮아졌다. 이상의 실험으로 홍국 발효액종을 20% 첨가까지는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인 제빵적성에 영향이 적어 빵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Hydrocolloids가 쌀을 첨가한 빵용 밀가루 반죽의 물성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drocolloi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d Flour Dough with Rice Flour)

  • 김양훈;이정훈;정구춘;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819-1825
    • /
    • 2015
  • 강력분 80%와 쌀가루 20%를 혼합한 후 검류로 HPMC, xanthan gum, guar gum, glucomannan 등을 각각 1% 첨가하여 반죽의 물성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혼합분의 Amylograph 분석에서 호화온도는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5). 최고점도 온도도 같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최고점도는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glucomannan 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Viscograph 분석에서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는 Amylograph 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유지온도와 냉각온도에서의 점도는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Breakdown은 xanthan gum 첨가구의 값이 가장 높았고 대조구와 HPMC 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setback은 HPMC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Farinograph에서 반죽의 되기는 HPMC 및 xanthan gum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흡수율은 glucomannan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반죽형성시간은 대조구에 비하여 guar gum 첨가구가 길었다. 안정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HPMC와 guar gum 첨가구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xanthan gum 첨가구는 훨씬 짧아져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5). 약화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HPMC와 guar gum 첨가구는 짧아졌으나 xanthan gum과 glucomannan 첨가구는 길어졌다. FQN은 HPMC와 guar gum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반죽의 발효부피 분석에서 guar gum과 HPMC 첨가구의 부피가 컸고, 반죽의 pH는 HPMC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이상의 실험으로 hydrocolloids가 밀가루와 쌀가루 혼합분의 paste, 반죽, 발효부피, 반죽의 pH 등에 영향을 주었다.

Polymannuronic Acid 첨가 반죽의 물리적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dded with Polymannuronic Acid)

  • 최근표;이광석;채동진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5권2호
    • /
    • pp.219-230
    • /
    • 2004
  • 알긴산에서 고혈압 억제기능이 우수한 생리활성 물질인 polymannuronic acid을 밀가루에 첨가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빵을 제조하여 품질향상을 기하고자, 빵의 제조에 적합한 물리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반죽의 물리적 특성은 amylograph, farinograph 및 extensograph를 행하여 살펴보았다. 밀가루와 혼합분말의 호화양상은 밀가루 100%의 호화 개시온도는 $61.0^{\circ}C$였으며, 폴리만의 첨가비율을 1%, 3%, 5%로 증가하였을 때 $63.5^{\circ}C$로 일정하였다. 최고점도 온도는 100% 밀가루에서는 $92.0^{\circ}C$, 1% 첨가 시 $92.5^{\circ}C$를 나타내었으며 3% 첨가와 5% 첨가는 일정하였다. 최고점도는 $\alpha$-amlyase 활성정도를 나타내는데 100% 밀가루에서는 525 B.U이며 폴리만 1% 첨가는 498 B.U, 3% 첨가는 385 B.U를 나타내었으며, 5% 첨가에서는 360 B.U로 크게 감소하였다. Farinogram의 반죽특성을 보면, 수분흡수율은 100% 밀가루만을 사용한 대조군 65.7%보다 폴리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반죽형성 시간은 대조군 5.0분보다 폴리만 3% 첨가 시까지는 증가하였지만 5% 첨가 시에는 3.0분으로 감소하였다. 반죽의 약화도는 밀가루 100% 사용한 대조군은 45 B.U나타내었으나, 폴리만 1% 첨가 시에는 20 B.U를 나타내었으며, 3%와 5% 첨가 시에는 0 B.U를 나타내어 글루텐의 구조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Extensograph에서 대체로 폴리만의 증가에 따라 저항도는 증가하였으나 신장도는 감소하여, 저항도와 신장도의 비는 증가하였다.

  • PDF

한국형 찐빵 제조에 적합한 시판 밀가루 품질 밑 적정 제빵 조건 (Commercial Wheat Flour Quality and Bread Making Conditions for Korean-style Steamed Bread)

