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lse positive

검색결과 860건 처리시간 0.052초

침입탐지 시스템에서 Alert 의 패턴 학습을 이용한 False Positive 감소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False Positive Alert reduction using pattern matching technique)

  • 심철준;곽주현;원일용;이창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997-2000
    • /
    • 2003
  • False Positive Alert 은 IDS 가 공격이 아닌 것을 공격으로 잘못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false Positive 는 시스템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는 않으나, 시스템 관리자가 적절한 대처를 하기 어렵게 하므로 IDS의 새로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false Positive를 줄이기 위해 IDS 에서 나오는 Alert 중 False Positive를 필터링 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공격에 대한 Alert과 False Positive Alert의 시간 패턴을 각각 분석, 학습함으로써 그 후의 Alert의 False Positive 여부를 판별한다.

  • PDF

점진적 연관 규칙을 이용한 침입탐지 시스템의 오 경보 패턴 분석 프레임워크 설계 (A design of framework for false alarm pattern analysis of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ing incremental association rule mining)

  • 전원용;김은희;신문선;류근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307-309
    • /
    • 2004
  • 침입탐지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오 경보는 false positive 와 false negative 로 구분된다. false positive는 실제적인 공격은 아니지만 공격이라고 오인하여 경보를 발생시켜 시스템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false positive 패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오 경보 데이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데이터의 양뿐만 아니라 데이터 패턴의 특성 또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될 때마다 오 경보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오 경보 데이터로부터 false positive 의 패턴을 분석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기술한다. 우리의 프레임워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는 데이터의 패턴 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점진적 연관규칙 기법을 적용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서 false positive 패턴 특성의 변화를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

  • PDF

터널 내 돌발상황 오탐지 영상의 반복 학습을 통한 딥러닝 추론 성능의 자가 성장 효과 (Effect on self-enhancement of deep-learning inference by repeated training of false detection cases in tunnel accident image detection)

  • 이규범;신휴성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419-432
    • /
    • 2019
  • 대부분 딥러닝 모델의 학습은 입력값과 입력값에 따른 출력값이 포함된 레이블링 데이터(labeling data)를 학습하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으로 진행된다. 레이블링 데이터는 인간이 직접 제작하므로 데이터의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용과 시간의 문제로 인해 데이터의 확보에 많은 노력이 소요된다. 그리고 지도 학습의 목표는 정탐지 데이터(true positive data)의 인식 성능 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오탐지 데이터(false positive data)의 발생에 대한 대처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터널 관제센터에 투입된 딥러닝 모델 기반 영상유고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해 정탐지와 레이블링 데이터의 학습으로 예측하기 힘든 오탐지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오탐지의 유형은 작업차량의 경광등, 터널 입구부에서 반사되는 햇빛, 차선과 차량의 일부에서 발생하는 길쭉한 검은 음영 등이 화재와 보행자로 오탐지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장에서 발생한 오탐지 데이터와 레이블링 데이터를 동시에 학습하여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 레이블링 데이터만 학습한 모델과 비교하면 레이블링 데이터에 대한 재추론 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오탐지 데이터에 대한 재추론을 한 결과 오탐지 데이터를 많이 포함하여 학습한 모델일 경우 보행자의 오탐지 개수가 훨씬 줄었으며, 오탐지 데이터의 학습을 통해 딥러닝 모델의 현장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침입탐지시스템에서 False Positive 감소를 위한 탐지규칙 패턴 생성 기법 (Advanced Rule Pattern Generation Method for False Positive Reduction on Intrusion Detection System)

  • 이석원;이택규;최명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80-383
    • /
    • 2015
  • 오용 탐지모델 기반의 침입탐지시스템은 새로운 사이버 공격을 탐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탐지규칙을 생성해야 한다. 공격에 대한 특징을 정확히 식별하지 못하고 탐지규칙을 생성할 경우 많은 false positive를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침해사고 대응시간이 늦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침입탐지시스템에서 탐지된 이벤트의 true positive와 false positive 데이터를 Keyword Tree의 node에 경로를 지나가는 횟수를 누적하는 값을 포함시킨 자료구조를 기반으로 비교분석하여 false positive를 감소시킬 수 있는 탐지규칙 패턴 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On Reducing False Positives of a Bloom Filter in Trie-Based Algorithms

  • Mun, Ju Hyoung;Lim, Hyesook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4권3호
    • /
    • pp.163-168
    • /
    • 2015
  • Many IP address lookup approaches employ Bloom filters to obtain a high-speed search performance. Especially, it has been recently studied that the search performance of trie-based algorithm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adding Bloom filters. In such algorithms, the number of trie accesses can be greatly reduced because Bloom filters can determine whether a node exists in a trie without actually accessing the trie. Bloom filters do not have false negatives but have false positives. False positives can lead to unnecessary trie accesses. The false positive rate must thus be reduce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lookup algorithms applying Bloom filters. One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rie-based algorithms is that all the ancestors of a node are also stored. The proposed algorithm utilizes this characteristic in reducing the false positive rate of a Bloom filter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memory for the Bloom filter. When a Bloom filter produces a positive result for a node of a trie, we propose to check whether the ancestors of the node are also positives. Because Bloom filters have no false negatives, the negatives of any of the ancestors mean that the positive of the node is false. In other words, we propose to use more Bloom filter queries to reduce the false positive rate of a Bloom filter in trie-based algorithm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querying one ancestor of a node can reduce the false positive rate by up to 67% with exactly the same architecture and the same memory requirement. The proposed approach can be applied to other trie-based algorithms employing Bloom filters.

포트 스캐닝 기법 기반의 공격을 탐지하기 위한 실시간 스캔 탐지 시스템 구현 (A Real Time Scan Detection System against Attacks based on Port Scanning Techniques)

  • 송중석;권용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2호
    • /
    • pp.171-178
    • /
    • 2004
  • 포트 스캐닝 탐지 시스템은 “False Positive”(실제 공격이 아닌데 공격이라고 탐지, 오탐지)와 “False Negative”(실제 공격인데 공격이 아니라고 탐지, 미탐지)가 낮아야 하는 등의 시스템 성능에 관한 요구사항과, 해당 탐지 시스템을 활용한 보안관리가 용이해야 하는 등의 사용자 친화적인 요구사항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공개되어 있는 실시간 스캔 탐지 시스템은 False Positive가 높고 다양한 스캔 기법에 대한 탐지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실시간 스캔 탐지 시스템의 대부분이 명령어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률 활용하여 시스템 보안 관리를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필터 룰 집합의 적용에 의해 포트 스캐닝 기법 기반의 다양한 공격을 탐지 할 수 있고, 공격자의 행동 패턴으로부터 유도된 ABP-Rule의 적용에 의해 False Positive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시간 스캔 탐지 시스템(TkRTSD)을 제안한다. 또한 Tcl/Tk를 이용하여 GUI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보안관리를 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False-Positive Mycobacterium tuberculosis Detection: Ways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

  • Asgharzadeh, Mohammad;Ozma, Mahdi Asghari;Rashedi, Jalil;Poor, Behroz Mahdavi;Agharzadeh, Vahid;Vegari, Ali;Shokouhi, Behrooz;Ganbarov, Khudaverdi;Ghalehlou, Nima Najafi;Leylabadlo, Hamed Ebrahmzadeh;Kafil, Hossein Samadi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3권3호
    • /
    • pp.211-217
    • /
    • 2020
  • The gold standard method for diagnosis of tuberculosis is the isola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through culture, but there is a probability of cross-contamination in simultaneous cultures of samples causing false-positives. This can result in delayed treatment of the underlying disease and drug side effects. In this paper, we reviewed studies on false-positive cultures of M. tuberculosis. Rate of occurrence, effective factors, and extent of false-positives were analyzed. Ways to identify and reduce the false-positives and management of them are critical for all laboratories. In most cases, false-positive is occurring in cases with only one positive culture but negative direct smear. The three most crucial factors in this regard are inappropriate technician function, contamination of reagents, and aerosol production. Thus, to reduce false-positives, good laboratory practice, as well as use of whole-genome sequencing or genotyping of all positive culture samples with a robust, extra pure method and rapid response, are essential for minimizing the rate of false-positives. Indeed, molecular approaches and epidemiological surveillance can provide a valuable tool besides culture to identify possible false positives.