  • 김창순;황철명;송양순;김혁일;정동진;한재홍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20-1128
    • /
    • 2001
  • 한국형 찐빵 품질에 적합한 시중 밀가루 품질과 발효 시간 (0~60분) 및 첨가 재료(베이킹파우더, 쇼트닝)가 찐빵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자 박력분(LF), 중력분(MF), 강력 분(HF)과. 박력분과 강력분(HLF) 혹은 박력분과 중력분 (HMF)을 각각 동량 혼합한 것을 포함한 5종의 밀가루를 사용하여 밀가루 반죽 물성과 빵 품질을 비교하였다. 사용된 밀가루의 단백질 함량은 8.17.~12.52%, 회분은 0.38 ~ 0.41% 범위에 있으며 찐빵은 오븐에서 굽는 roll bread와는 다르게 1차 발효 과정을 생략한 제조 조건에서 찐빵 품질이 가장 우수하였고, 찐빵 제조에 요구되는 밀가루는 반죽 강도가 강한 강력분에 가까운 밀가루보다 단백질 함량이 9.5 ~ 10.9%, 범위의 반죽 강도가 중간 정도인 시중 밀가루가 찐빵 제조에 적합하였다. 찐빵 제조에 베이킹파우더 1.0~1.5%, 쇼트닝 5 ~ 7% 첨가로 빵 부피, 빵 모양, bread score, 조직감 등이 향상되었다.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았던 찐빵은 강력분과 박력분을 동량 혼합한 혼합분(단백질 10.53%)으로 만든 것으로 빵 껍질이 매끄럽고, 광택이 있고 희었으며, 촉감은 촉촉하고 부드러웠다. 시중 밀가루 품질과 빵 품질과의 상관성은 ro11 bread와 찐빵에서 다르게 나타났는데 roll bread의 빵 부피나 total bread score는 단백질 함량과 farinograph 반죽 물성이 모두 관련이 있었으나 찐빵의 경우 단백질 함량은 빵 부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새심 bread score는 단백질 보다 반죽 안정도와 상관성이 더 높았으며 빵 표면 특성은 반죽 형성 시간과 호화 점도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실크펩티드 첨가한 빵반죽의 이화학적 특성 (Effect of Silkpeptide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 김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46-254
    • /
    • 2004
  • 실크펩티드의 조단백질은 90.83%로 함량이 매우 높았고 총 아미노산 함량은 50,224.l2mg%로 역시 매우 높았다. 아미노산 조성은 glycine(37.4%)이 제일 많았으며 alanine(28.2%), serine(14.7%) 및 tyrosine(8.6%)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총 함량은 전체 아미노산 함량의 89%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실크펩티드의 분자량은 1500-1600 Da로 측정되었으며, 입자크기는 $10-45{\mu}m$로 입자크기가 다양하였다. 반죽의 물리적 특성인 farinograph에서 반죽도달시간은 실크펩티드 첨가량 증가 시 대조구에 비해 시간이 다소 연장되었으며 반죽형성시간은 길어졌다. 안정도는 실크펩티드 2.0% 첨가까지는 대조구와 비슷한 안정도를 보였으나 3.0%, 4.0%로 증가시 안정도는 낮았고 약화도는 약간 증가하였다. Amylogram 특성에서 호화개시 온도는 100% 밀가루인 대조구는 $59.5^{\circ}C$이었으며 실크펩티드 3.0% 첨가까지는 대조구와 동일하였고, 4.0% 첨가구는 $58.0^{\circ}C$로 대조구보다 낮았다. 최고점도온도에서 실크펩티드 첨가구와 대조구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최고점도는 실크펩티드 증가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Extensograph에서 실크펩티드 증가시 반죽의 저항도는 크게 증가하였고 신장도의 값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다. 특히 2.0% 이상 첨가구의 90분 후부터는 저항도 값이 크게 증가하여 측정값을 나타낼 수가 없었다. 신장도와 저항도 값의 비율인 R/E값의 변화는 실크펩티드 증가에 따라 시간 경과 시 R/E값은 증가하였으며, 실크펩티드를 첨가하는 경우는 반죽의 가스 보유력과 발효 내구력이 밀가루만 사용할 경우보다는 크게 증가되어 산화제를 첨가한 반죽 물성을 보여 실크펩티드 첨가는 반죽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여러 측면에서 볼 때 산화제 역할을 나타내어 기능성을 가진 천연 제빵개량제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다.

Lactobacillus acidophilus 와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로 발효한 유청이 밀가루 반죽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ofWheyFermentCulturedby Lactobacillus acidophilusand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onRheologicalPropertiesofWheatFlour Dough)

  • 이정훈
    • 한국조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리학회 2005년도 제33차 정기춘계학술세미나
    • /
    • pp.11-18
    • /
    • 2005
  • $\blacktriangleright$ Farinograph에서 발효물을 첨가한 반죽이 반죽발전시간은 길었으나 안정도는 짧게 나타났다. $\blacktriangleright$ Extensograph에서 발효물을 첨가한 반죽이 저항성은 높았으나 신장성은 낮았다. $\blacktriangleright$ 반죽의 발효부피는 발효물을 첨가한 반죽이 낮게 나타났다. $\blacktriangleright$ 반죽의 총산도 변화는 발효물을 첨가한 반죽에서 높게 나타났다. $\blacktriangleright$ 반죽의 pH 변화는 발효물을 첨가한 반죽에서 낮게 나타났다. $\blacktriangleright$ 발효물의 첨가는 반죽의 호화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Bifidobacterium infantis 및 Streptococcus thermophilus가 밀가루 반죽의 물성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eat Flour with Bifidobacterium infanti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 홍정훈;김경자;방극승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2-26
    • /
    • 2000
  • 1. 상온에서 시료 밀가루의 물결합능력은 250%이며 용해도는 1.0%였다. 2. Farinograph - 본 실험에 사용된 밀가루 반죽의 v/v는 69였다. S. thermophilus가 첨가된 경우 대조군과 유사한 값인 70을 나타내었으며 B. infantis만 첨가된 군과 B. infantis + S. thermophilus 첨가군에서는 각각 65, 62로 나타났다. 반죽이 일정한 굳기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수분 흡수율은 대조군이 66.5인데 비해 B. infantis +S. thermophilus군의 경우 67.8로 증가하였다. Peak time의 경우 모든 군이 6∼8분 안에 들어가면서 반죽의 탄력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B. infantis 첨가군과 B. infantis +S. thermophilus첨가군은 각각 6.0과 5.5로 나타났으며 안정도의 경우 41.5와 40.1로 나타났다. 3. Extenspgraph - B. infantis 첨가군에서 90분과 135분 사이에 큰 폭으로 상승되었다. 135분에서 S. thermophilus 첨가군이 가장면적이 넓었으며 다음으로 B. infantis 첨가군과 B. infantis+S. thermophilus첨가군의 순서였다. 4. Amylograph-B. infantis 첨가군과 S. thermophilus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해 최고 점도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빵의 내상이 균일하고 기공배열이 가지런하므로 전체적으로 품질이 좋은 빵이 될것으로 사료된다. 호화개시온도의 경우 대조군 비해 다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점 온도는 각 군 별로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