Efficient Illegal Contents Detection and Attacker Profiling in Real Environments

  • Kim, Jin-gang;Lim, Sueng-bum;Lee, Tae-j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6호
    • /
    • pp.2115-2130
    • /
    • 2022
  • With the development of over-the-top (OTT) services, the demand for content is increasing, and you can easily and conveniently acquire various content in the online environment. As a result, copyrighted content can be easily copied and distributed, resulting in serious copyright infringement. Some special forms of online service providers (OSP) use filtering-based technologies to protect copyrights, but illegal uploaders use methods that bypass traditional filters. Uploading with a title that bypasses the filter cannot use a similar search method to detect illegal cont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chnique for profiling the Heavy Uploader by normalizing the bypassed content title and efficiently detecting illegal content. First, the word is extracted from the normalized title and converted into a bit-array to detect illegal works. This Bloom Filter method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re are false positives but no false negatives. The false positive rate has a trade-off relationship with processing performance. As the false positive rate increases, the processing performance increases, and when the false positive rate decreases, the processing performance increases. We increased the detection rate by directly comparing the word to the result of increasing the false positive rate of the Bloom Filter. The processing time was also as fast as when the false positive rate was increased. Afterwards, we create a function that includes information about overall piracy and identify clustering-based heavy uploaders. Analyze the behavior of heavy uploaders to find the first uploader and detect the source site.

Likelihood Based Confidence Intervals for the Difference of Proportions in Two Doubly Sampled Data with a Common False-Positive Error Rate

  • Lee, Seung-Chu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7권5호
    • /
    • pp.679-688
    • /
    • 2010
  • Lee (2010) developed a confidence interval for the difference of binomial proportions in two doubly sampled data subject to false-positive errors. The confidence interval seems to be adequate for a general double sampling model subject to false-positive misclassification. However, in many applications, the false-positive error rates could be the same. On this note, the construction of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 is considered when the false-positive error rates are common. The coverage behaviors of nine likelihood based confidence intervals are examined. It is shown that the confidence interval based Rao score with the expected information has good performance in terms of coverage probability and expected width.

Trust 기반의 DoS 공격에 대한 False-Positive 감소 기법 (Trust Based False-Positive Reduction Scheme against DoS Attacks)

  • 박종경;이태근;강용혁;엄영익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1)
    • /
    • pp.697-699
    • /
    • 2003
  • 최근의 네트워크 공격의 주류는 DoS (denial-of-service)와 DDoS (distributed DoS) 공격이다. 이러한 공격들은 공격자가 침입 대상 시스템의 자원을 완전히 소모시켜서 시스템이 정상적인 서비스를 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각 시스템의 관리자들은 이러한 침입이나 공격을 막기 위한 방편 중에 하나로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IDS의 높은 false-positive(정상적인 사용을 공격으로 잘못 판단하는 경우)의 발생빈도는 심각한 문제점 중의 하나는 이다. 이런 false-positive의 발생빈도를 줄이고자 본 논문에서는 한번의 판단만으로 연결(connection)을 차단시키지 않고, trust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trust의 값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차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즉, trust를 이용하는 기법은 각 사용자를 한번에 공격자인지 일반 사용자인지 결정하지 않고, 한 번 더 검사하여 false-positive의 발생빈도를 감소시키는 기법이다.

  • PDF